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이현진
기사사진
내년 공립초 교사 4245명 선발…‘늘봄’ 위해 전년 比 1088명 증원

교육부가 내년 초등학교에 배치할 신규 교사를 올해 최종 선발인원보다 1088명(34%) 늘려 총 4245명을 선발한다. 2학기부터 전면 시행 예정인 늘봄학교를 지원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선발 규모를 크게 늘리면서다. 교육부는 9일 이런 내용을 담은 17개 시·도교육청별 '2024학년도 공립 유·초·중등·특수·비교과 신규 교사 임용시험 사전 예고' 현황을 내놨다. 올해 전국 17개 시·도에서 임용시험으로 선발하는 공립 초·중등 교원 수는 1만975명이다. 학령인구 급감으로 신규 교사 채용 규모를 줄이던 최근 흐름과 다르게 전년보다 1000명 넘게 증가한 수치다. 특히 초등교사 선발 예정 인원이 총 4245명으로 집계돼 가장 크게 늘었다. 이는 2학기 초등학교에 전면 도입하는 늘봄학교 업무를 총괄하는 늘봄지원실장을 선발해 임기제 교육연구사(지방직 공무원)로 전직하는 인원을 고려한 조치다. 늘봄지원실장은 1~2년에 걸쳐 한시적으로 신규 채용될 전망이다. 전국 시도교육청 17곳 중 16곳에서 선발 규모를 늘렸으며, 서울은 올해 최종 선발인원(110명)보다 2배 이상 늘려 265명을 선발할 계획이다. 반면 전남은 유일하게 전년(150명)보다 15%p가량 감소한 128명을 선발하겠다고 예고했다. 지역 학생 수 급감에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 중등 교과 신규 교사 선발 규모는 4814명으로 4518명이던 전년도보다 296명 늘었다. 시도교육청별로 보면, 17곳 중 8곳에서 중등 교과 신규 교사 선발 규모를 늘리겠다고 발표했다. 특히 인천시교육청이 296명으로 전년과 견줘 2.1배가량 늘렸고, 서울은 767명으로 전년(694명)보다 10.5% 채용 규모를 늘리기로 했다. 공립 유치원 교사는 전국에서 377명을 선발한다. 이는 304명이던 전년도보다 73명(24%) 늘어난 규모다. 2019학년도 이후 6년 만의 증원이다. 이밖에 공립 특수교사 선발 예고 인원은 733명, 비교과 교사는 총 806명이다. 사전예고 선발 규모는 교원 수급 등 특별한 사유 발생 시, 시험일 3개월 전까지 조정 및 예고가 가능하다. 최종 선발 규모는 매년 9~10월 확정된다. / 이현진 메트로신문 기자

2024-08-07 12:27:54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윤진희 인하대 교수, 한국물리학회 첫 여성 회장 선출

