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곡간 문 열었다...설 성수품 21만t 공급·300억 투입
정부가 보름 앞으로 다온 설 연휴 물가를 잡기 위해 곡간 창고를 활짝 열었다. 정부는 4일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비상경제장관회의'를 열고 '설 민생안정 대책'을 확정했다. 정부는 설 주요 성수품 공급을 역대 최대 수준으로 늘리고, 최대 규모 할인지원을 병행한다. 올해 평년보다 이른 설 연휴로 성수품 수요가 늘면서 물가 인상 압력도 가중될 것으로 보고 성수품 물량 공세를 통해 물가를 잡는다는 계획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설 주요 성수품 공급을 역대 최대 수준으로 늘리고, 최대 규모 할인지원을 병행한다. 먼저 2일부터 20일까지 16개 주요 성수품인 배추, 무, 사과(이상 농산물), 한우(설도·양지),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계란(이상 축산물), 밤, 대추(이상 임산물), 명태, 오징어, 고등어, 갈치, 참조기, 마른멸치(이상 수산물) 등 성수품 20만8000t을 시장에 푼다. 평소 공급 물량의 1.4배다. 돼지고기는 농협 계통 출하물량을 평시대비 22% 확대하고, 수입산 1만t에 대한 할당관세 적용을 6월까지 연장한다. 고병원성 AI 확산으로 수급차질 우려가 큰 계란은 작년 11월 이후 30개 기준 6000원 중반을 유지 중인 가운데 신선란 비축분을 방출하고, 스페인산 신선란(121만개)을 시범 수입해 대형마트 등에 공급한다. 성수품 위주의 할인 지원도 상향(할인 행사별 1인당 1만원→2만원)한다. 농축산의 경우 좀더 저렴한 가격에 살 수 있도록 지난 2일부터 연휴기간까지 300억원 규모 할인지원에 돌입했다. 농축수산물 할인지원(20~30%) 한도를 1인당 기존 할인행사별 1만원에서 2만원으로 상향하고, 전통시장은 최대 4만원까지 할인 받을 수 있다. 성수품 위주로 유통업체 자체 10~40% 할인도 병행한다. 전통시장에서 농축수산물을 구매할 때 최대 30%를 1인당 2만원 한도에서 온누리상품권으로 현장에서 환급한다. 전국 농·축협(10~30%), 수협(10~30%), 산림조합(10~20%), 우체국쇼핑(최대 40%), 공영홈쇼핑(제수용품·선물세트 집중 편성) 등 생산자단체 할인행사도 진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