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김문호
기사사진
NH투자증권, 퇴직연금 '100세시대 준비지수' 서비스 제공

NH투자증권은 손쉬운 노후설계 프로그램인 '100세시대 준비지수'에 부족한 노후자산을 보강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퇴직연금 컨설팅 서비스를 도입했다고 1일 밝혔다. '100세시대 준비지수'는 NH투자증권의 100세시대연구소에서 개발한 노후설계 프로그램으로, 복잡한 기존의 노후설계 프로그램들과 달리 누구나 이해하기 쉽고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것이 큰 장점이다. '100세시대 준비지수'는 총 4단계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1단계에서는 고객의 나이, 은퇴 후 희망 생활비를 입력하고 2단계에서는 현재 준비된 연금 자산 등의 정보를 입력한다. 3단계에서는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은퇴 후 희망 생활비의 과부족 여부 등 현재의 상태를 진단한 결과를 보여준다. 마지막 4단계에서는 연금 추가 적립, 근로기간 연장, 주택연금 가입, 임대소득 확보 등 부족한 노후 자산을 준비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번에는 '100세시대 준비지수'의 4단계 과정에서 부족한 자산을 보충하는 방법으로 퇴직연금(IRP)을 활용하는 방안을 추가한 것이다. 이번 퇴직연금의 '100세시대 준비지수' 서비스 도입으로 NH투자증권 퇴직연금 가입 고객은 현재 쌓인 퇴직연금 자산이 노후 대비 충분한지 본인의 재무상태를 손쉽게 점검하고, 은퇴·노후 준비 정도가 부족할 경우 컨설팅 결과에 따라 연금자산에 추가로 얼마를 더 불입해야 하는지 확인 해볼 수 있다. 이어 투자 가능한 퇴직연금 추천 상품을 제시하여 접근성이 한층 개선된 것도 특징이다. 나헌남 NH투자증권 연금영업본부장은 "퇴직연금은 은퇴 및 노후를 대비하는 가장 기본적인 자산인 만큼, '100세시대 준비지수'와 같은 맞춤형 노후설계를 기반으로 한 퇴직연금 준비가 바로 100세시대 자산관리의 첫걸음"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당사는 퇴직연금 전담 부서와 은퇴·노후 전문가들로 구성된 100세시대연구소 간 연계를 통해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개발하여 제공하고 있다"며, "이러한 시너지 역량을 바탕으로 앞으로도 퇴직연금 고객의 실질적인 노후 자산관리를 지원하고, 연금 자산관리의 명가로서 입지를 굳힐 것"이라고 밝혔다.

2016-11-01 09:45:21 김문호 기자
IBK기업은행, 미국 가스복합발전사업에 2억불 대출 주선

IBK기업은행은 GE, BoA, ICBC, Credit Agricole 등 글로벌 금융기관과 함께 미국 뉴욕주 크리켓밸리 가스복합화력발전소에 대한 프로젝트파이낸싱을 공동 주선했다고 1일 밝혔다. 총 사업비는 미화 15억 달러(약 1조 7000억원)로 대출금 7억불 중 5억달러는 상기 외국계은행에서 투입하고, 2억불은 IBK기업은행이 주선해 JB자산운용, 현대라이프, 흥국생명, 신한은행 등의 국내 기관이 참여한다. 자본금 8억달러는 TIAA(미국교직원공제회), 일본 도쿄전력 및 추부전력, Advanced Power(에너지 개발 전문기업) 등이 대출금에 앞서 투입할 예정이다. 미국 뉴욕주에 소재한 크리켓밸리 발전소는 최대 전력 수요지인 뉴욕시에서 가깝고 발전효율이 뛰어난 1.15GW급 최신식 설비를 갖출 예정이다. 노후화된 발전소가 많은 미국 발전시장 여건을 감안할 때 높은 이용률을 보일 것으로 기대되며, 건설은 미국 1위 건설사인 Bechtel에서 수행한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미국은 셰일가스의 영향으로 가스발전이 기저발전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뉴욕주를 포함한 미국 북동부를 수요처로 하는 소위 프리미엄 발전시장은 향후 국내 금융기관의 우량 투자처로 성장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2016-11-01 09:43:55 김문호 기자
유진자산운용, 퇴직연금 가입고객 대상 펀드 가입 이벤트

