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
기사사진
이주열 한은 총재, BIS 신임 이사로 선임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국제결제은행(BIS) 이사회의 신임 이사가 됐다. 임기는 내년 1월부터 3년간이다. 한은은 11일(현지시간) 스위스 바젤 BIS 본부에서 열린 정례 BIS 이사회에서 이 총재가 신임 이사로 선출됐다고 13일 밝혔다. BIS는 1930년에 설립된 현존 최고(最古) 국제기구로 주요 60개국 중앙은행이 회원이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국제금융 안정을 위한 중앙은행 간 협력의 구심점이 됐으며 글로벌 스탠다드를 결정하는 협의체로서의 역할과 중요성이 큰 기구다. BIS 이사회는 BIS의 전략과 정책 방향을 결정하고 집행부 업무를 감독하는 BIS 내 실질적 최고 의사 결정 기구다. 특정국가 또는 지역에서 금융위기가 발생하면 지원하는 방안도 논의한다. BIS 이사회는 창립회원국 총재 6명이 당연직 이사를, 미국 뉴욕연방준비은행 총재가 지명직 이사를 맡는다. 일반회원국 총재 중에 최대 11명까지 뽑히는 선출직 이사까지 총 18명으로 이사회가 구성된다. 현재 당연직 6명, 지명직 5명, 선출직 10명으로 구성돼 있다. 내년부터는 지명직 이사가 기존 5명에서 1명으로 줄어드는 대신 선출직 이사를 1명 늘렸는데 그 자리에 이 총재가 선임됐다. 1997년 한국이 BIS에 정식 가입한 이래 이사직을 맡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한은은 한국의 국제적 위상이 크게 높아진 점과 이 총재가 2014년부터 BIS 총재 회의에 참석하고 주요 현안 논의에 기여한 점을 인정받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이사 선출 과정에 이 총재는 러시아와 호주 중앙은행 총재 등과 경합을 벌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은 관계자는 "의제 설정자로서 국제금융 현안에 직접 목소리를 낼 수 있게 됐다"며 "주요국 중앙은행 총재들과 상호 관심사, 현안 이슈를 두고 대면·유선으로 언제든 직접 협의할 수 있는 협력 채널이 크게 강화됐다는 점에서도 큰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2018-11-13 14:41:06 김희주 기자
기사사진
치솟는 국제유가…10월 수입물가 4년 1개월 만에 최고

지난달 국제유가가 급등하면서 수입물가지수가 4년 1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한국은행이 13일 발표한 '2018년 10월 수출입물가지수'에 따르면 지난달 수입물가지수는 92.06으로 전월(90.67) 대비 1.5% 상승했다. 이는 2014년 9월(93.03) 이후로 4년 1개월 만에 최고치다. 수입물가는 8월 0.2% 하락했다가 9월(1.4%) 반등한 후 2개월 연속 상승세를 기록했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10.7% 올랐다. 수입물가가 큰 폭으로 오른 데는 국제유가 상승의 영향이 컸다. 지난달 평균 두바이유가는 배럴당 79.39달러로 전월(77.23달러)에 비해 2.8% 올랐다. 품목별로는 원유(3.7%), 천연가스(LNG)(2.8%), 철광석(7.7%) 등 광산품이 3.4% 오르면서 원재료의 수입물가가 3.1% 뛰었다. 중간재의 수입물가도 벙커C유(7.4%), 프로판가스(10.1%) 등 석탄및석유제품(3.0%)과 제1차금속제품(0.8%), 화학제품(0.7%) 등이 오르면서 1.0% 상승했다. 자본재와 소비자는 각각 0.5%, 0.6% 올랐다. 수출물가지수는 전월(87.89)보다 0.5% 오른 88.57을 기록했다. 이는 2014년 11월(88.57) 이후 3년 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수출물가는 8월 보합세를 보인 이후 9월(0.2%) 올랐고 10월에는 상승 폭이 확대됐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1.3% 올랐다. 수출물가 원·달러 환율 상승이 영향을 미쳤다. 지난달 원·달러 평균환율은 1130.81원으로 전월(1120.60원) 대비 0.9% 올랐다. 농림수산품 수출물가는 0.2%, 공산품은 0.5% 각각 상승했다. 품목별로는 경유(4.4%), 벙커C유(9.6%), 제트유(2.8%) 등을 포함한 석탄및석유제품이 3.6% 올랐고 합금철(14.0%), 아연정련품(10.3) 등 제1차금속제품도 1.5% 뛰었다. 반면 디램(-4.9%), 플래시메모리(-4.3%) 등 전기및전자기기는 0.4% 하락했다. 화학제품도 폴리에틸렌수지(-2.4%), 에틸렌(-9.8%) 등의 수급 부진으로 0.1% 내렸다. 한편 지난달 환율 영향을 제거한 계약통화(실제 계약할 때 쓰는 통화) 기준 수입물가는 전월 대비 0.8% 상승한 반면 수출물가는 0.3% 하락했다.

