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이현진
기사사진
[2024 대학 수시 가이드/동국대] ‘Meta Plan 120’ 선포…국내 TOP3 글로벌 TOP50 추진

117년의 역사를 가진 동국대학교는 지난 5월 '동국 Meta Plan 120'을 선포했다. '혁신적 상상력으로 인류에 기여하는 동국'을 목표로 학문 영역 간 융합교육 도입을 통한 미래인재 양성에 주력하고 국내 TOP3 및 글로벌 TOP50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동국대는 학사제도 개편, 학과 신설, 학문간 경계를 넘어선 융합교육 등 교육혁신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할 융합형 인재를 키워낸다는 방침이다. ■ 첨단 분야 정원 확대 등 D.N.A(Big Data, Network, AI) 분야 특성화를 통해 4차산업혁명시대 맞춤형 인재 양성 동국대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하는 글로벌 화쟁형 인재 양성을 목표로 2023학년도 AI소프트웨어융합학부를 광역화해 신입생을 선발했다. AI소프트웨어융합학부는 ▲컴퓨터공학전공 ▲멀티미디어소프트웨어공학전공 ▲인공지능전공 ▲데이터사이언스전공 ▲엔터테인먼트테크놀로지전공 등 5개 전공을 통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역량을 갖춘 미래인재로 성장하게 된다. 또한 2024학년도부터는 AI융합대학에 AI소프트웨어융합학부와 함께 시스템반도체학부도 신설해 다양한 학문 간 융합교육을 실현한다. 최근 2024학년도 일반대학 첨단분야 정원배정 결과, 미래차·로봇 분야에서 동국대 기계로봇에너지공학과가 선정돼 45명 순수 증원을 하게 됐다. 동국대는 이번 첨단분야 정원 증원을 토대로 지능형 로봇 전문 인재 양성을 위한 특성화에 박차를 가한다는 전략이다. 특히 이번 정원 증가의 대상인 기계로봇에너지공학과는 2024년부터 AI소프트웨어융합학부와 연계 협업해 지능형 로봇 융합전공을 신설하고 로봇과 AI가 결합된 첨단분야 인력을 양성할 계획이다.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원 소프트웨어 중심대학에도 선정된 동국대는 소프트웨어 핵심인재 양성을 목표로 교육편제 혁신 및 전주기적 산·학·연·지 협력교육을 실현해 동국대 재학생의 SW융합역량을 키워나갈 방침이다. ■ 학문 간 경계 넘어선 융합교육 동국대는 다양한 학문 간 융합을 장려하고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는 인재 양성을 위해 학과별, 전공별 장벽을 허무는 '융합전공제'를 도입했다. 융합전공제는 다양한 학문 간 융합을 장려하고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학과(전공)와 학과(전공)가 융합해 새로운 전공 프로그램을 구성한다. 입학한 학과와 별개로, 본인의 관심과 적성에 따라 원 소속 전공과 관계없이 융합전공 최저이수학점 기준을 충족하면 융합전공으로 졸업할 수 있는 제도다. 융합전공은 어느 학과에 소속된 학생이든지 이수가 가능해 전공 선택의 폭이 크게 확대됐다. 특히 최근 사회에서 인문학과 자연과학을 통찰하는 융합형 인재를 요구하는 만큼 재학생들에게 선호도가 높은 교육과정이다. 현재 동국대는 융합전공으로 '공공인재융합전공'과 '인텔리전스로봇융합전공'을 운영하고 있다. '공공인재융합전공'은 4차 산업혁명 시대 공공문제(public problems)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분석하고 예측해 이를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데 필요한 디지털기술에 대한 이해와 응용능력 및 행정학, 정치학, 법학, 경제학, 회계학 분야에 대한 교육을 받는다. '인텔리전스로봇융합전공'은 자율사물(AT)로봇, 빅데이터, IoT, 센서기술 등 산업전반에 적용되는 인공지능과 관련한 미래 신산업 분야에 대해 전반적인 지식을 쌓게 된다. ■ 2년 연속 중앙일보 대학평가 종합순위 9위 달성…청년창업 중심 대학문화 조성 동국대는 2022년 중앙일보 대학평가에서 9위를 기록했다. 특히 학생교육과 교수연구의 성장이 눈에 띈다. 대학 본연의 가치인 '연구'를 통해 지역사회는 물론 전 세계에 공헌할 수 있는 대학을 목표로 나아가고 있는 동국대의 연구 경쟁력 강화를 위한 노력은 값진 결실을 맺고 있다. 2022년 입금액 기준으로 지난해 역대 최고 연구비를 넘어선 921억을 달성하고 있다. 여기에 만족하지 않고 연구비 1000억 원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동국대는 그간 창업중심 대학문화 조성에 힘써왔다. 국내 최초로 창업휴학제 시행, 창업 대체 학점인정제 운영 등 창업친화적 학사제도를 도입해 수많은 학생 스타트업을 육성하고 있으며 예비창업, 초기창업 단계의 청년창업자에게 마케팅 및 사업화 비용을 지원하는 등 지역거점대학으로서 튼튼한 토대를 쌓아가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 '예비창업패키지', '메이커스페이스 전문랩', 'BI 지원사업', 서울시 '캠퍼스타운 종합형 사업' 등 다양한 창업지원사업 주관기관으로 선정돼 청년창업 선도 대학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 글로벌 마인드 제고 노력…35만명 '동문 네트워크' 동국대는 전 세계 54개국 326개 대학과 학술교류 협정을 맺고 있다. 재학생들을 매년 해외대학 교류학생으로 파견하고 있으며, 인터내셔널 서머스쿨, 복수학위 프로그램, 학문단위 국제화 프로그램 등 다양한 글로벌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동국대는 117년의 역사 동안 35만 명에 이르는 수많은 인재를 배출했다. 동국대 동문들은 학교의 든든한 지원군 역할을 하고 있다. 매년 학교와 후배들을 위한 발전기금 기부에 적극 참여한다. 2011년부터 9년 연속 100억원 이상 모금한 원동력이기도 하다. 작년 한해엔 현물 기부를 포함해 100억원 이상 모였다. 동국대는 이러한 기부금을 바탕으로 '글로벌 인재 양성', 우수교원 초빙과 세계적 석학 육성 등 '연구 경쟁력 강화', 세계적 수준의 교육·연구 인프라 조성을 통한 '미래 캠퍼스 구축'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 수시로 전체 모집인원 59.9% '1909명' 선발 동국대학교는 2024학년도 수시모집에서 전체 모집인원의 59.9%에 해당하는 1909명을 선발한다. 