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
금융그룹 회장 연봉 실적에 따라 최대 70% 삭감

올해부터 금융그룹 회장의 연봉이 대폭 삭감된다. 경영실적연동제 도입에 띠라 이익이 줄어들면 최대 70%까지 깎일수도 있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금융, 신한금융, 우리금융, 하나금융은 올해 회장의 기본 연봉을 지난해보다 평균 30% 줄이기로 확정했다. 지난해 평균 20억5000만원에서 올해 14억4000만원으로 하향 조정된다. '실적 연동형' 제도를 올해 처음으로 금융그룹 회장에게 적용하기로 함에 따라 만약 금융그룹의 순이익이 50% 줄어들면 회장들의 총 연봉은 작년보다 40~70% 감소한다. 이는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금융그룹 회장의 과도한 연봉 체계에 문제가 있다면서 은행권에 성과체계 모범 규준 개정을 요청한데 따른 것이다. 그동안 금융그룹 회장은 실적이 좋을 때 과도하게 많은 성과급을 받고 실적이 나빠도 연봉이 줄어들지 않아 문제가 많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연봉 삭감 폭이 가장 큰 금융그룹은 신한금융이다. 한동우 신한금융 회장은 지난해 기본 연봉 27억5000만원을 받았지만, 올해는 37.1%가 줄어든 17억3000만원으로 책정됐다. 올해 신한금융의 순이익이 50% 하락하면 올해 한회장의 연봉은 9억2000만원까지 급감한다. 지난해 받은 27억5000만원과 비교하면 70%나 감액된다. KB금융 임영록 회장의 올해 기본 연봉은 14억8000만원으로 지난해 23억1000만원에서 35.9% 줄어든다. KB금융의 올해 실적이 50% 감소하면 임영록 회장의 올해 총 연봉은 12억2000만원으로 떨어진다. 김정태 하나금융 회장의 기본 연봉은 올해 14억6000만원으로 지난해 19억8000만원보다 26.3% 줄어든다. 실적에 따른 최고 연봉 한도는 올해 21억원으로 지난해 38억3000만원에 비해 45.2% 줄었다. 김 회장은 하나금융 순익이 올해 반 토막 나면 총 연봉이 지난해 19억8000만원에서 올해 8억7000만원으로 56.1% 줄어든다. 이순우 우리금융 회장은 지난해 기본 연봉 12억3천만원을 받았으나 올해는 11억1천만원으로 10% 감소한다. 금융그룹 회장의 연봉이 이처럼 대폭 깎임에 따라 금융그룹 계열사 사장과 임원의 연봉도 평균 20~30% 정도 삭감된다. 은행, 카드, 보험, 저축은행, 증권사, 캐피탈사 등이 모두 해당한다. 금융당국은 금융그룹의 성과보수체계 개편에 따른 이행 상황을 점검하기 위해 올해 금융사 종합 검사나 부문 검사 시 성과 체계를 집중적으로 고려할 방침이다.

2014-03-19 08:21:41 박정원 기자
보험업계 해외 부동산 투자 붐

자산운용 다변화 전략에 따라 국내 보험사들의 해외 부동산 투자가 늘어나고 있다. 18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국내 보험업계의 해외부동산 투자는 생명보험 1조8738조원, 손해보험 9464억원 등 모두 2조8202억원에 이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활발하게 해외 부동산 투자에 나서고 있는 회사는 현대해상이다. 지난해부터 올해초까지 현대해상은 영국 런던지역 227억원, 독일 푸랑크푸르트 438억원, 미국 시카고 지역에 406억원 등 모두 1300억원을 투자했다. 삼성화재는 런던 시티권역에 252억원, LIG손보는 독일과 영국에 377억원을 투자했다. 생명보험사들 중에는 삼성생명이 최근 중국 베이징의 핵심 상업지역인 차오양취에 부동산을 매입해 지상 57층 규모의 오피스빌딩을 건축하고 있다. 한화생명은 지난해 3월 영국 런던의 로프메이커플레이스 빌딩에 2600억원을, 교보생명은 독일 프랑크푸르트 갈릴레오 오피스 빌딩 등에 438억원을 투자중이다. 이처럼 보험사들이 해외 부동산 투자로 눈을 돌리고 있는 이유는 국내 투자환경이 악화돼 마땅한 수익처를 찾기 어렵기 때문인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최근 금융감독원은 삼성생명, 한화생명, 삼성화재, 현대해상 등 상위 생명·손해보험사의 자산운용 담당자를 모아 '보험회사 대체투자 리스크관리 모범규준안' 초안을 작성하는 등 리스크 관리에 나서고 있다. 모범규준안의 핵심내용은 보험사가 대체투자 조직을 명확히 구분하고 위탁투자에 대한손실 책임도 보험사가 지게 하는 등 보험사의 투자 책임을 강화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금융권 관게자는 "저금리 상황에서 보험업계에 해외 부동산을 포함한 대체투자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며 "전체 운용자산에서 부동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아직은 5~10% 수준으로 이자부 자산에 비해 여전히 낮은 편이기 때문에 더 증가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2014-03-19 07:30:00 박정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