유진자산운용은 오는 12월 31일까지 우리은행 퇴직연금에 가입한 고객을 대상으로 펀드가입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1일 밝혔다. 이 이벤트는 우리은행 퇴직연금 DC 또는 IRP 가입자가 퇴직연금의 현금성 자산이나 예금을 '유진 챔피언 단기채 펀드(채권)'으로 교체하거나 신규 매수하는 경우 펀드 가입 금액에 따라 최대 3만원 상당의 상품권을 지급한다. '유진 챔피언 단기채 펀드(채권)'는 자산총액 60% 이상을 전자단기사채 및 신용등급 A2- 등급 이상의 기업어음에 투자하고, 나머지 40% 이하 수준으로 채권 및 수익증권에 투자해 수익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상품이다. MMF보다 기업어음의 투자 비중을 높여 MMF 대비 0.3~0.5%p 높은 수익률을 추구하고, 신탁수익권 및 파생결합사채 등의 투자를 통해 추가 수익을 얻는 전략이다. 또한, 평균 듀레이션을 비슷한 유형의 펀드보다 낮은 0.5년 내외로 유지해 금리변동에 따른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등 보수적인 관점에서 투자위험을 관리하고 있다. 윤성주 유진자산운용 채권운용1팀장은 "최근의 불확실한 시장과 저성장, 저금리가 지속되는 상황에서는 변동성이 낮으면서 예금금리보다 높은 이자 수익을 얻을 수 있는 단기채펀드가 긍정적인 대안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2016-11-01 09:43:39 김문호 기자
기사사진
삼성자산운용, 중국 베이징에 독자 자문사 설립

삼성자산운용이 중국 본토 시장 공략을 본격화한다. 삼성자산운용은 지난달 31일 구성훈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베이징 케리(Kerry Hotel)호텔에서 자문사 개소식을 열고 본격적인 중국 시장 공략에 나선다고 1일 밝혔다. 자문사 공식명칭은'삼성자문북경유한공사'며, 중국 현지에서 ETF 상품개발 및 운용관련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삼성자문북경유한공사는 현지 협력사인 건신기금에 지수형, 스마트베타, 테마형 ETF 등 선진 상품 출시에 대해 자문을 하게되며, 운용노하우에 대한 지원도 하게된다. 또 향후에는 자산관리 영역으로 자문 서비스를 확대하는 한편 채권, 해외펀드 등 펀드 비즈니스 전반에서 상호 협력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구성훈대표는"중국은 이미 자산운용시장 규모가 1경 2천조원이 넘는 초거대 금융시장이며, 현재 약 85조원인 ETF 시장 규모는 2020년 180조원 수준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며"한국의 삼성자산운용과 중국의 건신기금이 공히 1위 운용사인만큼, 상호 긴밀한 협력을 통해 아시아 ETF시장을 공략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삼성자산운용은 한국에서 관리자산 210조의 1위 운용사며, 건신기금(CCBP)은 세계 2위 건설은행 산하 기금사로, 올해 6월 관리자산 260조원을 돌파하며 중국 1위 자산운용사가 됐다. 삼성자산운용은 지난해 11월 건신기금과 중국 ETF사업 협력에 관한 MOU를 맺고 지난 5월 ETF사업 자문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향후 규제완화로 중국내 ETF 전문운용사 설립이 허용되면 삼성북경자문사는 건신기금과 별도의 합작 법인도 설립할 계획이다. 삼성자산운용은 아시아 최고 수준의 ETF운용 경쟁력을 바탕으로 꾸준히 해외시장으로 영역을 넓히고 있다. 작년 5월에는 선물 기반 ETF 2종을 홍콩 증권거래소에 상장시킨 것을 시작으로 올해 5월에는 원유선물 ETF를, 6월에는 레버리지?인버스 ETF 4종을 홍콩시장 최초로 잇달아 상장한바 있다.

