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
기사사진
iM뱅크, '구미시 소상공인 특례보증' MOU

iM뱅크는 구미시 및 경북신용보증재단과 '구미시 소상공인 특례보증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물가상승 및 경기침체로 인한 경영애로를 겪고 있는 구미시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지역상생 및 이익나눔 목적으로 마련됐다. 협약에 따라 iM뱅크와 구미시는 각 10억원씩 20억원을 경북신보에 1대1 매칭 출연한다. 이에 따라 iM뱅크와 구미시가 경북신용보증재단에 출연한 20억원의 지역상생 보증재원을 기반으로 경북신용보증재단의 보증심사를 거쳐 구미시 소재 소상공인에 최대 200억원 규모의 금융지원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대출신청은 경북신용보증재단 구미지점에 방문해 신청할 수 있다. 보증심사 후 보증승인이 나면 구미시 관내 iM뱅크 지정 영업점에 방문하여 대출약정을 진행하면 된다. 특히 이번 출연을 통해 경북신용보증재단이 100% 보증하는 신용보증서를 담보로 구미시 이차보전(2년, 연 3%)을 결합한 저금리 여신 지원이 가능할 전망이다. 황병우 iM뱅크 은행장은 "전국구 시중은행으로 도약한 iM뱅크는 다양한 지자체와의 협력으로 지역 발전에 노력하겠다"며 "앞으로도 변함없는 지역의 든든한 동반자로서 지역경제 활성화 및 경기 회복을 위해 함께 하겠다"고 말했다. /안승진기자 asj1231@metroseoul.co.kr

2024-08-19 14:48:40 안승진 기자
기사사진
'2024 예금보험공사 을지연습'

예금보험공사는 오는 21일까지 전시 금융·사이버 및 기타 재난위기 발생시 신속하고 효과적인 위기관리능력 제고를 위한 '2024년 예금보험공사 을지연습'을 실시한다고 19일 밝혔다. 예보는 전시 비상조직 전환연습의 일환으로 불시 비상소집 후 전시직제에 따른 임무변경, 종합상황실 등을 운영하고, 기금운용 업무연속성 유지를 위해 예비소산시설로 이동하여 실제 자금이체 업무 및 주요물품 정리 훈련을 진행한다. 또한 지난해 실시한 '복합금융위기 대응훈련'에 이어 올해는 남북 긴장고조에 의한 예금자 불안 증대, 국제분쟁 장기화에 대응하기 위한 '비금융요인발 위기대응훈련'을 실시한다. 훈련은 북한 위협에 의한 주식시장 급락 및 국가신용위험 상승 등 금융 리스크 증가, 중동분쟁 확산 등 국제분쟁 장기화로 인한 실물경제 충격으로 수출·내수 동반 침체 등 비전통적 금융위기 발생을 가정해 실시된다. 비은행권에 중점을 둔 서민금융업권 및 인터넷은행업권 부실 발생 위기상황 시나리오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함으로써 전 직원들의 위기대응 업무능력 향상을 도모하는 한편, 관계기관과 함께 협조체계를 구축해 대응방안을 마련하는 유관기관 위기대응 합동훈련을 실시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공사 IT분야 전문인력과 더불어 증권전산 전문기관인 KOSCOM과의 전산재해 복구훈련을 통해 랜섬웨어와 대규모 DDoS 공격 등 금융전산분야 위기발생에 대비하고, 개인정보 유출사고 대응훈련도 병행해 각종 사이버위협에 대한 위기대응 역량강화 및 재해복구시스템의 완성도도 제고할 예정이다. 예보 관계자는 "앞으로도 전시 등 위기상황 발생 시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비태세를 완비함으로써 예금자 보호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2024-08-19 14:48:05 안승진 기자
기사사진
인터넷은행 개인사업자대출 증가…건전성 우려