인하대학교(총장 조명우)는 윤진희 물리학과 교수가 최근 열린 한국물리학회 학회장 선거에서 제31대 학회장으로 선출됐다고 7일 밝혔다. 윤진희 교수는 학회 회원 1369명 중 1144명(투표율 83.56%)이 참여한 학회장 선거에서 653표(57.08%)를 얻으며 당선됐다. 윤진희 교수는 '바꿉시다. 우리 모두의 물리학회로!'를 슬로건으로 지역, 소속, 분야, 성별 등 다양한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는 학회원들의 목소리를 공약에 적극적으로 담아냈다. 특히 물리학 교육의 회복과 삭감된 기초과학 연구개발(R&D) 예산 복원을 위한 적극적인 대정부활동, 세계 각국의 학회와 긴밀한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물리학회 국제화를 공약으로 내세웠다. 또한 물리학에서 발원된 양자나 반도체 등 첨단과학에서의 주도권을 되찾고, 이에 대한 대국민 홍보를 통해 인류문명을 선도하고 있는 물리학의 가치를 되살리는 대대적인 대중화 활동도 약속했다. 윤진희 교수는 2025년 1월부터 2년간 한국물리학회를 이끌 예정이다. 한국물리학회의 72년 역사 동안 여성 학회장이 당선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앞서 미국물리학회는 1975년에 중국계 물리학자인 치엔쉬웅 우 (Chien-Shiung Wu) 교수(핵물리학), 일본물리학회는 1996년에 후미코 요네자와(Fumiko Yonezawa) 교수(이론물리학), 영국물리학회는 2008년에 죠스린 벨 버넬 (Jocelyn Bell Burnell) 박사(천체물리학)가 최초의 여성 물리학회장으로 위촉된 바 있다. 현재 미국물리학회장도 한국계 여성인 김영기 교수(입자물리학)로 미국 물리학계를 이끌고 있다. 한국물리학회는 한국전쟁 중인 1952년에 창립됐다. 현재 12개의 분과와 7개의 지부에서 1만8000여명의 회원을 가진 한국 기초과학의 대표적인 학회다. 일본, 미국을 포함한 7개국 물리학회와 교류하고 있으며, 물리학 관련 국제기구인 국제순수 및 응용물리학연맹(IUPAP), 아시아태평양물리학회연합회(AAPPS), 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센터(APCTP) 등에 가입해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윤진희 교수는 1986년 서울대 물리학과를 졸업한 뒤 1994년 미국 퍼듀대학교에서 박사학위(핵물리학이론)를 취득하고 1995년부터 인하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2016~2022년 한국·세른(유럽 핵입자물리 연구소·CERN)의 국제협력사업의 ALICE 한국실험팀장을 역임했고, 2022~2023년 중이온가속기 이용자협회장을 지낸 바 있다. 윤진희 물리학과 교수는 "여성과 남성을 떠나 물리학계를 대변하는 한국물리학회 회장을 맡게 돼 기쁨에 앞서 책임감이 크다"라며 "물리학을 통해 삶과 생각을 변화시키려는 꿈을 꾸는 것처럼 미래 세대도 우리와 같은 꿈을 꿀 수 있는 세상을 만들도록 회원들이 하나가 돼 함께 노력하겠다"고 포부를 말했다. / 이현진 메트로신문 기자

2024-08-07 10:56:32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고려대-재영한인과학기술자협회, 글로벌 산학협력 강화 MOU

고려대학교(총장 김동원)는 재영한인과학기술자협회(회장 진성호)와 지난 1일 영국 워릭대에서 산학 협력과 다양한 업무 협력의 효율성 향상을 목적으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6일 밝혔다. 이번 업무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산학협력 공동 연구 과제 및 연구자 발굴 정보 교류 ▲산학협력 창업, 기술이전 등 관련 정보 교환 ▲영국 및 아일랜드 내 산학협력 전문가 정보 교환 ▲산학협력 생태계 구축을 위한 공동 협력을 한다. 유혁 고려대 연구부총장은 "이번 MOU 체결을 통해 고려대와 재영한인과학기술자협회 간의 협력 관계를 더욱 공고히 하고, 영국뿐만 아니라 다른 유럽 국가들과 글로벌 산학협력의 새로운 장을 열게 되는 발판이 될 것"이라며 "양 기관이 함께 협력하여 혁신적인 연구와 기술 발전을 이루어 나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진성호 재영한인과학기술자협회장은 "EKC는 유럽 내 한인 과학기술인들과 교류할 수 있는 유일한 행사"라며 "고려대와의 이번 협약은 한국과 유럽 간 국제협력을 확대하는 밑거름이 되어 유럽에서 한국 과학기술 위상을 더욱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협약은 재영한인과학기술자협회와 한국과학기술총연합회가 공동 주관한 '유럽-한국 과학기술 학술대회 2024(EKC: Europe-Korea Conference on Science and Technology)' 행사 중 이뤄졌다. 올해로 16회를 맞이한 EKC는 한국과 유럽의 엔지니어와 과학자들이 최근 연구 성과를 발표하는 콘퍼런스로 지식과 아이디어를 교환하며 새로운 관계를 맺는 행사이다. /이현진기자 lhj@metroseoul.co.kr

2024-08-06 15:28:15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지방 공공기관 신규 채용 35% ‘지역인재’ 의무…경력공채 제외

