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건전성 지표' BIS 자본 비율 전분기 대비 소폭↑
6월 말 은행의 건전성 지표인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본 비율이 전분기 전분기말 대비 소폭 상승했다. 이는 위험가중자산 증가세 둔화와 아울러 견조한 이익 시현 등에 힘 입은 자본 증가 덕분으로 해석된다. 금융감독원이 28일 발표한 '은행 및 은행지주회사 BIS 기준 자본비율 현황'을 보면 지난 6월 말 국내은행의 BIS 기준 총자본비율은 15.76%로 전분기말 대비 0.13%포인트 상승했다. 보통주자본비율, 기본자본비율은 각각 13.18%, 14.51%로 전분기말 대비 각각 0.18%p, 0.18%p 상승했으며, 단순기본자본비율은 6.76%로 전분기말 대비 0.14%p 올랐다. 금감원 측은 "올해 6월말 현재 모든 국내은행의 자본비율은 규제비율을 상회하는 등 양호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총자본비율 기준으로 씨티·카카오·SC·KB·농협이 16%를 상회하여 매우 안정적인 모습이며, 케이·JB는 14% 미만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보통주자본비율 기준으로는 씨티·카카오·SC가 14% 이상, KB·토스·농협·신한 등이 13% 이상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한편, 수출입(+1.15%p)·SC(+0.74%p)·농협(+0.54%p) 등 대부분의 은행은 전분기말 대비 보통주자본비율이 상승했다. 반면, 토스(-0.17%p)·하나(-0.09%p)·신한(-0.06%p)·씨티(-0.04%p) 등 4개 은행은 하락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주요국 통화정책 불확실성, 지정학적 리스크 등에 따른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로 예상치 못한 손실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에 대비하여 자본여력을 계속 제고해 나갈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금융여건 악화시에도 은행이 충분한 완충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건전성 현황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관련 제도의 정비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은행지주회사는 (신한, 하나, KB, 우리, 농협, DGB, BNK, JB) 8개 회사와 비지주은행(SC, 씨티, 산업, 기업, 수출입, 수협, 케이, 카카오, 토스) 9개 회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