인터넷전문은행의 개인사업자대출 잔액이 1년 새 1조원 넘게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침체가 지속되며 대출을 상환하지 못하는 자영업자들이 늘고 있어 건전성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올 상반기 케이뱅크·카카오뱅크·토스뱅크의 개인사업자 대출잔액은 3조8966억원으로 집계됐다. 1년전(2조3373억원)과 비교해 66.7% 늘어난 수준이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케이뱅크의 대출 잔액은 1조491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3436억원)와 비교해 3배 증가했다. 카카오뱅크는 같은 기간 2478억원에서 1조 1381억원으로 4배 이상 늘었다. 토스뱅크는 1분기 1조6994억원으로 다른 인터넷은행과 비교해 잔액이 가장 많았지만 1년 전(1조7359억원)과 비교하면 2.1% 감소했다. 인터넷은행의 개인사업자 대출 잔액이 증가한 이유는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압박이 거세진 영향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들어 7월까지 가계대출 잔액은 1120조8000억원으로 한달 전과 비교해 5조5000억원 증가했다. 가계대출 잔액은 3월 1조7000억원 감소한 이후 4월 5조원, 5월 6조원 6월 5조9000억원으로 꾸준히 늘었다. 1월부터 7월까지 증가한 금액은 총 25조9000억원으로 1년 전(10조원) 증가폭과 비교해 2배 이상 증가했다. 특히 인터넷은행의 경우 금융당국이 실시한 대출 갈아타기 영향으로 가계대출이 급증했다. 지난 1분기 가계대출 잔액은 66조484억원으로 대출 갈아타기가 시행된 지난해 5월 이후 3분기부터 12조3070억원 늘었다. 대출 갈아타기가 시행되지 않은 2022년 3분기부터 2023년 1분기까지 8조9043억원이 늘어난 것과 비교하면 4조원가량 증가했다. 대출갈아타기로 늘어나는 가계대출에 부담을 느낀 인터넷은행들이 개인사업자 대출로 눈을 돌렸다는 분석이다. 문제는 개인사업자 대출의 경우 경기침체가 길어지면서 대출상환에 어려움을 겪는 자영업자들이 늘어나면서 연체율이 증가하고 있다.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을 살펴보면 개인사업자의 연체율은 0.69%로 1년전(0.24%)와 비교해 0.45%포인트(p) 상승했다. 대기업 0.05%와 비교하면 0.64%p 높은 수준이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 등 4대 시중은행의 경우 개인사업자 대출 잔액은 1분기 기준 266조8323억원으로 1년 전과 비교해 2.2%가량 증가한 반면 인터넷은행은 같은 기간 66.7%(2.3조→3.9조) 늘었다. 금액으로 보면 시중은행의 개인사업자대출 잔액이 월등히 많지만, 비중으로 치면 인터넷은행의 개인사업자 비중이 크게 늘었다는 설명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시중은행의 경우 가계대출이 어려워지면서 안정적인 대기업 대출을 늘리는 방향으로 기업대출을 늘리고 있지만 인터넷은행은 대기업 대출 취급이 금지돼 중소기업대출 개인사업자대출을 늘리고 있다"며 "경기침체에 대기업보다 중소상공인들이 어려워지면서 연체율이 오르고 있어 무작정 늘리기보다 건전성 관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나유리기자 yul115@metroseoul.co.kr

2024-08-19 14:46:00 나유리 기자
기사사진
사상 최고가 또 경신…'금 가격' 왜 올랐나?