올해 수시모집 주요 변경 사항은 학과 특성화에 따른 편제 조정, 첨단분야 정원 증원, 학교장추천인재전형 계열별 추천인원 제한 폐지, 논술전형 수능최저학력기준 완화, 특성화고등을졸업한재직자전형 전형방법 이원화, 실기(연극학부-특기형) 신설 등이다. 2024학년도 신입학전형에서는 학과 특성화에 따라 물리학과와 시스템반도체학부로 편제가 조정됐다. 기존 이과대학 물리·반도체과학부를 이과대학 물리학과와 AI융합대학 시스템반도체학부로 모집단위를 각각 신설했다. 또한 최근 교육부 첨단분야 정원 확대에 따라 기계로봇에너지공학과의 정원이 55명에서 100명으로 45명 증원됐다. 기계로봇에너지공학과는 지능형로봇융합전공을 신설해 AI융합대학 AI소프트웨어융합학부, 시스템반도체학부와 더불어 4차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할 첨단분야 인재를 양성할 계획이다. 동국대 수시모집은 전형유형에 따라 학생부종합, 학생부교과, 논술, 실기/실적위주 전형으로 구분된다. Do Dream전형을 비롯해 가장 많은 인원을 선발하는 전형은 학생부종합전형으로 827명을 선발하며, 이는 수시모집 인원의 43.3%를 차지한다. 학생부종합 ▲Do Dream ▲Do Dream(소프트웨어) ▲불교추천인재 ▲기회균형통합 ▲특수교육대상자 전형은 단계별 전형으로, 1단계 서류종합평가 100%로 전형별 선발배수에 따라 선발하고, 2단계에서는 1단계 성적 70%와 면접평가 30%를 합산해 합격자를 가려낸다. 학생부교과 ▲학교장추천인재전형은 학생부교과 70%와 서류종합평가 30%를 일괄 합산해 선발한다. 학생부교과 70%에는 계열별 반영교과목 중 석차등급 상위10개 교과목만을 반영하나 학생부를 정성평가하는 서류종합평가 30%의 영향력이 높다는 것이 특징이다. 고교별 추천인원은 모집단위 계열과 관계없이 최대 8명까지 추천가능하다. 전년도 학생부종합전형으로 선발했던 특성화고 등을 졸업한 재직자전형은 올해부터 학생부교과전형(서류형/면접형)으로 전형유형 및 전형방법이 변경됐다. 학생부교과 70%에 서류종합평가 30%를 일괄합산하는 서류형과 학생부교과 100%로 모집인원의 2.5배수를 선발하고 2단계에서 1단계 성적 70%와 면접평가 30%를 합산하는 면접형으로 이원화됐다. 학생부종합전형과 더불어 학생부교과전형 모두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하지 않는다. 수시모집에서 유일하게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하는 논술전형은 304명을 선발하며 논술 70%와 학생부 30%를 합산하는 일괄전형으로 진행된다. 인문계열(AI소프트웨어융합학부(인문) 포함)의 수능최저학력기준이 국어/수학/영어/탐구영역에서 2개 등급 합 5등급으로 1등급 완화됐으며 경찰행정학부 역시 탐구영역을 포함한 국어/수학/영어/탐구영역 중 2개 등급 합 4등급으로 반영 영역을 확대했다. 학생부의 경우 교과 20%와 출결 10%를 정량적으로 반영한다. 학생부 교과는 계열 구분 없이 국어/수학/사회/과학/영어/한국사 교과 중 석차등급 상위 10과목만을 추출해 반영하며 1등급부터 5등급까지 등급 간 점수 차가 거의 없어 수험생의 부담이 적은 편이다. 실기/실적위주 전형은 ▲국어국문·문예창작학부 ▲체육교육과 ▲미술학부 ▲연극학부(실기형/특기형) ▲스포츠문화학과 ▲한국음악과 등 전형에서 총 168명을 모집한다. 올해 신설된 연극학부(특기형)의 경우 실기고사 40%와 실적평가 30%, 학생부 30%를 합산하는 일괄전형으로 선발하며 종목별 실기고사에 관한 세부사항은 수시 모집요강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2023-08-28 15:15:42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2024 대학 수시 가이드/인하대] 첨단학과 신설 통한 미래 인재 양성 박차

인하대학교(총장 조명우)는 2024학년도 수시모집에서 전체 모집인원 3824명 중 67.9%인 2595명을 선발한다고 28일 밝혔다. 인하대는 올해 반도체 첨단인재 양성을 위해 공과대학 내 반도체시스템공학과(모집정원 40명)를 신설했다. 수시에선 학생부종합(인하미래인재)전형 13명, 교과 전형 8명, 논술 전형 6명을 모집한다. 또한 바이오시스템융합학부를 신설하고 기존 공과대학 생명공학과,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등을 편제하여 첨단 바이오 산업을 리드할 미래 인재를 양성할 계획이다. 미래융합대학 내엔 반도체산업융합학과를 신설해 반도체 산업 분야 우수 인재 양성에 힘쓸 계획이다. ■ 학생부종합전형 '진로탐구역량 50% 반영' 973명 선발 인하대 수시모집의 대표적인 전형은 학생부종합(인하미래인재)전형이다. 총 973명을 선발할 예정이며 1단계 서류종합평가 70%, 2단계 면접평가 30%를 반영해 최종합격자를 선발한다. 2024학년도 수시 모집부터 서류종합평가 100%로 선발하던 학생부종합(인하참인재)전형이 폐지됐다. 인하대 학생부종합전형은 대학의 창학이념을 바탕으로 현재의 성과가 아닌 성장할 잠재력이 있는 미래 인재를 뽑고자 한다. 학업에 충실하고 관심 분야에 열정을 가지면서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와 공동체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자 노력하는 학생을 기초학업역량, 진로탐구역량, 공동체역량의 세 가지 평가 요소를 통해 선발한다. 평가 요소 중 진로탐구역량의 반영 비율이 50%를 차지한다. 자세한 내용은 2024학년도 수시모집 요강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지역균형 전형인 학생부교과(지역균형)전형은 교과 100%로 604명을 선발하며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한다. 학교장 추천 전형으로 운영하며, 고교별 추천 인원 제한이 없어 학교장 추천을 받으면 모두 지원이 가능하다. 학생부교과전형은 수능최저학력기준 충족률과 충원률을 고려했을 때 실경쟁률이 2.3대 1 수준으로 비교적 경쟁률이 낮은 전형이다. 특히 올해 모집인원이 대폭 증가했기 때문에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충족할 수 있다면 수험생들이 도전해 볼 만한 전형이다. 논술 전형은 논술 70%에 교과 30%를 일괄 합산하는 방식이다. 올해 459명을 선발하는데, 이는 수도권 대학 중 논술 전형 선발 비율이 높은 편이다. 지난해부터 자연계 수리논술 난이도를 적정 수준으로 조절해 의예과 별도 출제 문항을 1문항에서 2문항으로 늘려 같은 시간대 논술고사를 보는 다른 모집 단위 지원자들의 부담을 줄였다. 