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보장형 '퇴직연금' 수익률 급등…키워드는 '반도체'·'빅테크'·'미국'
은행권 원리금 비보장형 퇴직연금 1년 수익률에서 '미국'·'반도체'·'빅테크'를 테마로 한 투자 상품이 연 50%가 넘는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다. 국민연금 수령 연령이 늦어지면서 퇴직연금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는 가운데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는 비보장형 퇴직연금에 관심이 쏠린다. 5일 금융권에 따르면 '미국'·'반도체'·'빅테크'를 테마로 한 원리금 비보장형 퇴직연금 상품이 지난 1년간 은행권 퇴직연금에서 가장 우수한 성적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4월 말 기준 은행별 퇴직연금 수익률 최상위 상품 중 90% 이상은 미국 반도체·빅테크 기업에 투자했다.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의 고시에 따르면 각 은행이 지난 1년간 취급한 퇴직연금 상품 중 수익률 상위 10개 상품의 평균 수익률은 연 52.01%에 달한다. 총 40개의 상품(취급 기관에 따른 중복 포함) 중 39개는 미국 반도체·빅테크 기업을 투자 포트폴리오에 포함하는 비보장형 상품이다. 시중은행 퇴직연금 상품 중 최고 수익률을 기록한 것은 연 71.38%의 수익률을 기록한 신한은행의 'SOL 한국형글로벌반도체액티브'다. 해당 상품 또한 국내 반도체 기업에 20%, 해외 반도체 기업에 80%의 비중을 분산하는 혼합형 투자 상품이다. 시장에서는 엔비디아, 퀄컴, 브로드컴 등 미국 빅테크·반도체 기업들이 연달아 호실적을 내놓으면서 해당 기업에 중점적으로 투자하는 상품들이 높은 수익률을 거뒀다고 해석했다. 퇴직연금 시장이 커지면서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는 비보장형 상품에 대한 관심도 늘고 있다. 원리금 비보장형 상품은 정기예금·국채 등 안전자산에 투자하는 원리금 보장형 상품과 달리 국내·외 증시, 펀드 등 위험자산에 투자한다. 비보장형 상품은 보장형 상품과 달리 투자 원금 손실이 발생할 수 있지만 기대 수익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 2023년 말 기준 퇴직연금 적립액은 382조4000억원에 달한다. 지난 2018년 적립액인 190조원 대비 2배 이상 증가했다. 같은 기간 원리금 비보장형 상품 적립액은 18조3000억원에서 49조1000억원으로 3배 가까이 성장했다. 앞서 비보장형 상품은 코로나19에 따른 세계적인 경제 침체에 따라 지난 몇 년간 저조한 수익률을 기록했지만, 코로나19 종료 이후 경제 회복세에 힘입어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다. 금융감독원 공시에 따르면 지난 1분기 말 기준 은행권 비보장형 퇴직연금의 최근 1년 평균 수익률은 연 11.64%(DB형 8.6%, DC형 13.07%, 개인형 IRP 13.27%)에 달한다. 최근 10년 평균 수익률인 연 2.38% 대비 9.26%포인트(p)나 높다. 전문가들은 비보장형 상품 대다수가 고위험 상품인 만큼 신중하게 투자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 은행권 퇴직연금 관계자는 "비보장형 상품 대다수는 주식이나 증권사 펀드 상품 등 위험자산에 투자하는 만큼 국내·외 경제 상황에 따라 기대 수익률이 크게 변동할 수밖에 없다"며 "최근의 높은 수익률은 해외 증시, 특히나 글로벌 반도체 시장의 호황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최근 수익률이 반드시 미래의 수익을 보장하지는 않는다"며 "원금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만큼, 상품 선택 시 개인의 투자 성향에 따라 위험 수준, 기대 수익률 등을 고려해 자신에게 적합한 투자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고 강조했다. /안승진기자 asj1231@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