앞으로 비수도권 공공기관은 신규 채용 인원의 35% 이상을 지방대학 출신 '지역인재'로 선발해야 한다. 다만, 소규모 채용이거나 경력공채의 경우 의무를 지키지 않아도 된다. 교육부는 6일 국무회의에서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에 관한 법률(이하 지방대육성법) 시행령' 일부개정 법률안이 심의·의결됐다고 밝혔다. 지난 2월 개정 돼 오는 14일부터 시행을 앞둔 '지방대육성법'에 따라 비수도권 공공기관에서 신규 직원 채용 시 의무적으로 신규 채용인원 중 지역인재를 35% 이상 뽑아야 한다. 다만, 이번 '지방대육성법 시행령'을 개정을 통해, 채용 인원이 소규모이거나 고도의 전문인력 및 특수인력의 확보가 필요한 경우 등 지역인재 의무채용 예외를 대통령령으로 정하도록 했다. 비수도권 공공기관의 인사와 운영의 자율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지역인재 의무채용의 예외사항은 ▲연간 채용인원이 5명 이하인 경우 ▲채용 분야와 관련된 박사학위(교육부 장관이 정해 고시하는 특정 분야인 경우에는 석사 이상의 학위)를 취득한 사람으로 제한해 채용하는 경우 ▲채용 분야와 관련된 업무에 일정 기간 이상 종사한 경력 등을 응시요건으로 할 때 적용된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공공기관이 지역인재를 적극 채용하고, 인사 및 운영의 탄력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뒷받침하겠다"라고 밝혔다. / 이현진 메트로신문 기자

2024-08-06 14:10:23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전국 최초 ‘사립학교 순회교사제’ 개시 사례, ‘적극행정’ 최우수상

사립학교 교원 구인난 해소, 고교학점제 지원 등을 지원하는 '사립학교 순회교사제'를 제안, 전국 최초로 실시한 한혜숙 서울시교육청 중등교육과 장학관이 올해 상반기 적극행정 우수공무원 최우수 공무원으로 뽑혔다. 서울시교육청은 올해 상반기 '적극행정 우수사례 경진대회'를 실시하고 한혜숙 장학관을 비롯해 우수공무원 8명을 선발했다고 6일 밝혔다. '적극행정 우수사례 경진대회'는 적극적으로 업무를 처리한 공무원의 자긍심을 고취하고 공직사회 적극행정 풍토를 조성하고자 마련됐다. 최우수상을 수상한 '사립학교 순회교사제 개시, 사학 인사 혁신으로 계약제교원 구인난, 고교학점제 등 학교교육을 지원하다' 사례는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특정교과의 수업시수 감축과 과원 발생 ▲고교학점제 도입으로 학생 과목선택에 따른 수업시수 격차 증가 ▲특정 교과의 계약제 교원 구인난 등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해당 주공적자가 적극적으로 업무를 추진한 사례이다. '사립학교 순회교사제'는 전국 최초이자 유일하게 도입됐으며, 사립법인 간 소통이 원활하지 않고 학교별 요구사항이 달라 순회교사를 공유할 사립학교 매칭의 어려움을 극복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또한 정보·컴퓨터, 과학, 중국어, 일본어, 음악, 미술 등 수업시수 10시수 미만 과목의 정규 및 기간제 교사 채용 어려움을 해소했으며, 고교학점제를 운영하는 고등학교의 경우 소수 시수의 과목 개설을 가능하게 해 학생 과목 선택권 보장에도 기여했다. 우수상에는 ▲남부교육지원청 교육협력복지과(現 재정지원과) 교육행정6급 김도영(늘봄학교·위기학생 지원, 지역과 함께 손잡고 해결) ▲강서양천교육지원청 행정지원과 전산6급 엄지원(이젠 학생 배정도 4세대 시대! 빠르고 정확하게 논스톱으로 중학교 배정)이, 장려상에는 ▲강서양천교육지원청 학교시설지원과 공업6급 고재환(발상전환 '흄방지기' 전국 최초 도입) ▲남부교육지원청 학교통합지원센터 장학사 이수경(학교폭력 사안처리의 교육적 패러다임 전환 '진심통심') ▲서울시교육청 초등교육과 교육행정6급 권한솔(서울형 초등돌봄교실! 프로그램 다양화와 공간 혁신으로 미래 준비)이, 귀감상엔 ▲성동광진교육지원청 재정지원과 교육행정7급 이대현(옥정초 교육문화관을 학생과 지역주민이 함께 향유하는공간 조성) ▲서울시교육청 참여협력담당관 교육행정7급 이경아(무너진 교육공동체 회복을 위한 신속한 예비학부모 표준 길라잡이 제작) 등이 선발됐다. 서울시교육청은 우수등급별로 포상금(최대 15만원)을 지급하고 포상 휴가를 부여(최대 5일)하는 등의 인센티브를 제공할 방침이다. / 이현진 메트로신문 기자