또한 인문계열 출제 유형의 변화가 있어 지원 전 입학처 홈페이지에 공개된 모의 논술고사 문항으로 올해 논술고사 난이도와 출제 유형을 미리 확인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 ■ 취업률 최상위권…다중전공 의무화 인하대는 최상위권 취업률을 지속해서 유지하고 있다. 단순히 수치적으로 높은 취업률뿐 아니라 취업의 질도 우수하다. 대기업, 중견기업, 공공기관·공기업, 국가·지자체 취업률을 비교했을 때 서울권 대학 평균과 수도권 대학 평균보다 월등히 높은 취업률과 취업의 질을 자랑한다.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적이고 융복합적인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유연한 학사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다중전공을 의무화하고 있다. 복수전공, 부전공 외에 학생설계전공, 연계전공, 융합전공을 통해 학생들의 전공 선택권도 확대했다. 방학 기간을 활용해 수강할 수 있는 마이크로전공도 재학생들에게 인기 있는 프로그램이다. 인하대는 송도국제도시에 항공우주공학과, 스마트모빌리티공학과 외에도 항공우주 등 첨단분야 관련 기업 28개가 입주한 항공우주융합캠퍼스를 운영하면서 재학생들이 현장 맞춤형 교육을 들으며 산학융합 연구개발(R&D) 프로그램 등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김포시와 협약을 통해 김포메디컬캠퍼스, 700병상 이상 규모의 최첨단 대학병원 및 의과학 교육연구 시설 조성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인하대병원은 그동안 인천 의료서비스 향상에 앞장서며 각종 전국 단위 평가에서 최상위 수준을 달성해왔다. 앞으로 인천은 물론 경기 서북부 권역을 대표하는 거점병원으로 성장해 고품질 맞춤형 진료·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수시모집 원서접수는 9월 11일부터 15일까지 진행된다. 전형 일정이 중복되지 않는 한 모든 전형에 중복 지원이 가능하다. 자세한 내용은 인하대입학처 홈페이지와 유튜브 채널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23-08-28 15:08:51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2024 주요대 수시 가이드/성신여대] 재학생 1인당 장학금, 서울 4년제 여대 ‘1위’…‘첨단학부’‘자기설계전공’ 등 교육혁명

올해 창학 87주년, 개교 58주년을 맞은 성신여자대학교는 '민족정신을 기반으로 정성되고 믿음직한 여성 지도자를 양성해 국가와 사회에 공헌한다'는 건학이념 아래 설립됐다. 성신의 교육이념인 성신(誠信), 지신(知新), 자동(自動)을 바탕으로 ▲정성되고 믿음직하고 ▲새로운 지식을 넓고 깊게 구하며 ▲스스로 움직여 남의 힘을 빌리지 않고도 살아갈 수 있는 인재 양성의 소임을 다하는 인재를 배출해왔다. 성신여대는 시대와 사회의 요구에 부응해 과감한 교육과정 개편, 학생 편의시설 및 교육환경 개선, 진로·취업 지원 확대 등 총체적인 변화를 통해 차별성과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 유연한 전공 및 학사제도…'AI 시대 대비' AI시대에 본격적으로 접어들면서 대학 환경도 급속도로 변하고 있다. 성신여대는 이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AI시대 인재 양성을 위한 노력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016년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PRIME) 사업'에 선정돼 지식서비스공과대학을 설립하고, 2021년에는 5개 첨단학부를 신설했다. AI 혁명에 따른 산업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다. 신설한 첨단학부는 ▲수리통계데이터사이언스학부 ▲화학·에너지융합학부 ▲AI융합학부 ▲바이오신약의과학부 ▲바이오헬스융합학부다. 이론과 실무 기반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운영해 학생들의 경쟁력과 전문성을 높이고 있다. ■ 스스로 교육과정 학위 만드는 '자기설계전공 제도' 성신여대는 48개 전공 학과(부) 이외에도 다양하게 이수할 수 있는 연계전공과 자기 스스로 교육과정과 학위를 만들어 이수할 수 있는 자기설계전공 제도도 운영한다. 두 제도 모두 급변하는 AI시대의 흐름에 매우 적합한 유연한 학사제도로 학생들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다. 먼저 성신여대의 연계전공제도는 국제통상, 여성학, 공공외교, 영사법무, 예술사학 등 17개 전공을 운영하고 있다. 성신여대의 48개 학과(부)의 전공과목을 조합해 각 전공 취지에 알맞은 새로운 교육과정을 이수할 수 있는 제도로, 본인의 주전공에 더불어 복수전공 또는 부전공 학위를 취득할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자기설계전공은 학생이 스스로 전공명(학위명)과 교육과정을 만들 수 있는 독특한 제도다. 담당교수의 지도 아래 학생이 스스로 2개 이상의 학과(부)의 교과목을 융합해 교육과정을 설계, 구성하는 전공을 의미한다. 이수과목 기준학점(45학점)을 모두 이수하면 복수전공으로 인정된다. 성신여대 학생들은 마이크로디그리제도(트랙이수제)의 장점 또한 누릴 수 있다. 마이크로디그리제도는 각 트랙별 12~24학점으로 지정된 교과목을 이수하면 해당 트랙교육과정의 이수를 인증하는 마이크로디그리 제도다. 같은 전공 내에서도 본인의 흥미와 진로 분야에 따라 다양한 세부 트랙을 이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인의 소속학과나 전공 이수여부와 상관없이 관심 분야의 트랙을 이수하고 인증서를 발급받을 수 있어 AI시대를 대비하는 가장 유연한 학사제도로 볼 수 있다. ■ 재학생 1인당 장학금 연 355만원..서울 4년제 여대 '1위' 성신여대는 학생들이 미래의 꿈을 맘껏 펼칠 수 있도록 다양한 장학금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성신여대의 재학생 1인당 장학금은 2022년 대학정보공시 기준 연간 355만1186원으로 서울 소재 재학생 5000명 이상 사립대학 중 4위, 서울 소재 4년제 여대 중 1위에 해당한다. 폭넓은 입학성적우수 장학금도 주목할 부분이다. 