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빅데이터 기반 과학행정 구현··· 시민 삶의 질 향상
서울시청./ 손진영 기자 서울시가 시민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빅데이터 기반의 과학행정을 구현한다. 23일 서울시에 따르면, 올해 민-관 융합데이터 개발·분석, 데이터 기반 과학 행정 활성화, 시민참여 데이터 분석 협력체계 확대에 나선다. 시는 "복잡한 도시문제가 점차 증가하면서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등 첨단기술을 활용할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다"며 "이에 따라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의사 결정과 정책 집행 과정에서 빅데이터 분석을 적극 사용하는 과학 행정을 추진키로 했다"고 설명했다. 우선 시는 실시간 도시 데이터를 개발해 공개한다. 이는 서울 내 관광특구, 공원, 고궁·문화유산 같은 주요 장소의 인구, 교통, 날씨 등 실시간 데이터를 활용하기 쉽게 가공한 데이터셋으로, 실시간 인구 데이터, 대기환경 정보 등의 데이터를 투입하면 인구 혼잡도·밀집도, 날씨·기온·미세먼지 등의 데이터가 산출된다. 시는 실시간 정보 제공이 필요한 서울시 주요 장소 50곳을 선정, 도시데이터를 개발·개방할 방침이다. 메타버스, 디지털트윈의 핵심 재료인 실시간 도시데이터의 선도적 개방으로 데이터 기반 산업 발전에 기여한다는 목표다. 이와 함께 시는 민·관융합(생활금융) 데이터를 고도화한다. 생활금융 데이터는 경제활동 중인 서울시민의 금융정보를 기초로 연구개발 및 통계 처리한 소득·부채 등의 금융 데이터다. 시민의 소득수준과 생활실태를 파악할 수 있어 활용 가치가 높다. 시는 내달 중 생활경제 데이터 개발을 마치고, 관련 부서와 정책 과제를 수행할 예정이다. 데이터 기반 행정 활성화에도 팔을 걷어붙인다. 시는 실·본부·국에서 요청한 분석과제를 중·장기 및 긴급과제로 구분해 상시 분석·컨설팅을 제공키로 했다. 예컨대 심야버스 노선 조정을 위한 카드매출 분석은 긴급과제로 설정해 데이터를 처리하고, 찾아가는 선별진료소 설치장소 선정은 중기과제로, 데이터결합을 통한 1인가구 실태연구는 장기과제로 두고 조사·분석을 실시하는 것이다. 시는 정책 결정시 경험·직관이 아닌 데이터 분석을 통해 과학적·객관적 의사결정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시는 데이터 분석 준전문가를 대상으로 도시연구를 지원, 공공데이터 활용 인력을 양성하는 '서울 데이터 펠로우십'을 추진한다. 이날 시에 따르면 참여자 접수 결과 43개팀, 111명이 신청했다. 시는 활용성 등을 평가해 ▲골목길 특성과 지역 낙인 효과를 고려한 서울시 도시 범죄 취약지 분석 ▲머신러닝을 활용한 서울시 전기차 수요예측 및 충전소 입지 선정 ▲생활권 5분 충전망을 위한 전기차 충전소의 최적입지분석 ▲영상처리 기술기반 골목길 도로 이용자 행위와 교통사고 위험성 분석 ▲생활이동 데이터를 활용한 서울시 통근·통학 시간 개선방안 연구 ▲서울시 생활환경별 특징과 그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계획 특성 분석 등 총 6개 분석과제를 선정했다. 오는 11월까지 과제를 수행하고, 12월부터는 분석 결과를 시민에게 공개하는 등의 후속 절차를 밟을 예정이라고 시는 전했다. /김현정기자 hjk1@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