2024-08-06 12:26:05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호서대 산업디자인학과, ‘2024 스파크 디자인 어워드’ 수상

호서대학교(총장 강일구)는 산업디자인학과 학생들이 국제 디자인상인 미국'2024 스파크 디자인 어워드(Spark Design Award)'에서 3개의 작품이 위너(Winner)에 선정됐다고 6일 밝혔다. 수상작은 ▲3D 프린팅 비타민 제조기'Mix Me Vita'(최연주, 서수빈) ▲반려인과 반려견이 함께 사진을 찍는 사진기 'Pet Pair Cam'(이가희, 이민우) ▲도로 인쇄 로봇인'Road Printer'(황연우, 김태린)으로 작품의 독창성과 혁신성을 인정받아 수상했다. '스파크 디자인 공모전'은 독일의 Reddot, IF, 미국의 IDEA와 함께 세계 4대 디자인 어워드로 손꼽힌다. 호서대 산업디자인학과는 2024년 독일 Reddot 컨셉디자인어워드에서도 수상작 'Pop-haler'로 '대상(Best of the Best)'을 수상했다. 이번 수상작 지도교수인 도한영 산업디자인학과 학과장은 "호서대 산업디자인학과 학생들의 열정과 디자인 능력은 세계적인 수준으로 학과의 수많은 국제공모전 수상 실적들이 그것을 증명하고 있다"라며 "이번 수상 외에도 많은 작품들이 다른 어워드 본선에 올라 최종 수상의 영광을 기다리고 있는 상황으로, 호서대 산업디자인학과의 체계적이고 차별화된 커리큘럼을 통해'할 수 있다'는 도전정신을 스스로 증명해온 학과 학생들의 행보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현진기자 lhj@metroseoul.co.kr

2024-08-06 12:06:05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삼육대, 60명 캐나다·호주 해외연수…‘파란사다리’ 성료

삼육대학교(총장 제해종)는 여름방학 기간 동안 해외연수 프로그램 '파란사다리 사업'을 개최했다고 6일 밝혔다. 삼육대는 지난 1일 교내 국제교육관 장근청홀에서 '2024 파란사다리 성과보고회'를 개최했다. 파란사다리 사업은 경제·사회적 취약계층 대학생들에게 해외연수 경험을 제공해 글로벌 역량을 개발하고 진로 개척의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교육부와 한국장학재단이 지원하는 사업으로, 삼육대는 사업이 시작된 2018년부터 올해까지 줄곧 운영기관으로 선정됐다. 올해 삼육대는 60명의 대학생(타교생 9명 포함)을 선발해 캐나다 토론토 메트로폴리탄대(Toronto Metropolitan University)와 호주 시드니 빅토리아대(Victoria University Sydney)로 파견했다. 선발된 학생들은 교내에서 2박 3일간 집중 사전교육을 받은 후, 7월 초부터 4주간 연수지에서 ▲어학연수 ▲진로탐색(진로교육·직무체험·기업탐방) ▲문화탐방 ▲팀 프로젝트 등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삼육대는 연수 종료 후에도 개별 멘토링과 진로지도를 지원하며, 해외취업연수사업(K-Move)과 연계해 수료자에게 우선 선발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오채윤(영어영문학과 3학년) 학생은 "서로 다른 변화와 배경을 가진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이 큰 자극이 됐고, 이를 통해 더 넓은 시각을 가질 수 있게 됐다"며 "이번 파란사다리 연수를 통해 얻은 소중한 경험과 배움은 앞으로의 여정에 큰 밑거름이 될 것이다"고 소감을 전했다. 정성진 삼육대 대학일자리본부장은 "영어에 대한 자신감과 해외경험, 그리고 연수 중에 만난 좋은 인연을 바탕으로 더욱 성장하고, 더 많은 꿈과 비전을 갖게 되길 바란다"고 격려했다. /이현진기자 lhj@metroseoul.co.kr