성신여대는 수시 모집과 정시 모집에서 정해진 선발기준을 충족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운정, 수정, 난초, 지신, 정시학과수석으로 세분화한 '입학성적우수 장학금'과 수시 모집 실기우수자를 대상으로 '실기우수 장학금'을 제공하고 있다. 입학성적우수 장학생 중에서 '운정 장학생'은 입학금을 포함해 재학 4년간 등록금 전액 지원과 학업보조비 및 해외 어학연수 지원 등의 혜택을 준다. 2022학년 수시 모집부터 특성화고 등을 졸업한 재직자 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이 지원받을 수 있는 '재직자전형 우수 장학금'을 운영하고 있으며, 입학 후에도 일반 재학생들과는 별도로 재직자 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한 성적우수장학금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 교육부 '교육국제화역량 인증제' 최고등급 성신여대의 국제화 역량 강화의 기반은 다채로운 국제교류 프로그램에 있다. 성신여대는 기존의 영미권이나 유럽권 대학들과의 교류 확대는 물론, 매년 국제교육자협의회를 비롯해 신남방, 신북방, 북유럽 및 중남미 국가들로 신규 교류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재학생들이 '글로벌 시민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교환 및 방문학생 프로그램을 통해 폭넓은 문화 체험도 제공하고 있다. 2023학년도 1학기 기준 어학연수 302명, 학부 211명, 대학원 114명 등 총 627명의 외국학생이 성신의 캠퍼스에서 수학하고 있으며 몽골과 중국, 베트남, 프랑스, 일본 순으로 다양한 국가의 외국학생이 성신여대를 찾아오고 있다. 성신여대 학생들도 2023학년도 1학기에는 20개국 45개교에 104명 파견, 2학기에는 17개국에 53개교에 133명의 학생이 출국 예정이다. 성신여대의 국제화 역량은 해외뿐 아니라 국내에서 여러 차례 입증됐다. 교육부 주관의 '교육국제화역량 인증제(IEQAS)'에서 9년 연속으로 학부·대학원의 학위 과정과 어학연수 과정에서 모두 불체율 최고 등급인 우수인증대학으로 선정됐다. 우수인증대학은 전국에 9개교 밖에 없으며 그만큼 외국학생들이 성신여대를 찾아오기 수월한 대학임을 인증 받았다. 또한 국립국제교육원이 주관하는 '2022~2023년 정부초청외국인장학생(GKS) 우수 교환학생 및 초청학생 지원사업'에도 선정돼 연간 약 1억2500만원을 지원받고 있다. ■ 다양한 정부 기관사업 선정 성신여대는 2022년 12월, 한국대학평가원에서 주관 '2022년 하반기 3주기 대학기관평가인증'에서 최고등급인 '5년 인증'을 획득했다. 대학기관평가인증은 대학이 정부로부터 고등교육기관으로서의 기본 요건을 충족함을 공인받는 제도다. 인증 자격은 2027년 12월까지 5년간 유지된다. 매년 활발한 정부 기관 사업도 수주하고 있다. 교육부가 주관하는 '2023년 K-MOOC 사업' '2022~2024년 일반재정지원 대학' '2022~2024년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 선정에 이어 고용노동부가 추진하는 '2022~2027년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사업(거점형 특화 프로그램 운영)'에도 신규 선정됐다. 학과별 우수한 연구 실적과 체계적인 교육 커리큘럼을 인정받아 '2021 스마트 챌린지 사업(국토교통부 주관)' '2021년 전략형 국제공동연구사업(유럽) 신규과제(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2022년 정보통신기술혁신인재4.0사업(ICT혁신인재4.0사업)(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뷰티 비즈니스 아카데미(서울시 주관)' 등의 굵직한 정부 기관 사업에도 연달아 선정됐다. ■ 수시모집 총 1364명 선발…'학종' 718명으로 최다 성신여대는 2024학년도 신입학 정원내 모집인원으로 수시모집 총 1364명(66.1%)을 선발한다. 정시모집은 700명(33.9%)의 신입생을 모집한다. 성신여대의 2024학년도 수시모집은 크게 학생부종합전형, 학생부교과전형, 논술전형, 실기/실적전형이 있다. 수시 전형별 모집인원은 학생부종합전형이 718명(34.8%), 교과전형인 지역균형으로 240명(11.6%), 논술전형인 논술우수자는 162명(7.8%), 실기실적전형인 일반학생(실기)는 244명(11.8%)를 모집한다. 이번 신입학 학생부종합전형은 지원자들의 다양성을 고려해 정원내에서는 크게 ▲학교생활우수자전형 ▲자기주도인재전형 ▲기회균형Ⅰ전형 등 세 가지로 분류해 신입생을 선발한다. 학생부종합전형의 모든 전형은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하지 않으며, 서류평가 100%로 선발하는 서류형과 서류평가 및 면접평가를 합산해 선발하는 면접형 두 가지 트랙으로 평가한다. 2024학년도 서류형에는 학교생활우수자전형, 기회균형Ⅰ전형, 특성화고 등을 졸업한 재직자 전형(정원외)이 있으며 각각 207명, 109명, 85명을 선발한다. 면접형에는 자기주도인재전형, 특수교육대상자전형이 있으며 각각 402명, 15명을 선발한다. 먼저 학교생활우수자전형은 '고교 재학 중 교내 학업 및 다양한 활동을 통해 균형 있는 학교생활을 충실히 수행한 인재' 선발을 목적으로 학교생활기록부 등 지원자의 제출서류를 통해 3가지 평가항목(진로역량 30%, 학업역량 50%, 공동체역량 20%)을 정성평가 한다. 자기주도인재전형을 통해 '고교 재학 중 전공 분야에 대한 확고한 목표 의식과 열정을 가지고 자기주도적인 탐구역량을 갖춘 인재'를 선발하고 있다. 자기주도인재전형은 1단계는 서류 100%로 모집인원의 3배수를 선발하며, 2단계에서 1단계 서류평가 점수 70%, 면접 30%로 선발한다. 1단계는 지원자의 서류를 기반으로 평가항목(진로역량 50%, 학업역량 30%, 공동체역량 20%)을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2단계 면접은 지원자의 서류를 기반으로 10분간 면접을 진행하며, 평가항목별 반영 비율은 학업역량 30%, 진로역량 70%다. 다만, 사범대학 모집단위는 일반모집단위와 달리 진로역량 50%, 학업역량 30%, 교직 적성·인성 20%로 평가한다. 학생부교과전형은 지역균형전형으로 240명을 선발한다. 작년까지 시행했던 특성화고교출신자전형은 정시에서 선발한다. 수능최저학력기준이 완화돼 인문계열 2개 영역 합이 2023학년도 6등급에서 2024학년도에는 7등급으로 변경됐다. 