2016-11-01 08:48:39 김문호 기자
메리츠證 3분기누적 순이익 1964억..세후ROE 15.06% 달성

메리츠종금증권은 9월말 누적 당기순이익 1964억원을 달성했다고 1일 밝혔다. 1∼9월영업이익은 2586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당기순이익은 14.3% 줄었다. 영업이익은 20% 감소했다. 올해 증시를 둘러싼 국내외 주변 환경이 지난해에 비해 상대적으로 악화된 영향이다. 3분기(7∼9월)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814억원과 630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일회성 이익 증가 등에 따른 기저효과로 전년 동기 대비 분기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13.3%와 11.1%씩 줄었다. 지난 2분기에 비해서는 25.4%와 24.2%씩 감소했다. 3분기 주식 거래대금이 전분기 대비 4% 감소하고, 미국 금리 인상 가능성이 대두되면서 줄곧 내림세였던 국내 채권금리는 제자리걸음했다. 이 영향으로 대다수 증권사들의 3분기 실적이 후퇴했다. 메리츠종금증권은 9월말 누적 순이익을 기초로 연환산한 세후 자기자본수익률(ROE)이 15.06%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증권업계에서 가장 높은 수익성을 기록했다. 건전성 지표 역시 양호한 수준을 보였다. 9월말 연결기준 영업용순자본비율(NCR)은 706.25%, 레버리지비율은 656.6%를 나타냈다. 업계 전반의 구조조정 기조에도 인력은 오히려 늘었다. 지난 6월말에 비해 40명이 늘어 9월말 인원수는 1478명으로 집계됐다. 작년말 대비 94명이 순증했다. 회사 관계자는 "3분기 주식 거래대금 감소와 채권 금리 횡보세 등 부정적 영향으로 리테일, 트레이딩, 홀세일 부문의 이익 개선세가 미흡했지만 당사 강점인 기업금융(IB)부문의 실적호조가 지속되면서 이들 사업부문의 부진을 상쇄했다"고 말했다. 이어 "인수금융과 해외부동산Deal 등 부동산 이외부문에서 IB신규역량강화가 가시화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2016-11-01 07:55:49 김문호 기자
기사사진
[김현기의 퇴직연금과 은퇴설계] <17>확정기여형제도

(17)확정기여형(DC) 제도 퇴직연금제도의 유형에는 ①DB(Defined Benefit Plan 확정 급여형제도), ②)DC(Defined Contribution Plan 확정 기여형제도), ③)혼합형(DB와 DC를 일정 비율로 혼합한 제도), ④기업형 IRP(Individual Retirement Plan 10인 미만 사업장이 가입할 수 있는 개인퇴직연금 제도) 그리고 개인이 퇴직할 때마다 계속 관리 할 수 있는 ⑤)IRP(Individual Retirement Plan 개인형 퇴직연금 제도)가 있습니다. Q:퇴직연금 제도 중 DC(Defined Contribution Plan 확정 기여형제도)가 무엇인가요?. A:DC제도에서 기업은 DC 부담금(기업이 내야 하는 DC 퇴직급여)을 100% 사외 금융회사(퇴직연금 사업자)에 적립(기여 Contribution) 함으로써 부담금 의무는 확정(Defined) 됩니다. 이 때 기업의 퇴직연금 부담금은 연간 임금 총액의 1/12입니다. 기업 근로자가 DC 퇴직연금 제도를 하고 있다면 회사가 자신에게 적립해준 퇴직급여 적립금을 본인의 책임 하에 운용하여야 합니다. 즉, DC제도는 근로자의 책임으로 운용되는 퇴직연금 제도 입니다. 이때 책임이라 함은 DC퇴직연금 적립금의 운용 책임입니다. 즉, 근로자가 적립금 운용을 위한 금융상품을 선택하고 그 결과인 수익이 많고 적음에 대해 책임을 집니다. 예를 들어 DC제도로 만 3년을 근무하고 퇴직하는 근로자의 경우 1년차에 200만원, 2년차에 220만원, 3년차에 242만원의 적립금이 매년 입금되면 이를 지속적으로 운용합니다. 퇴직할 때 퇴직금은 매년 적립금의 합계인 662만원과 운용수익의 합계액이 됩니다. DC의 운용 결과는 근로자에 따라 퇴직금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DC제도를 하고 있는 근로자는 퇴직연금에 더하여 추가로 적립 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추가 납입 한도는 연말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는 700만원을 포함하여 1800만원입니다. /신한금융투자 신한네오50 연구소장