2024-08-06 11:56:24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서울시교육청, 교장·교감·교육전문직 등 478명 정기 인사 실시

서울시교육청(교육감 조희연)이 9월 1일자 교장·교감·교육전문직원 정기 인사'를 단행했다고 6일 밝혔다. 이번 인사는 유아 13명, 초등 250명, 중등 206명, 특수 9명 등 총 478명을 대상으로 실시된다. 서울시교육청은 '조금더, 새롭게, 다같이' 나아가는 지속가능한 혁신에 중점을 두고 교육공동체가 함께 만드는 서울교육을 실현할 수 있는 역량, 공동체와의 소통 능력, 청렴성을 겸비한 인사를 발탁·중용하였다고 설명했다. 특히, 교(원)장·교(원)감 인사는 학교의 교육여건과 특성을 우선 고려했다. 또한 인사 대상자의 거주지 및 경력·연령 등을 고려했으며, 전임자의 재임기간이 짧은 학교에는 가급적 정년 잔여 기간이 긴 교원을 배치함으로써 인사의 공정성과 일관성을 유지했다.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은 "이번 인사가 본립도생(本立道生)의 정신으로 공동체형 학교를 조성하는 원동력이 되길 바란다"라며 "서울교육 혁신이 지속될 수 있도록 서울교육공동체와 함께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유아 교육전문직원 ◇원장에서 교육전문직원(관급) 전직 △서울특별시교육청 유아교육과장 오경미 ◆ 초등 교육전문직원 ◇ 교육전문직원(관급) 승진 △서울특별시강동송파교육지원청 교육장 조현석 △서울특별시동작관악교육지원청 교육지원국장 정환용 △서울특별시교육청융합과학교육원 기획운영부장 양은희 △서을특별시교육청교육연수원 기획평가부장 김종범 △서을특별시교육청교육연수원 초등교원연수부장 오시영 ◇ 교육전문직원(관급) 전보 서울특별시교육청학생교육원 글로벌문화·언어체험교육원 분원장 박중재 △서울특별시동부교육지원청 초등교육지원과장 강일 ◇ 교장에서 교육전문직원(관급)으로 전직 △서울특별시남부교육지원청 교육장 한미라 △서울특별시교육청학생교육원 원장 이미경 △서울특별시교육청학생교육원 대천임해교육원 분원장 이동섭 △서울특별시서부교육지원청 초등교육지원과장 김병노 △서울특별시중부교육지원청 초등교육지원과장 서정석 △서울특별시강동송파교육지원청 초등교육지원과장 김대준 ◇ 교감에서 교육전문직원(관급)으로 전직 ◇ △서울특별시교육청 초등교육과 생태·환경교육 장학관 윤소야 △서울특별시남부교육지원청 교육협력복지과장 조대진 △서울특별시중부교육지원청 학교통합지원센터장 권희은 △서울특별시성북강북교육지원청 학교통합지원센터장 최영태 ◆ 중등 교육전문직원 인사 ◇ 교육전문직원(관급) 승진 △서울특별시중부교육지원청 교육장 강삼구 ◇ 교육전문직원(관급) 전보 △서울특별시교육청 진로직업교육과장 최도규 △서울특별시동부교육지원청 중등교육지원과장 김소영 △서울특별시동작관악교육지원청 학교통합지원센터장 조영주 △서울특별시성동광진교육지원청 교육협력복지과장 이주희 ◇ 교장에서 교육전문직원(관급)으로 전직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원장 이상수 △서울특별시교육청 민주시민생활교육과장 정진권 △서울특별시남부교육지원청 교육지원국장 남정란 △서울특별시강동송파교육지원청 교육지원국장 정순미 ◇ 교감에서 교육전문직원(관급)으로 전직 △서울특별시교육청 중등교육과 중등교육과정 장학관 박상정 △서울특별시교육청 민주시민생활교육과 생활교육 장학관 이주석 △서울특별시교육청 민주시민생활교육과 세계시민·다문화교육 장학관 홍승균 △서울특별시교육청 진로직업교육과 직업교육 장학관 정종호 △서울특별시교육청 진로직업교육과 취업지원 장학관 장영란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교육정책연구소 교육연구관 곽은영 △서울특별시중부교육지원청 중등교육지원과장 조정훈 △서울특별시강남서초교육지원청 교육협력복지과장 이은하 △서울특별시성동광진교육지원청 중등교육지원과장 김정화 ◆ 특수 교육전문직원 ◇ 교육전문직원(관급) 승진 △서울특별시교육청 특수교육과장 최철호 ◇ 교감에서 교육전문직원(관급)으로 전직 △서울특별시교육청 특수교육과 특수교육과정 장학관 이재섭 / 이현진 메트로신문 기자