지역균형전형은 국내 고등학교 졸업(예정)자로서 국내 고교에서 3개 학기 이상 성적을 취득하고 소속 학교장의 추천을 받아야 지원할 수 있다. 고교별 추천인원 제한은 없다. 다만, 예술고, 체육고, 마이스터고, 특성화고, 방송통신고 등의 고교유형은 지원할 수 없다. 지역균형전형은 학생부 교과 90%와 비교과(출결) 10%에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해 신입생을 선발한다. 수능 최저힉력기준은 국수영탐 중 2개 등급 합이 7등급 이내를 충족해야 한다. 탐구는 상위 1과목만 반영되며, 탐구과목을 제2외국어 또는 한문으로 대체할 수 없다. 논술전형은 논술우수자전형으로 논술고사 70%, 학생부 30%에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해 평가해 162명을 선발한다. 논술고사는 인문계와 자연계로 구분해 진행된다. 수능 최저의 경우, 학생부교과전형의 지역균형전형과 동일한 기준으로 적용된다. 논술고사 문항은 고교 교육과정의 범위와 수준 내에서 출제하며, 진로선택과목은 출제범위에서 제외한다. 실기/실적전형의 경우, 수능 최저학력기준 적용 없이 모집단위에 따라 실기성적과 학생부를 함께 평가해 244명의 신입생을 선발한다. 실기성적은 모집단위에 따른 전형요소별 반영 비율이 모두 다르며, 실기성적이 적게는 55%에서 많게는 80%의 비중으로 반영된다. 미디어영상연기학과는 단계별 평가를 실시해, 1단계는 모집인원의 5배수를 실기 100%로 선발하고, 2단계에서 실기성적 70%와 학생부 30%를 반영해 최종 선발한다. 2024학년도에는 특히 학생부종합전형과 학생부교과(지역균형)전형을 유념해 성신여대의 전년도 전형 결과를 확인 후, 모집단위를 신중하게 선택해 복수지원을 고려할 것을 추천한다. 성신여대는 원서접수는 오는 9월 11일 11시부터 9월 14일 오후 6시까지 온라인을 통해 실시한다. /이현진기자 lhj@metroseoul.co.kr

2023-08-28 13:52:37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2024 주요대 수시 가이드/상명대] 현장형 AI 교육으로 창의인재 키운다

상명대학교(총장 홍성태)는 AI(인공지능) 기술력 경쟁을 위한 교육을 넘어 AI 기술과 다양한 산업(X) 간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가치 만드는 교육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상명대는 전공과 교과, 대학과 산업현장의 경계를 허무는 등 교육혁신을 추진하고 있다. ■ 현장형 AI 교육, AI+X선도인재양성프로젝트 융합공과대학 산하 AI+X융합센터는 KT와 공동으로 AI+X선도인재양성프로젝트를 운영하고 있다. 프로젝트 기반으로 운영되는 이 과정은 자신의 전공 분야인 X에 인공지능(AI)을 접목해 새로운 가치를 만들 수 있는 역량을 기르는 데 목적이 있다. 상명대 교수와 KT 현직 전문가가 팀티칭으로 운영하는 이 프로젝트는 KT 현직 전문가와 상명대 교수들이 협업해 교육과정을 마련했다. 총 3학기(기초-중급-고급)에 걸쳐 9학점을 이수하면 AI(인공지능) 부문 마이크로디그리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상명대는 아마존웹서비스(Amazon Web Services, 이하 AWS), KT와 함께 사회 현안을 해결하는 '2023 AWS, KT AICE와 함께하는 빅데이터·AI경진대회'를 진행하고 있다. 학생들의 디지털 역량 향상을 위해 Elastic, KT 등 관련 기업과 경진대회를 진행해 온 상명대는 학생들의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AI-Data-Cloud 기술을 활용해 사회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상명대가 다년간 추진하고 있는 기업 연계 교육시스템은 사회나 산업현장에서 실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문제에 대해 경험하고, 스스로 해결책을 찾도록 교수와 기업 실무자가 코칭을 하는 형태로 이뤄진다. 이를 통해 학생에게 실무적 경험을 제공함은 물론, 대학과 기업이 협력해 변화하는 시대에 적합한 인재를 양성하는데 혁신적 교육 모델이 될 것이라는 평가다. ■ 융합이 대세인 시대, 학문 간 칸막이를 허물다. 상명대는 학문과 지식의 경계를 허물어 학생이 전공 능력뿐만 아니라 다양한 지식을 습득하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학사제도를 개편하고 과거의 정형화된 커리큘럼을 깨고 융합형 교육과정을 운영한다. 대표적인 사례로 '자기설계융합전공'과 '자기설계학기(학점)제도'가 있다. '자기설계융합전공'은 대학 내 다양한 전공과목 중 본인이 원하는 전공을 직접 설계·구성해 새로운 전공을 이수할 수 있는 전공 제도다. 자신의 진로에 맞는 전공과 과목을 직접 선정해 주도적으로 본인의 미래를 설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공명을 '환경 바이오-에너지공학융합전공'으로 하고 ▲생명공학 ▲화학에너지공학 ▲환경생태공학 등을 연계전공으로 구성하는 형태다. 학교 심사와 승인을 받은 자기설계융합전공은 정규 교육과정으로 개설돼 학점 취득과 동시에 다전공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 자기설계학기(학점)제도는 팀 또는 개인이 한 학기 동안 수행할 프로젝트를 설정하고, 문제해결 과정을 통해 프로젝트를 수행해 학점을 인정받는 자기 주도형 학습 설계 프로그램이다. 사회봉사, 창업, 문화 탐구, 프로그램 개발 등 관심 분야 관련 프로젝트 주제를 설정하고, 지도교수 승인을 얻은 후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방식이다. 18학점까지 이수할 수 있고, 장학금도 지원된다. 강태구 입학처장은 "학생들이 자신의 분야에만 매몰되지 않고 시야를 넓힐 수 있도록 전공 간 경계를 허물고, 융합을 통한 교육혁신을 계속해서 이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서울캠 '866명' 천안캠퍼스 '943명'…학생부교과, 2016년 2월 이후 국내 고교 졸업자 가능 상명대학교는 2024학년도 수시모집에서 서울캠퍼스 866명, 천안캠퍼스 943명을 선발한다. 서울캠퍼스 수시모집은 ▲학생부교과(고교추천전형, 서해5도학생전형) ▲학생부종합(상명인재전형, 기회균형전형, 특성화고졸재직자전형, 특수교육대상자전형) ▲실기/실적(실기전형)으로 선발하며, 천안캠퍼스 수시모집은 ▲학생부교과(학생부교과전형, 농·어촌학생전형, 특성화고교졸업자전형) ▲학생부종합(상명인재전형, 기회균형전형, 특수교육대상자전형) ▲실기/실적(실기전형, 특기자[체육]전형)으로 선발한다. 