2016-10-31 14:47:30 김문호 기자
KEB하나은행, "정유라 특혜 없었다"...임원 승진도 적절

금융권이 정국을 흔들고 있는 '최순실 게이트'의 불똥이 튈까 긴장하고 있다. 최 씨가 독일에 집을 마련할때 특혜 대출을 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나온 KEB하나은행은 "특혜를 제공한 사실이 없다"며 의혹을 부인했다. 10월 31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지난 10월 26일 최씨 모녀의 외화지급보증서(Standby LC) 등을 발급한 KEB하나은행에 대해 종합검사기간을 일주일 연장했다. 은행 안팎에서는 최 씨 모녀에 대한 특혜대출 의혹과 관련된 것 아니냐는 시선을 보내고 있다. 하지만 KEB하나은행 측은 "유럽에서는 외국인이 대출 받을 때 대출자의 보증담보를 요청하는 경우가 종종있다"면서 "이번 외화지급보증서도 기업, 개인 발급이 모두 가능한 일반적인 거래로, 특혜가 아니다"고 강조했다. 이어 "현재 KEB하나은행의 외화지급보증서를 발급 받은 고객은 총 6975명이고 이 중 개인고객은 802명으로 약 11.5%에 해당한다"면서 "(최 씨 모녀에게) 발행한 외화지급보증서는 부동산담보를 취득한 후 발행한 정상적인 거래"라고 덧붙였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정재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0월 28일 열린 예산결산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최순실씨 조력자로 의심되는 KEB하나은행 독일법인장 이 모씨가 올해 초 한국 지점장으로 발령받고 임원으로 승진하는 등 특혜를 받은 정황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KEB하나은행 측은 "하나금융그룹은 오는 2025년까지 전체이익 중 글로벌사업 이익비중 40% 달성이라는 목표를 대외적으로 발표했고 이에 따라 글로벌사업부문 강화를 위해 지난해 2월 조직개편을 통해 글로벌 영업 1, 2본부를 신설했다"며 "이 씨가 해외근무 경력이 풍부하고 우수한 영업실적을 냈기 때문에 적정한 임원 선임 절차를 거쳐 선임됐다"고 밝혔다.

2016-10-31 14:44:47 김문호 기자
기사사진
[선강퉁 시대]선전거래소는?

선전증시는 어떤 시장일까. 많은 이들이 선과 후의 의미를 앞(先)과 뒤(後)로 오인하는 경우가 있는데 후강퉁(扈港通)과 선강퉁(深港通)은 지명과 관련돼 있다. 후강퉁(扈港通)에서 후는 상하이, 강은 홍콩을 의미해 상하이거래소와 홍콩을 통하게 한다는 의미다. 반면 선강퉁(深港通)의 선은 '선전(심천)'을 의미하며 심천거래소와 홍콩을 이어준다는 의미다. 중국의 신경제 관련 기업들이 다수 몰려있다. 업종별로 정보기술(IT·20.7%), 산업재(19.7%), 경기소비재(16.2%) 등의 비중이 높다. 중국 대표 증시인 상하이지수에 금융업이 34.0%로 가장 많고, IT는 4.4%에 불과한 것과 대조된다. 세계 1위 전기자동차 회사인 중국 비야디(比亞迪), 중국 1위 영화 배급사 완다(萬達)시네마, 헬스케어 회사 상하이라이스(上海萊士) 등이 선전증시의 대표 종목으로 꼽힌다. 대표 지수로는 거래소 시가총액 상위 500개 기업으로 구성된 선전성분지수, 중소기업 위주인 중샤오반(中小板·SME), 벤처기업 중심으로 '중국판 나스닥'으로 불리는 촹예반(創業板·차이넥스트) 등이 있다. 이는 메인보드만 있는 상하이 증시와 구별되는 특징으로, 자본시장과 중소기업을 육성하고자 하는 중국 정부의 정책이 낳은 결과다. 특히 창업판은 미국의 나스닥시장, 우리나라의 코스닥시장과 비슷하다. 12개월 예상 주가수익비율은 27.3배로 밸류에이션이 높다. 이는 선진국 PER 16.3배, 신흥국 12.5배, 상해 13.4배에 비해 훨씬 높다. 선전시장 중의 중소판 및 창업판을 보면 더욱 높고, 심지어 100배가 넘는 종목도 있다. 선강퉁으로 해외투자자들에게 문호가 열리는 종목은 880개 수준으로 추정된다.