금값이 치솟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9월 금리 인하가 확실시되면서 금리 인하 폭에 관심이 쏠리는 가운데, 중동과 동유럽의 전쟁 위기감도 커지면서 금 수요가 빠르게 늘고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금 가격의 상승 가능성이 여전히 열려 있다고 내다봤다. 19일 뉴욕상업거래소에 따르면 12월 국제 금 선물 가격은 지난 16일 온스당 2537.8달러로 장을 마감했다. 이는 전일보다 45.40달러(1.8%) 상승한 수준으로, 지난 13일 기록한 역대 최고가(종가기준)인 2507.80달러를 3일 만에 다시 경신했다. 시장에서는 오는 9월 미 연준의 금리 인하가 유력한 가운데, 연준이 기준금리를 한 번에 50bp(1bp=0.01%포인트) 이상 인하하는 '빅스텝'을 단행할 수도 있다는 전망이 금 가치를 끌어올리고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통상 기준금리가 내리면 통화가치 하락에 따라 인플레이션 헤지(화폐가치 하락기에 화폐를 가치 보전이 가능한 자산으로 대체하는 것) 수단으로의 금 수요가 늘게 된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시장에서는 연준이 오는 9월 18일 개최되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을 100%로 확신하고 있다. 인하 폭에서는 25bp 인하 가능성이 73.5%, 50bp 인하 가능성이 26.5%로 전망이 갈렸다. 아울러 이달 들어 고조된 중동과 동유럽의 전쟁 위기감도 안전 자산인 금 수요를 증가시키면서 가격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 앞서 지난달 31일 이란의 수도 테헤란에서 하마스의 정치적 지도자 이스마일 하니예가 피살된 이후 이란은 암살 배후로 이스라엘을 지목하고 보복 공격을 공언했다. 미국 정부는 지난 11일 전쟁 억제를 위해 항공모함 전단과 핵잠수함을 중동에 배치했다. 그러나 16일 카타르에서 열린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의 휴전 협상이 양측 대표단의 불참으로 성과 없이 결렬되면서, 중동 지역에서의 확전이 임박했다는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다. 또한 지난 6일 감행된 우크라이나군의 러시아 쿠르스크 지역을 향한 공격이 계속되면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 수 있다는 관측도 금 수요를 부추기고 있다. 전문가들은 금 가격의 상승 요인이 여전하다고 분석했다. 귀금속 투자 전문 사이트 골드식닷컴(GoldSeek.com)의 피터 스피나 사장은 "시장에 많은 불안 요소들이 남아있고, 금 구매자들은 지정학적 불확실성에 따른 금융·경제적 위기 등 불안정성을 인식하고 있다"며 "금은 안전자산으로의 이점을 얻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금이 앞으로 몇 달 안에 최고 기록을 경신할 수 있는 모든 요소가 갖춰졌다고 생각한다"라며 "올 여름 초보다 온스당 3000달러가 훨씬 더 가까워졌고, 금 가격은 내년 1분기 말까지 3000달러를 시험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귀금속 전문 매체인 골드뉴스레터(Gold Newsletter)의 브라이언 룬딘 편집자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각국 중앙은행 금 수요가 급증했다"라며 "달러의 무기화 이후 각국 중앙은행은 준비 자산을 달러에서 금으로 옮겨 스스로를 보호하려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연준의 금리 인하가 분명해지는 가운데, 서양의 투자자들은 시장에서 금 가격을 더 높게 책정하고 있다"라며 "중국을 비롯한 동양 투자자들이 금 매수에 뛰어든다면, 지금보다 더 높은 금 가격이 형성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안승진기자 asj1231@metroseoul.co.kr

2024-08-19 13:38:36 안승진 기자
기사사진
[카드News]신한카드·KB국민카드

신한카드가 가족친화적인 근로 환경과 문화 조성에 앞장선다. ◆ 임직원 복리후생 제도 운영 신한카드는 EPG 경영 평가 결과, 금융권 1위 기업으로 선정됐다고 19일 밝혔다. EPG 경영 평가는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이 개발한 지표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인구 위기 대응 수준의 척도로 활용할 수 있다. 육아휴직 및 유연근무제 등 제도 활용 여부와 휴직 후 복직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다. 평가 대상은 한국 ESG연구소가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한 국내 기업 중 자산 총액 1조원 이상 기업 300곳이다. ▲출산·양육 지원 ▲일·가정 양립 지원 ▲출산 장려 기업문화 조성 ▲지역사회 기여 등 네 가지 부문의 17개 세부 지표를 평가했다. 신한카드는 총점 80.9점을 받았다. 평가 대상으로 포함된 금융사 52곳의 평균 점수는 60.2점이다. 전체 기업 중에서는 3위를 차지했다. 신한카드 관계자는 "앞으로도 저출생 극복을 위한 선도 사례 발굴 등 인구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사회적 책임을 이행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KB국민카드가 '위시 카드' 발급 100만장 돌파를 앞두고 경품 증정 행사를 마련했다. ◆ 출시 1년 8개월, 100만장 돌파 임박 KB국민카드는 'KB국민카드 위시 카드 100만 됩니다!' 행사를 진행한다고 19일 밝혔다. 내달 26일까지 위시 카드의 100만번째 발급일을 맞추면, 추첨을 통해 최대 100만원을 캐시백한다. 대상은 KB페이 응모 후 10만원 이상 결제한 고객이다. 오는 9월 13일까지 위시 카드로 30만원 이상 이용하면 ▲시그니엘 서울 프레지덴셜 스위트룸 숙박권 ▲세라젬 V7 ▲갤럭시 워치7 ▲올리브영 상품권 5만원 등을 추첨을 통해 선물한다. 같은 기간 위시 카드로 편의점 또는 커피전문점에서 5000원 이상 사용하면 500원을 돌려준다. 행사기간 동안 1일 1회만 제공하며 최대 5000원까지 수령할 수 있다. KB국민카드 관계자는 "고객의 성원에 보답하고자 다양하고 재밌는 이벤트들을 준비했으니 많은 혜택을 받아 가시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김정산기자 kimsan119@metroseoul.co.kr

2024-08-19 11:11:04 김정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