학생부교과는 서울캠퍼스 고교추천전형 349명, 천안캠퍼스 학생부교과전형 386명을 모집한다. 지원자격은 2016년 2월 이후 국내 고등학교 졸업(예정)자로서 고등학교 학교생활기록부에 5개 학기(졸업예정자는 3학년 1학기 포함 4개 학기)의 교육과정을 이수하고 교과성적 산출이 가능한 학생이다. 다만, 서울캠퍼스 고교추천전형 지원자는 소속 고등학교장의 추천(고교별 추천인원 10명 이내)을 받아 지원이 가능하므로 원서접수 전 반드시 추천 절차를 확인해야 한다. 서울캠퍼스 고교추천전형과 천안캠퍼스 학생부교과전형은 수능최저학력기준이 적용된다, 서울캠퍼스 고교추천전형은 국가안보학과(수능최저학력기준 미적용)를 제외한 모든 모집단위에서 국어, 수학, 영어, 일반탐구(사회탐구/과학탐구-탐구영역 1개 과목 반영) 중 2개 영역 등급 합 7등급 이내이다. 천안캠퍼스 학생부교과전형은 간호학과를 제외한 모든 모집단위에서 국어, 수학, 영어, 일반탐구(사회탐구/과학탐구-탐구영역 1개 과목 반영) 중 2개 영역 등급 합이 10등급 이내, 간호학과는 수학, 영어, 일반탐구(사회탐구/과학탐구-탐구영역 1개 과목 반영) 중 2개 영역 등급 합이 8등급 이내이다. 학생부교과의 학교생활기록부 반영방법은 전학년 과목별 등급 및 이수단위를 반영해 성적을 산출(석차등급 및 성취등급에 따른 환산점수 반영)하며 출결, 봉사 등 비교과 성적은 미반영한다. 학년별 가중치도 부여하지 않는다. 2022년 이후 고등학교 졸업(예정)자는 석차등급(9등급제)으로 평가된 전 교과목 성적과 성취등급(3등급제)으로 평가된 진로선택과목 중 우수 최대 3과목 성적을 반영한다. 다만, 2021년 이전 고등학교 졸업자는 석차등급(9등급제)으로 평가된 전 교과목 성적만을 반영한다. 상명인재전형은 서울캠퍼스 263명, 천안캠퍼스 177명을 모집한다. 인문/자연/예체능(애니메이션전공)은 면접고사가 폐지돼 서류평가 100%로 선발하며, 예체능계열은 단계별 전형으로 1단계 서류평가 100%(3배수 선발), 2단계 1단계 성적(서류평가) 70%와 면접고사 30%로 선발한다. 학생부종합 서류평가는 학교생활기록부를 바탕으로 평가항목 및 평가요소에 따라 종합적으로 정성평가를 하며, 교과성적에 대한 정량평가는 하지 않는다. 면접고사는 서류기반 개별면접(면접위원 2인, 수험생 1인)으로 10분 내외로 진행된다. 학교생활기록부를 활용해 질의·응답을 통한 확인면접으로 평가항목에 따라 종합적으로 정성평가를 한다. 학생부종합의 모든 평가과정(서류평가, 면접평가)은 공정성을 기하기 위해 블라인드로 진행한다. 실기전형은 서울캠퍼스 스포츠무용학부(무용예술전공), 미술학부(생활예술전공), 음악학부에서 107명을 모집한다. 천안캠퍼스는 디자인학부, 예술학부, 스포츠융합학부에서 222명을 모집한다. 실기전형은 해당 모집단위(전공)별 고사종목(과목)에 따른 전형요소(학교생활기록부, 실기고사) 반영비율이 각각 상이하므로 2024학년도 수시모집 모집요강을 반드시 확인하고 지원해야 한다. /이현진기자 lhj@metroseoul.co.kr

2023-08-28 13:52:34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2024 대학 수시 가이드/순천향대] ‘하이플렉스 교육혁신’ 주도…학생 메가 선택권 구현

순천향대학교는 지난 2월 신입생 선택에 따라 메타세계와 현실 세계에서 대면, 비대면 방식으로 입학식을 참가하는 '2023 하이플렉스 입학식'을 개최하며 '하이플렉스 교육혁신' 선도대학으로서의 첫발을 내딛었다. 순천향대는 올해 본격적으로 하이플렉스 교육혁신을 통한 차별화된 브랜드 가치를 선보여 대학교육의 뉴노멀을 선도하고 있다. '하이플렉스(HyFlex)'는 하이브리드(Hybrid) 러닝과 플렉서블(Flexible)의 합성어로 학생들이 대면·비대면, 실시간·비실시간의 수업 참여방식을 스스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습 유연성을 극대화한 학습자 주도의 학습방식이다. 이를 위해 순천향대는 2022학년도 1학기부터 교수자, 대면 학생, 비대면 학생 3개 그룹이 동시에 소통과 토론, 실험·실습, 조별 활동 등 다양한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126개 첨단 하이플렉스 강의실을 구축해 시범적으로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377개의 하이플렉스 강좌를 운영했다. 새롭게 구축된 하이플렉스 강의실에는 수업에 참여하는 3개 그룹이 실시간으로 함께 소통하면서 토론할 수 있도록 ▲전자교탁 및 와콤테블릿 ▲교수용 동작 추적 카메라 ▲학생용 음성추적 카메라 ▲비대면 학생 모니터링 대형 모니터 ▲수업 내용 고화질 녹화 후 클라우드 자동 업로드 등 최첨단 장비들이 구축돼 있다. ■ 메타버스형 하이플렉스, 현장 강의가 실시간 메타버스화 오는 2학기부터 메타버스 공간을 하이플렉스 교육혁신에 이식한 최첨단 '메타버스 하이플렉스' 강의실이 열린다. 순천향대는 "가상과 현실의 경계가 무너지고 대면과 비대면,실시간과 비실시간 학습을 모두 충족하는 '메타버스 하이플렉스 커넥션'교육혁신 시스템"이라고 설명했다. 순천향대 메타버스 캠퍼스는 단과대 및 주요 공간별로 12개의 맵으로 구성돼 있으며, 실제 강의실과 실시간 소통되는 '메타버스-하이플렉스 강의실'이 구축돼 있다. 최첨단 하이플렉스 교육 시스템이 설치된 실제 강의실에서 교수자가 강의를 진행하면, 크로마키 효과를 통해 메타버스 강의실로 교수자 강의가 실시간으로 송출되고, 학생들은 아바타를 통해 메타버스 강의실에서 강의를 들으며 실시간 소통할 수 있다. 별도 프로그램 설치 없이, 웹기반으로 운영돼 언제 어디서나 PC나 태블릿PC, 모바일로 쉽게 접속해 강의 자료와 교수자의 강의를 한 눈에 볼 수 있다. 음성이나 채팅을 통한 동시 소통도 가능하다. 특히, 최대 1만명까지도 동시 접속이 가능해 대형 행사 진행도 가능하다. ■ THE·QS 세계대학평가 두각…글로컬대학30 예비지정 등 교육·연구 역량 인정 순천향대는 글로벌 대학 평가기관 THE(Times Higher Education), QS(Quacquarelli Symonds) '2023 THE 세계대학평가 영역별 순위'에서 ▲의학 분야 국내 9위, 세계 601+ ▲컴퓨터과학 분야 국내 14위, 세계 501+ ▲생명과학 분야 국내 17위, 세계 801+ ▲공학 분야 국내 25위, 세계 801+ 등 4개 모든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아울러, '2023 THE 세계대학영향력평가'에서는 3년 연속 세계 200위권에 랭크돼 국제사회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을 위해 꾸준히 기여한 역량도 인정받았다. 