2016-10-31 13:51:24 김문호 기자
기사사진
[선강퉁 시대]문 열리는 ‘중국판 나스닥’ 선강퉁 파헤치기

11월 한국의 개인투자자들이 중국 선전거래소 상장 주식을 직접 사고팔 수 있는 '선강퉁(深港通) 시대'가 열린다. 중국 정부가 선전과 홍콩 증시의 교차 거래를 허용하면서 외국인의 선전증시 직접 투자가 가능해진 것. 선(深)은 선전을, 강(港)은 홍콩을 의미하며 선강퉁은 양쪽을 통(通)하게 한다는 뜻이다. 선강퉁을 향한 국내 투자자들의 관심은 상당한 수준이다. ◆ 달아오른 선강퉁 중국펀드로 자금이 몰리고 있다. 10월 31일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 28일 기준 연초 후 중국본토펀드에 유입된 자금은 3747억원이었다. 최근 한달 동안은 234억원, 3개월 동안은 588억원의 자금이 유입됐다. 국내 투자자들의 관심이 많다는 방증이다. 한 달 새 수익률도 3.00%를 기록했다. 국내 증권사들도 선점 경쟁이 치열하다. 삼성증권은 중신(CITIC)증권, 대만 KGI증권 등 현지 증권사와 제휴를 맺으며 범중화권 네트워크를 확대했다. 선전증시의 5개 대표업종과 업종별 유망종목을 선정해 소개한 '심천(선전) 주요기업 미리보기' 시리즈를 내놓기도 했다. NH투자증권은 선강퉁 개시를 앞두고 프라이빗뱅커(PB) 역량 강화에 주력하고 있다. 해외주식 사관학교를 개설해 운영 중이며, 현재까지 약 400여명의 PB들이 과정을 이수했다. 또 차이나데스크를 가동해 해외기업 분석과 투자전략으로 중국 시장 및 기업을 분석하고 있다. 신한금융투자는 이미 매매시스템을 개발, 고객 유치에 공을 들이고 있다. 하나금융투자는 현지 대형 증권사인 초상증권과 함께 선강퉁 대비 세미나를 개최하는 등 준비를 마친 상태다. 앞서 '하나 중국1등주' 상품 시리즈를 이끈 인력이 주축이 됐다. 미래에셋대우는 11월 선강퉁 시행에 대비해 지난 8월 29일부터 거래량 상위 500개 종목의 지연시세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미래에셋대우는 중국 선전증시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인덱스펀드인 '미래에셋차이나심천100인덱스'를 판매하고 있다. 한국투자증권은 중국주식 투자에 관심 있는 모든 고객에게 선강퉁 지수와 개별종목의 실시간 시세 조회 서비스를 무료 제공한다. ◆ HTS로 안방에서 '직구', 중국 본토펀드 대안 선강퉁 투자는 간단하다. 선강퉁 거래 체제를 갖춘 증권사에서 해외 증권매매 전용 계좌를 개설하면 된다. 거래는 위안화로 하기 때문에 별도로 위안화를 마련하고 안방에서 매매주문을 내면 된다. 증권사 중국 전문가들은 선전증시에 상장된 종목 중에서 전기차, 헬스케어, 소비재, 콘텐츠 관련 종목에 투자할 만하다고 추천한다. BYD는 이미 세계적인 전기차 업체이고 알파그룹은 '중국의 디즈니'로 통하는 중국 최대 애니메이션 기업이다. '오마하의 현인' 워런 버핏도 자신이 경영하는 '버크셔해서웨이 에너지(BHE)'를 통해 BYD 지분 9.1%를 보유하고 있다. 중국 1위 영화 체인 배급업체인 완다시네마도 기대주로 꼽힌다. 완다시네마는 영화 상영관뿐만 아니라 제작, 온라인 티켓 판매 등 수직계열화에 힘쓰고 있다. 올해 들어 다크나이트, 워크래프트를 제작한 미국영화 제작사 레전더리 엔터테인먼트를 흡수했으며 최근에는 미국 6대 메이저 영화 제작사 중 하나인 파라마운트 인수 의사를 밝힌바 있다. 또 중국 프리미엄 주방용품 선두주자인 로밤전기, 중국 백색가전 업체 메이디, 혈액제제 전문의약기업 상하이라이스 등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NH투자증권 박인금 연구원은 "중국본토시장은 후강퉁과 이번에 시행될 선강퉁까지 감안해도 외국인 투자 비중이 4% 미달이며 기관투자자도 약 23%로 추정되어 비중이 상대적으로 작다. 따라서 개인중심의 본토시장에 대한 투자심리와 정책기대, 테마주에 치우치는 한계가 존재한다"면서 "이는 선강퉁이 시행되더라도 무조건 홍콩이나 본토에서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종목의 주가가 오를 것이라고 보기는 무리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지적했다. 직접투자가 어렵다면 중국 본토 중소형 성장주를 많이 담은 펀드나 상장지수펀드(ETF)를 눈여겨보는 것도 좋다. 유안타증권 김후정 연구원은 "2017년말까지 해외주식투자전용계좌의 펀드 가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중장기적으로 성장성이 기대되는 중국본토펀드에 가입해두는 것이 유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내 증시에 부정적? 선강퉁이 투자자들에게 황금알을 안겨 줄까. 중국은 자본시장 개방에도 불구하고 중국 주식시장에서 외국인투자자(QFII, RQFII 등 기관투자자 포함)들의 거래비중이 5% 미만이다. 선강퉁 시행으로 추가 개방된다 할지라도 이 비중이 크게 변하긴 어렵다. 올해 들어 후강퉁의 일평균 거래대금은 약 29억위안이다. 이를 선강퉁에도 똑같이 적용하면 이는 선강퉁에 편입될 심천A주 종목들의 일평균 거래대금의 1.1%, 7월 심천A주의 일평균 거래대금인 3,778억위안의 0.8%에 불과하다. 국내 증시에는 부정적이란 시각도 있다. 선강퉁으로 인해 중국 A주의 MSCI 신흥국(EM) 지수 편입 가능성이 커지면, 한국 증시에서 자금이 이탈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투자증권 최설화 연구원은 "선강퉁 개방으로 내년 중국 A주가 MSCI 신흥국지수에 편입될 가능성이 높아졌다"며 "A주가 신흥국지수에 들어가면 한국은 자금 이탈을 경험할 수밖에 없어 부정적"이라고 설명했다.