2024-08-06 08:46:21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재건축 ‘둔촌주공’ 내 병설유치원 신설 확정…2028년 개원

'최대 규모' 재건축 단지로 꼽히는 서울 강동구 올림픽파크포레온(둔촌주공) 단지 내에 병설유치원 신설이 확정됐다. 서울시강동송파교육지원청은 '서울둔촌초등학교 병설유치원' 신설을 확정했다고 4일 밝혔다. 교육부 중앙투자심사를 통과함에 따라, 서울둔촌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은 특수 2학급을 포함해 12학급 규모로 오는 2028년 3월 개원할 예정이다. 정원은 184명이다. 시교육청은 올해 공유재산심의 및 관리계획 의결 후, 내년 설계 공모 및 설계 확정을 거쳐 2026년 공사착공에 들어갈 예정이다. 이는 1만2032가구 규모 재건축 단지인 올림픽파크포레온 아파트와 강동송파 1취학 권역(길동, 천호3동, 둔촌1~2동) 등 지역 내에 유아 자녀를 둔 학부모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앞서 올림픽파크포레온 재건축정비사업 진행에 따라, 증가하는 학생들을 수용할 교육 기관 신설은 꾸준히 요구돼 왔다. 이에 따라 강동송파교육지원청은 병설유치원 6학급을 포함한 가칭 둔촌일초 신설을 추진했으나, 지난 2020년 12월 교육부 중앙투자심사 결과 부적정 판단을 받으며 추진되지 못했다. 그러나 강동송파교육지원청은 유아 교육여건 개선을 위해 유치원 설립계획을 수정·보완해 가며 지속적으로 추진했으며 그 결과 지난 5월 서울시교육청 자체 재정투자심사위원회를 거쳐 7월 교육부 중앙투자심사에서 설립 승인을 받았다. 배영직 서울강동송파교육장은 "유아 과밀이 예상되는 지역에 새로운 유치원 설립이 승인됐다"라며 "설립이 한 번 지연됐던 만큼 더욱더 차질없이 설립을 진행해 학부모님들이 안심하고 보낼 수 있는 유치원이 될 수 있도록 개원을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이현진기자 lhj@metroseoul.co.kr

2024-08-04 14:14:57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특목·자사고 출신 17.5% ‘SKY’ 진학…과기원 진학률은 하락

