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적 감추는 4%대 은행권 정기예금…지금 가입?
지난달 연 4.47%에 달했던 은행권 정기예금 최대 금리가 4.25%까지 떨어졌다. 4대 시중은행에서는 이미 연 4%대 정기예금이 종적을 감췄다. 은행의 주요 자금조달 수단인 은행채 금리가 떨어지고 있어, 은행 정기예금 금리 하락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20일 은행연합회 비교공시에 따르면 은행권 1년 만기 예금 중 가장 많은 이자를 제공하는 상품의 금리는 연 4.25%다.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은 이미 예금 금리를 3%대로 내렸고, 지방은행과 인터넷전문은행, 일부 특수은행만이 4%대 예금 상품을 취급하고 있다. 수신영업(예금을 통해 고객의 돈을 맡는 영업 행위)과 더불어 은행의 주요 자금조달원인 은행채의 금리가 내리면서, 정기예금 금리도 동반 하락하는 상황이다. 한국자산평가에 따르면 지난 10월31일 4.162%에 달했던 은행채(1년물·AAA 기준) 금리는 11월30일 3.984%를 기록했고, 20일에는 3.764%까지 내리며 하락세다. 은행채 금리가 계속 하락하면서, 4%대 고금리 정기예금이 자취를 감추고 있다. 현재 은행권에서 가장 높은 금리를 제공하는 정기예금은 연 4.25%의 최고금리를 제공하는 Sh수협은행의 'Sh첫만남우대예금'이다. 수협과 거래가 없었던 고객이라면 누구나 우대금리를 적용받을 수 있어 상품의 접근성은 낮지만, 가입금액이 최대 1000만원이라는 한도가 걸려 있어 목돈을 묵혀두기에 적합한 상품은 아니다. 지방은행도 정기예금에 4%대 최고금리를 제공한다. 부산은행 '더(The) 레벨업 정기예금'이 4.15%로 지방은행에서 가장 높은 금리를 제공하고, 대구은행은 'DGB함께예금'으로 연 4.05%, 전북은행의 'JB 123 정기예금'이 4.05%로 뒤를 이었다. 광주은행은 3.87%의 연 금리를 제공하는 '굿스타트예금'을 취급한다. 지방은행 정기예금 상품은 예금액 상한이 없거나 높아 목돈을 맡기기에 적합하다. 예금액 상한이 가장 낮은 광주은행 '굿스타트예금'도 한도가 1억원이다. 그러나 ▲당행 첫 거래 ▲전월 거래 실적 ▲카드 발급 ▲인터넷 뱅킹 가입 등 우대금리에 다양한 요건이 있어, 가입에 앞서 자신이 적용받을 수 있는 금리 요건을 확인해야 한다.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 등 인터넷전문은행에서도 4%대 정기예금이 자취를 감췄다. 케이뱅크의 '코드K 정기예금', 카카오뱅크의 '카카오뱅크 정기예금'은 지난주 연 4.0%의 최고금리를 제공했지만, 20일에는 각각 3.90%와 3.85%의 최고금리를 제공하고 있다. 인터넷뱅킹 정기예금 상품은 별다른 우대금리 조건 없이도 최대금리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예금액 한도도 10억원에 달한다. 또한 사용자에게 긴급출금, 만기 자동연장 등 고객 편의도 제공한다. 그러나 영업점이 없는 인터넷전문은행의 특성상 금융상품 취급에 도움을 받기 까다롭고, 최고 금리가 지방은행이나 특수은행보다는 낮다. 시장에서는 정기예금 금리가 더 내릴 것으로 예측하고 있지만, 은행이나 상품마다 방침에 차이가 있어 그 시기나 규모를 가늠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예금상품 금리는 각 은행이 은행채 금리, 타 은행 금리, 대출 규모 등 종합적인 요인을 고려해 조정한다"며 "따로 정해진 상품금리 조정 간격은 없는 만큼, 조정 시기나 규모를 특정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