2016-10-31 13:50:35 김문호 기자
금융공기업 CEO 인사 올스톱? 인사 공백·파행 우려

"기업은행장 자리에 틈만 나면 낙하산 인사를 내려 보낼 노림수를 거둬야 한다." 정부를 향한 기업은행 노동조합의 최근 성명이다. 한때 내정설이 돌던 현기환 전 청와대 정무수석은 '낙하산 인사'에 대한 비판론이 커지자 꼬리를 감췄다. 친박 핵심 인사인 현 전 수석은 올해 하반기부터 금융권 유력 기관 낙하설이 불거졌던 인물로, KB국민은행장 후보로도 거론됐다. 현 권선주 행장의 3년 임기는 오는 12월 27일까지다. 임기가 2달여가 채 남지 않은 셈이다. 그러나 기업은행장 자리는 '진공상태'가 예상된다. 국정개입 '비선 실세' 의혹을 받는 '최순실 게이트'가 터지면서 정부의 '낙하산 인사' 부담이 커졌기 때문이다. '인사 난맥'에 따른 파행적 운영은 비단 기업은행만의 일이 아니다. 주요 공기업과 정부 소유 금융지주 자회사 상당수가 '인사 혼란'에 직면한 것. 얼마 전까지만 해도 "누가 올까. 이번에도 누구 누구 낙하산이 온다"라는 말이 많았지만 이제는 잠잠해졌다. 인사가 늦어지면서 일부 공기업에서는 내년 경영계획 수립은 물론 일상 업무조차 삐걱거리는 부작용이 우려된다. 차기 최고경영자(CEO) 선임이 불투명해져서다. ◆ 공기업 CEO인사 '최순실 게이트'로 올스톱? 10월 31일 금융권에 따르면 기업은행 안팎에서는 권선주 행장의 연임 가능성이 제기된다. '연임은 없다'는 현 정부의 특성상 내부 승진 가능성도 있다. 박춘홍 전무와 김도진·시석중 부행장, 유석하 IBK캐피탈 사장 등이 후보군으로 꼽힌다. 정부 주도로 기업은행장을 선임하는 시스템 때문에 기업은행의 24대 행장인 현 권선주 행장까지 기업은행에서 내부 승진으로 은행장에 오른 인사는 단 2명뿐이다. 23대 조준희 행장과 24대 권선주 행장이 주인공이다. 기획재정부, 금융위 등 주요 부처 차관급 인사가 옮겨갈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게 시장 안팎의 시각이다. '최순실 사태'에 부담을 느낀 정부나 당사자로 거론된 이들 모두 여론의 뭇매를 맞을 가능성이 적잖아서다. CEO선임 절차를 밟고 있는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와 한국예탁결제원도 걱정이다. 다음달 임기가 끝나는 홍영만 캠코 사장 자리에는 문창용 전 기획재정부 세제실장을 비롯한 4명의 인사가 지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금융권 안팍에서는 문 전 실장 내정설이 돌고 있다. 문 전 실장은 대기업 일감 몰아주기 과세, 연말정산 소득공제 항목의 세액공제 전환 등 세법 개정을 이끈 인물로 기재부의 인사 적체를 해소하고자 지난 8월 보직 없이 퇴직했다. 캠코는 임추위가 복수의 후보를 선정해 금융위원회에 보고하면 금융위원장이 이중 한 명을 제청해 대통령이 임명한다. 자산관리공사는 지난 7월 사외이사 임명 과정에서 친박계 낙하산 논란이 있었다. 당시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송창달(74) 그린비전코리아 회장이 사외이사에 임명됐다. 예탁결제원도 자칫 장기 공백사태에 빠질 가능성이 커졌다. 유재훈 예탁결제원 사장 후임으로는 이병래 금융위원회 증권선물위원회 상임위원이 유력하게 거론돼 왔다. 