지난해 특목·자사고 출신 학생들의 17.5%가 이른바 'SKY' 대학에 진학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대비 3.1%P 증가한 수치로, 같은 기간 지방 과학기술원 진학 비중은 6.4%P 낮아지며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의대 열풍' 영향으로 이공계 기피 현상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4일 종로학원이 지난 2024학년도 전국 4년제 222개 대학 신입생의 출신 고교를 분석한 결과, 과학고·국제외국어고 등 특수목적고와 자율형사립고, 영재학교 등 졸업생 중 대학 진학자는 2만1426명으로, 이 가운데 17.5%인 3748명이 서울대·고려대·연세대 등 3개 대학에 진학했다. 전년(3635명) 대비 113명(3.1%) 증가했다. 이들이 가장 많이 입학한 대학은 서울대가 1390명으로 6.5%를 차지했다. 이어 ▲고려대 1232명 ▲연세대 1126명 ▲성균관대 1063명 ▲한양대 817명 ▲경희대 786명 ▲한국외대 759명 ▲중앙대 715명 ▲한국과학기술원 611명 ▲이화여대 527명 순이다. 문제는 이처럼 최우수권 학생들의 이공계특성화 대학 진학자 수가 감소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들 중 이공계 학생으로 꼽히는 과학고·영재학교 출신의 과학기술원 등 이공계특성화 대학 진학자 수는 2023학년도 1094명에서 2024학년도 1024명으로 전년대비 70명(6.4%P) 감소했다. 이공계 특성화대는 KAIST(한국과학기술원)·UNIST(울산과학기술원)·GIST(광주과학기술원)·DGIST(대구경북과학기술원) 등 4개 과학기술원과 포항공대, 한국에너지공대(한전공대) 등 총 6곳이 있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은 41명(2023학년도)에서 23명(2024학년도)으로, 43.9%P 감소했고, ▲울산과학기술원 159명에서 118명으로 25.8%P 감소 ▲포항공대 189명에서 178명, 5.8%P 감소 ▲한국과학기술원 583명에서 564명으로, 3.3%P 줄었다. 2024학년도 과학고·영재학교 출신 4년제 대학 진학자 수는 2773명으로 이 중 한국과학기술원에 564명(20.3%)이 입학해 가장 큰 비중을 보였지만, ▲서울대 503명(전년 448명) ▲성균관대 196명(전년 87명) ▲포항공대178명(전년 189명) 등 일반 대학 진학 비율이 높아지는 추세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이사는 "이처럼 과학고·영재학교 출신 학생들의 이공계특성화 대학 진학자 수가 감소하는 이유는 의대 선호 현상과 더불어 지방권 소재 대학 기피 현상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고 설명했다. 올해 중학교 3학년이 대학 입시를 치르는 2028학년도부터는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중요도가 커지면서 외고·국제고나 자사고 등의 선호도가 높아질 수 있다는 게 입시계 관측이다. 2028학년도 대입 개편안에 따라, 수능 국어·수학·탐구 영역의 선택과목이 사라져 문·이과 구분이 완전 폐지된다. 아울러 고교 교과 성적(내신) 등급제는 9등급에서 5등급으로 변경되면서 외고·국제고 출신도 의대나 이공계 진학이 사실상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이사는 "사실상 수능 중요도가 높아져 중3 학생들의 외고·국제고나 자사고 선호도가 높아질 수 있는 상황"이라며 "이들 학교 출신자의 대학 진학 루트도 상당히 달라질 수 있다"라고 말했다. / 이현진 메트로신문 기자

2024-08-04 14:14:25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국내 최대 규모‘ 고려대 국제하계대학 ISC, 2000여명 수료

고려대학교(총장 김동원)가 1일 오후 6시 30분 인촌기념관 대강당에서 '2024학년도 국제하계대학(International Summer Campus, 이하 ISC) 수료식'을 개최했다고 4일 밝혔다. 국내 최대 규모로 열린 '2024 고려대 국제하계대학'에는 약 2000여명의 학생들이 참가했다. 지난 6월 26일부터 6주에 걸쳐 열린 국제하계대학에는 국내·외 대학생 및 해외대학 예비대학생들이 참여했고 캘리포니아, 코넬 등 해외 유수 대학 현직 교수진들이 참여해 경영·경제·정치·법·인문·과학·공학·예술 등 90여개 과목을 강의했다. 참가 학생들은 수업 외에도 ▲경복궁과 박물관 방문 ▲한국프로야구관람 ▲고려대 아이스링크장 체험 ▲K-pop 댄스 플래시몹 등 다양한 한국 문화를 체험하는 시간을 가졌고, 국내 대기업·공기업·관공서 인턴십의 기회를 제공받았다. 고려대 국제하계대학장을 맡은 송상기 국제처장은 "다양한 문화권에서 온 학생들의 열정이 이번 여름보다 더욱 뜨거웠다"라며 "끝까지 열심히 참가한 여러분 모두 자부심을 가지셔도 된다"고 축사를 건넸다. 답사는 2024 고려대 국제하계대학에 참가한 학생들을 대표하여 미국 댈라스 대학에서 온 앨리슨 일레인 킹(Allison Elaine King) 학생이 맡았다. 앨리슨 일레인 킹 학생은 "이 프로그램을 위해 세계 각지에서 오신 교수님들께 감사드린다"며 "고려대에서의 소중한 추억은 영원히 우리의 마음속에 남을 것이다"고 소감을 밝혔다. 수료식이 끝나자 학생들은 학사모를 동시에 같이 던지며 서로를 축하했다. 또한 몇몇 학생들은 다시 고려대에서 함께 만나자는 약속의 말을 주고받으며 마지막 순간을 함께 나눴다. / 이현진 메트로신문 기자

2024-08-04 08:53:57 이현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