특히, 건강과 웰빙(SDG 3) 분야에서 국내 1위, 세계 25위를 기록하는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2024 QS 세계대학평가'에서는 세계 1001~1200위권, 국내 32위를 달성하며 충청권 사립대학 중 유일하게 세계 순위권에 진입해 글로벌 대학평가에서 상승세를 이어나가고 있다. 우수한 연구역량도 눈에 띈다. 순천향대는 '2023 과학기술 분야 기초연구사업' 기초연구사업 선도연구센터 신규과제에서 비수도권 대학 중 유일하게 'MRC(Medical Research Center, 기초의과학 분야)''CRC(Convergence Research Center, 융합연구 분야) 두 개의 대형과제에 선정됐으며, ▲BRL(Basic Research Laboratory, 기초연구실) - 심화형 주관기관'에도 뽑혔다. 또한, 순천향대는 지난 20일, 교육부와 글로컬대학위원회가 발표한 '2023년 글로컬대학 예비지정 평가' 결과 대전·세종·충남권에서 유일하게 예비지정 대학으로 선정됐다. 학생 미래 비전에 따른 교육 기간·패턴·전공 등을 스스로 설계해나갈 수 있는 개인 맞춤형 대학 시스템을 구축해 글로벌 융합 인재를 양성하고, '순천향 메가 대학'을 건립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학생 맞춤형 교육과정을 실현하기 위해 기존 학과·단과대학을 허물어 새로운 교육조직인 유니버시티(소전공) 중심의 대전환을 꾀한다. 기존 학과·학부 선택형 제도에서 탈피해 학제·교육과정 선택형으로 전환하는 차별화된 입시 전형의 패러다임을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김승우 총장은 "순천향대는 그간 메타버스, 하이플렉스 교육혁신을 제시해 고등 교육의 뉴노멀을 선도해왔다"라며 "학생의 메가 선택권을 보장하는 세계 최고 수준의 하이플렉스 교육혁신으로 뉴노멀 교육을 리드하는 명실상부한 글로벌 혁신 대학으로 발돋움할 것"이라고 밝혔다. ■수시 2111명 선발…학생부교과 메타휴먼전형 신설 '학생부교과 100%' 순천향대는 2024학년도 수시모집에서 총 모집인원 2653명의 79.5%인 2111명의 학생을 선발한다. 원서는 오는 9월 11일부터 15일까지 5일간 인터넷으로만 접수 가능하다. 수시모집은 크게 ▲학생부교과전형(1478명) ▲학생부종합전형(542명) ▲실기/실적전형(91명)으로 구분된다. 학생부교과전형 중 교과우수자전형, 메타버스전형, 지역인재-기초/차상위전형은 학생부교과 100%에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해 선발한다. 의예과는 수학 영역 선택 과목이 '미적분' 또는 '기하'가 아닌 경우, '과학탐구'가 아닌 경우 각각 0.5등급씩 하향 반영한다. 특히, 이번년도에 신설된 학생부교과 메타휴먼전형은 학생부교과 100%에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하지 않는다. 기존 3종목의 실기고사를 진행했던 스포츠의학과는 20M 왕복달리기, 제자리 멀리뛰기 2종목만을 진행하게 된다. 공연영상학과 실기는 '연기 또는 노래 중 택 1'과 '질의응답'으로 변경됐다. 학생부종합전형 중 일반학생전형, 지역인재전형, 기초/차상위전형, 농어촌전형은 학교생활기록부를 종합적·정성적으로 평가해 서류평가 100%로 진행되며, 수능 최저학력기준은 적용하지 않는다. SW융합전형은 1단계에서 5배수를 선발하고 2단계에서 면접을 실시한다. 자세한 사항은 대학 입학처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민세동 입학처장은 "우리 대학은 MZ세대 수험생들의 눈높이에 맞춰 챗봇, 꿈을 찾는 강좌 등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대입전형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라며 "앞으로도 고교 맞춤형 입시 상담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선보일 예정이며, 대학 입학전형의 공정성 제고를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펼칠 예정"이라고 말했다.

2023-08-28 13:52:32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2024 대학 수시 가이드/세종대] 亞 상위 1% 대학 평가…2030년 글로벌 100대 대학 진입 목표

1940년 개교한 세종대학교(총장 배덕효)는 나라와 세계를 위한 인재를 꾸준히 양성하며 유구한 역사와 전통을 지닌 명문 사학으로 자리매김했다. 올해로 창립 83주년을 맞은 세종대는 2030년 글로벌 100대 대학 진입을 목표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춰 나가고 있다. 이를 위해 ▲'세종 아너스 프로그램(Sejong Honors Program)' 운영 ▲교육기자재 고도화 사업 ▲'디자이노베이션' 활용 ▲PBL(Problem Based Learning)교과목 운영 ▲역진행 학습 ▲블렌디드러닝 등 혁신적인 교육 방법을 강화하며 융합 시대에 걸맞은 창의적 인재 양성에 앞장서고 있다. 세종대는 영국의 글로벌 대학평가기관인 QS(Quacquarelli Symonds)가 실시한 '2023 아시아 대학평가'에서 종합순위 79위를 차지하며 아시아 상위 1% 대학의 지위를 유지했다. QS 분야별 세계대학평가에서는 호텔관광계열 3년 연속 국내 1위, 세계 40위권을 기록했다. 또한, 세계적으로 권위와 영향력을 인정받고 있는 '2023 THE(Times Higher Education) 세계대학평가'에서 국내 8위, 세계 251-300위권에 진입했으며 '2023 THE 아시아 대학평가'에서는 종합 39위에 랭크되어 글로벌 대학으로서의 위상을 정립했다. 특히 논문 수준을 기반으로 세계 대학 순위를 매기는 2023 라이덴(Leiden) 랭킹에서 처음으로 국내 전체 대학 1위를 차지했다. 더불어 국제협력 논문 수 국내 1위를 기록하며 우수한 연구력을 보여줬다. ■ 수시로 모집인원 약 56.8% 선발…12일~15일 원서접수 세종대학교는 2024학년도 수시모집 모집인원이 1614명으로 전체 모집인원의 약 56.8%이다. 