임추위 한 소식통 "지난 9월 22일 임추위 발족 이후 후임 선정과정이 전혀 진행이 되고 있지 않다"고 전했다. 우리은행 CEO자리를 놓고도 말이 많다. 이광구 우리은행장의 임기가 올해 12월 30일 만료되기 때문이다. 내부에선 민영화가 마무리되는 오는 2017년 3월까지 이 행장이 자리를 지킬 것으로 보고 있다. 민영화 과정에서 새로운 과점 주주 이사회가 구성되면 차기 행장 선임 절차가 본격화된다. 박근혜 정부 마지막 금융권 CEO선임이라는 점 때문에 '보은(報恩)인사'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과점주주 위주로 이사회가 구성되더라도 예금보험공사가 여전히 최대주주로 남아 있어서다. 권혁세 전 금융감독원장과 김주현 전 예금보험공사 사장 등이 거론된다. 문제는 최근 터진 '최순실 게이트'로 현 정권이 낙하산 인사에 부담을 느낄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럴 경우 내부 승진 가능성에 무게가 실릴 것으로 보인다. 우리은행 내부에선 차기행장으로 이동건 영업지원본부 그룹장, 남기명 국내그룹장, 김재원 부행장 등이 언급되고 있다. 지난 CEO선임때도 유력후보로 거론된 이동건 그룹장은 경북고와 영남대를 나왔다. 윤창현 공적자금관리위원회 민간 위원장(서울시립대 교수)은 지난 8월 "일단 임원후보추천위원회에서 새로운 사외이사들이 차기 행장 선임에 참여할 수 있도록 뒷받침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김한철 기술보증기금 이사장은 내년 1월 중순 경 임기가 끝난다. 내년 3월에는 이덕훈 수출입은행장의 임기가 만료된다. ◆ 꿀보직 공기업CEO 계륵으로 전락? "○○에 이력서 내봐." 얼마전 A씨는 여권의 한 인사로부터 전화를 받았다. 공개모집 절차를 진행하는 한 공기업에 지원하라는 내용이었다. 예전 같으면 반가운 전화였다. 그 기관 업무와 관련된 이력은 없지만 예전 같으면 '올커니' 하고 지원했을 거이다. 하지만, 고민 끝에 마음을 접었다. 정권 말기 낙하산 인사에 대한 부담이 만만치 않아서다. 그는 "요즘 안도의 안숨을 쉰다"고 전했다. '최순실 사태'가 터진 시점에서 입방아에 거론되기라도 한다면 이력에 흠집이 생길뻔 했다고 전한다. 임기가 끝나는 금융 공기업 기관장과 임원 인사가 공백사태에 빠지지 않을까 걱정이다. '최순실 게이트'가 일파만파 확산되서다. 근본적인 원인은 따로 있다. 정권이 바뀔 때마나 "기관장·감사의 전문성 자격 요건과 임추위 독립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인사 시스템을 개선하겠다"고 공언 하지만, 정권 창출에 기여한 측근들의 공로를 합법적으로 치하 하는 수단으로 전락했기 때문이다. 공공기관 임원 자리를 '전리품'으로 여기는 것. 금융권 한 관계자는 "유명 무실한 인사 시스템 아래서 청와대의 한마디 말에 인사가 결정되는 게 문제"라면서 "인사 진공상태가 나타난다면 그 만큼 국민들의 피해가 커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2016-10-31 13:44:07 김문호 기자
기사사진
신한금융투자, '베트남/인도네시아 MTS' 서비스 오픈!

