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공항형 스마트도시 및 미래형 모빌리티 도시 구상 본격화
경북도는 28일 도청 회의실에서 '공항형 스마트도시 조성 특화 전략 및 기본구상 수립 용역'과 '미래형 모빌리티 특화 도시 기본구상 수립 연구용역'의 중간보고회를 공동 개최하고, 대구경북신공항 배후 신도시를 미래형 스마트 복합도시로 육성하기 위한 비전과 전략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이날 보고회에는 경북도와 국토교통부, 의성군, 경북개발공사, TS한국교통안전공단, LH한국토지주택공사, 현대자동차 셔클과 로보틱스랩, 오토노머스A2Z, 경운대학교, 경북IT융합산업기술원, ESE 등 스마트도시 및 미래 모빌리티 분야의 민·관·학 전문가들이 참석해 중간 성과를 공유하고 심도 있는 논의를 이어갔다. 보고회에서는 공항형 스마트도시와 모빌리티 특화도시에 대한 핵심 인프라 구축 방안, 통합플랫폼 개발 구상, 정책 추진 방향 등을 중심으로 발표가 진행됐다. 경북형 스마트도시는 교통, 에너지, 주거, 산업, 안전 등 도시 전 기능에 정보통신기술(ICT)과 인공지능(AI)을 접목한 통합형 미래도시로 조성된다. 디지털 전환을 바탕으로 공항과 산업단지뿐만 아니라 주민 생활 전반에 걸쳐 혁신적 서비스를 제공해 도시경쟁력을 극대화할 계획이다. 또한, 스마트도시의 핵심 축으로는 미래형 모빌리티 특화 전략이 제시됐다. 수요응답형 교통(DRT), 간선급행버스체계(BRT), 자율주행차, 도심항공교통(UAM) 등 다양한 교통수단을 단계적으로 도입하고 유기적으로 연계해 공항과 산업단지, 물류시설, 교육기관, 관광지 등 주요 거점을 연결하는 도시 순환망을 구축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지하물류튜브(CST), 스마트 주차 및 환승시스템, 모빌리티 허브 설치 등을 통해 승객과 화물의 이동 효율을 높이고, 교통혼잡 해소 및 탄소 저감 효과까지 기대하고 있다. 경북도는 이번 중간보고회를 통해 전략을 면밀히 점검하고 실현 가능성을 높여, 향후 공항 배후 신도시를 교통·에너지·산업 등 전 분야가 융합된 미래지향적 스마트 혁신 도시로 조성하겠다는 구상이다. 이남억 경북도 공항투자본부장은 "이번 보고회는 공항형 스마트도시 전략을 통합적으로 점검하고 정책의 실현 가능성을 높이는 의미 있는 자리였다"며 "신공항 배후 신도시는 경북 미래 성장을 이끄는 스마트 복합도시로 발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