2018-11-13 11:05:35 김희주 기자
기사사진
KEB하나은행, 판매서비스 만족도 은행(대출)부문 5년 연속 1위

KEB하나은행은 13일 한국능률협회컨설팅(KMAC) 주관'2018년 판매서비스 만족도(KSSI)'은행(대출) 부문에서 5년 연속 1위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올해 7월'한국산업 서비스품질지수(KSQI)'고객접점 부문에서 3년 연속 은행산업 부문 1위 선정에 이은 쾌거로 손님 만족도 및 서비스 품질, 직원 역량에서 국내 최고 수준의 서비스 경쟁력을 갖추었음을 입증했다. 이는 그룹의 핵심 가치인 '손님의 기쁨'을 최우선으로 하는 소비자 중심의 경영 문화를 위해 전 임직원이 현장과 손님 중심으로 철저히 노력한 결과이다. 한국능률협회컨설팅(KMAC)이 주관하는 '판매서비스 만족도(KSSI)'는 손님과 대면하는 상품 판매 인력의 질적 능력(상담태도, 카운셀링 파워, 업무지식 등)에 대해 영업점에서 해당 서비스를 직접 경험한 소비자가 평가한 세일즈 만족도 조사이다. 함영주 KEB하나은행장은 "이번 5년 연속 수상은 손님의 기쁨을 최우선 가치로 두고 노력한 결과로써 한결 같은 신뢰와 사랑을 보내주신 손님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며 "앞으로도 변화와 혁신을 통해 손님의 불편은 없애고 편리함은 높여서 금융의 새로운 가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2018-11-13 11:05:25 김문호 기자
기사사진
[스마트금융&제2금융]②P2P 중금리 대환대출

#. 대기업에서 월급 500만원을 받는 회사원 이모(40)씨는 신입사원때 아버지의 병원비를 대기 위해 급하게 저축은행에서 연 22%의 금리로 빌린 1000만원과 연 18%로 받은 카드론 1500만원의 대출금을 갚고 있다. 매달 나가는 대출금을 줄일 수 없을 까 고민하던 이모씨. 최근 P2P업체를 통해 대환대출을 받기로 결심했다. 신용등급 6등급이지만 장기간 현금흐름이 좋다는 점이 반영돼 12.5%의 낮은 금리로 대환대출이 가능했기 때문이다. P2P업체를 통해 대환대출을 받는 소비자가 늘고 있다. 은행의 저금리 대출이 불가능한 중·저신용자가 제2금융권이나 대부업 고금리 대출을 이용하다 P2P 대출로 옮겨가고 있는 것. 특히 P2P업체의 경우 신용등급 외에도 상환능력을 다양하게 평가해 대출 금액과 금리를 제공하고 있어 신용등급은 상대적으로 낮지만 현금흐름이 좋은 중·저신용자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다. 최근 금융당국도 P2P 중금리 신용대출 등을 중심으로 금융회사가 투자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개정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P2P시장 내 대환대출의 규모가 대폭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13일 크라우드연구소에 따르면 올 9월 말 기준 P2P 금융 시장 누적대출액은 4조2726억원으로 담보대출 누적액이 3조6955억원(86.5%), 신용대출 누적액이 5771억원(13.5%)를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담보대출은 2조2192억원(1조1476억원), 신용대출은 2118억원(3653억원) 증가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담보대출이 신용대출보다 대출 승인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앞으로는 신용대출의 비중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금융당국이 국내 P2P(개인 간 거래) 대출시장에 금융회사가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중금리 신용대출 등을 중심으로 P2P가이드라인을 연내 개정한다고 밝혀 P2P시장 내 신용대출 분야가 대폭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기대를 모으고 있는 분야는 P2P업체 신용대출 중 대환대출분야다. 개인신용대출을 중점적으로 하는 P2P업체 렌딧을 확인한 결과 지난 8월 기준 전체 대출 중 대환대출 비중이 54.2%로 나타났다. 기존에 다른 금융권에서 받은 고금리 대출을 P2P업체 대출로 갚고 이자를 절약하는 고객이 절반 이상이라는 의미다. 이렇게 대환대출로 몰리고 있는 이유는 P2P업체가 다른 금융사와 달리 신용등급 외 개인의 현금흐름이나 금융정보를 기반으로 대출신청자를 심사해 상황에 따라 낮은 금리로 대출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신용등급이 6등급으로 똑같더라도 카드연체가 잦았던 A보단 연체가 없는 B가 더 업체의 자체 신용등급을 높게 받아 대출금액과 금리가 달라질 수 있는 셈이다. 전문가들은 다양한 상품을 비교해보고 선택하라고 조언한다. P2P업계 관계자는 "대출고객이 늘어날수록 중금리 대출을 위한 심사평가모델은 고도화될 수밖에 없다"며 "카드론, 저축은행으로 대출을 이용하고 있더라도 우선 P2P업체를 통해 대출상담을 받아보는 것을 추천한다"고 말했다.

2018-11-13 11:04:56 나유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