신한금융투자는 모바일로 베트남과 인도네시아 주식을 매매할 수 있는 MTS(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 서비스를 11월 1일 오픈하고, 기념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10월 31일 밝혔다. 증권업계 최초로 제공되는 베트남 MTS의 경우 모바일을 통해 종목시세, 차트, 기업 재무제표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업계 최저 수준인 0.45% 수수료율로 베트남 주식을 매매할 수 있으며, MTS를 통한 환전이 가능하다. 국내 결제일은 매매 후 2영업일(T+2일) 로, 매수 후 결제가 이루어 지기 전 매도는 불가하다. 인도네시아 MTS의 경우 실시간 환전이 가능한 게 특징이다. 국내 결제일은 매매 후 3영업일(T+3)로, 매수 후 결제일 전 매도는 불가능하다. 신한금융투자는 베트남·인도네시아 MTS 오픈을 기념하는 이벤트를 11월 2일부터 12월 말까지 진행한다. 이벤트 기간에 MTS로 베트남·인도네시아 주식을 매매한 고객에게 여행상품권, 실시간 시세 이용료 무료제공 등 다양한 경품을 제공할 예정이다. 신한금융투자 김형환 디지털사업본부장은 "베트남/인도네시아/선강퉁 등 해외주식뿐 아니라 글로벌 상장지수펀드(ETF)·해외채권 등 다양한 투자상품과 외환시장 전망에 대한 투자 박람회가 11월 12일 (토) 서울 코엑스(COEX)에서 진행될 예정"이라며 "성장 잠재력이 높은 신흥국 및 해외시장의 흐름을 직접 확인할 기회가 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2016-10-31 11:22:01 김문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