세종대는 학생부교과전형(지역균형, 농어촌학생, 항공시스템공학)으로 393명을 선발하며, 학생부종합전형(세종창의인재(면접형), 세종창의인재(서류형), 기회균형, 사회기여 및 배려자, 서해5도학생, 특성화고교졸 재직자, 국방시스템공학)으로 775명, 논술우수자 전형 340명, 실기/실적 전형(실기우수자, 예체능특기자)으로 106명을 선발한다. 2024학년도 세종대 수시모집의 가장 큰 특징은 ▲첨단학과 신설 모집(인공지능데이터사이언스학과', 'AI로봇학과', '우주항공드론공학부 지능형드론융합전공) ▲학생부교과전형 진로선택과목 반영 방법 변경 ▲국방시스템공학 특별전형 전형유형 변경(학생부교과→학생부종합) ▲실기/실적 전형의 음악과 수시모집 선발 신설 등이다. 세종대는 9월 12일부터 15일까지 2024학년도 수시모집 원서 접수를 실시한다. ■ 첨단학과 신설 세종대는 2024학년도 수시모집에서 인공지능데이터사이언스학과, AI로봇학과, 우주항공드론공학부 지능형드론융합전공 등 첨단학과를 신설해 학생부교과, 학생부종합, 논술우수자전형으로 선발한다. 인공지능데이터사이언스학과는 지역균형전형 24명, 세종창의인재전형(면접형) 17명, 세종창의인재전형(서류형) 8명, 논술우수자전형으로 25명을 선발하며, AI로봇학과는 지역균형전형 32명, 세종창의인재전형(면접형) 24명, 세종창의인재전형(서류형) 12명, 논술우수자전형으로 34명을 선발한다. 우주항공드론공학부 지능형드론융합전공의 경우 지역균형전형 12명, 세종창의인재전형(면접형) 10명, 세종창의인재전형(서류형) 4명, 논술우수자전형으로 13명을 선발한다. 지역균형 전형 및 논술우수자전형의 경우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하므로 지원 시 유의해야 한다. ■ 학생부교과전형, 진로선택과목 반영 '상위 3과목→전 과목' 확대 세종대는 학생부교과 지역균형전형으로 350명을 선발한다. 전년도와 동일하게 학생부 교과 성적을 100% 반영해 선발하며 수능최저학력기준 역시 전년도와 동일한 인문 2개 영역 등급 합 6 이내, 자연 2개 영역 등급 합 7 이내이다. 학생부 반영 방법 역시 전년도와 동일하나 진로선택과목의 경우 반영 교과 상위 3개 과목 반영에서 2024학년도에는 반영 교과 전 과목 반영으로 확대했다. 공군과의 협약에 의해 설치·운영되는 장교(공군조종장교) 채용조건형 계약학과 선발 전형인 항공시스템공학 특별전형은 수시모집에서 20명의 신입생을 선발하며, 1단계는 학생부 교과성적 100%, 2단계는 1단계 성적 및 공군본부 주관 전형으로 구성된다. ■ 국방시스템공학 특별전형 '학생부교과→학생부종합' 변경…1단계 서류 100% 반영 세종대 학생부종합전형은 올해 세종창의인재(면접형)(350명), 세종창의인재(서류형)(145명), 기회균형(98명), 사회기여 및 배려자(30명), 서해5도학생(3명), 특성화고교졸 재직자 특별전형(117명), 국방시스템공학 특별전형(32명)으로 총 775명을 선발한다. 서류평가는 '학업역량, 진로역량, 창의융합역량, 공동체역량'의 평가 요소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며, 세종창의인재(면접형) 전형은 진로역량에, 창의인재(서류형) 전형은 학업역량에 좀 더 비중을 둬 평가한다. 세종창의인재(면접형) 전형은 1단계에서 서류평가로 3배수를 선발하고 2단계에서 면접고사를 실시하여 최종 합격자를 선발한다. 창의소프트학부(디자인이노베이션전공, 만화애니메이션텍전공)는 면접 당일 전공적합성 관련 주제로 발표자료를 작성한 후 제시문 기반 면접을 실시하며, 그 외 모집단위의 경우 학생부 기반의 일반면접을 실시한다. 해군과의 협약을 통해 설치 및 운영되는 장교(해군 소위) 채용조건형 계약학과 선발 전형인 국방시스템전형은 2024학년도부터 학생부종합전형으로 선발한다. 1단계에서 서류평가로 3배수를 선발하며 2단계에서는 1단계 성적과 면접평가, 체력검정 및 해군본부 주관 전형(합/불 판정)으로 최종 합격자를 선발한다. ■ 논술우수자전형, 학생부 30%, 논술 70% 반영 논술우수자전형은 학생부 30%, 논술고사 성적 70%를 반영하며, 수능 다음주인 11월 25일에 인문계열, 11월 26일에 자연계열 논술고사를 실시한다. 수능 최저학력기준의기준은 인문계열 2개 영역 등급 합 5 이내, 자연계열 2개 영역 등급 합 6 이내이다. 논술전형은 상대적으로 학생부 성적이 불리하더라도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충족시킬 수 있다면 유리하므로 지원 대학의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목표로 남은 기간 전략적으로 수능 영역별 맞춤 전략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 세종대 논술고사는 인문계열의 경우 수학(통계, 자료해석, 도표 등) 및 영어 제시문 문항이 출제되지 않고 국어와 사회 교과서의 지문을 활용한 문제가 출제되며, 자연계열의 경우 과학 문항이 출제되지 않고 수학 문항(확률과통계/기하 미포함)만 출제되어 논술고사에 대한 부담이 작으므로 기출 문제를 중심으로 대비하면 좋다.

2023-08-28 13:51:59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2024 대학 수시 가이드/경희대] 수시 인원 소폭 감소 ‘2896명 모집’…수시 논술우수자전형 논술 100%

경희대학교(총장 한균태)는 2024학년도 입시에서 수시모집으로 2896명(54.5%)을 선발한다. 수시모집에서는 학생부교과전형 578명, 학생부종합전형 1540명, 논술우수자전형 483명, 실기우수자전형 295명을 선발한다. 28일 경희대에 따르면 올해 수시모집에는 예년과 다른 몇 가지 변경 사항이 있다. 주요 변경 사항은 ▲수시 학생부교과전형 모집인원 4.1% 증가(23명) ▲그 외 수시 모집인원 소폭 감소[학생부종합전형 0.9% 축소(14명), 논술우수자전형 0.8% 축소(4명), 실기우수자전형 6.1% 축소(19명)] ▲수시모집 학생부종합전형 자기소개서 폐지 ▲수시모집 학생부종합(네오르네상스전형) 의학계열 면접에서 출제문항 면접 폐지 ▲수시모집 논술우수자전형 논술 100% 반영 등이다. 수시 모집인원이 소폭 축소된 만큼 정시 모집인원은 소폭 확대(전년 대비 0.5% 확대, 총 13명 증가)됐다. ■ 학생부교과전형 578명 선발…국내 고교 졸업예정자 대상 학생부교과(지역균형전형)는 578명을 선발한다. 이 전형은 국내 고등학교 졸업예정자로서 3개 학기 이상의 교과 성적이 있는 학생으로 학교장의 추천을 받은 학생이 지원하는 전형이다. 교과종합평가 30%와 학교생활기록부 교과 및 비교과(출결·봉사) 성적 70%를 합산해 총점 순으로 선발하며,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수능최저학력기준은 인문[지리학과(인문), 간호학과(인문), 한의예과(인문) 제외], 인문[지리학과(인문), 간호학과(인문)], 한의예과(인문), 자연[의예과, 한의예과(자연), 치의예과, 약학과 제외], 의예과·한의예과(자연)·치의예과·약학과, 예술·체육 6개 그룹으로 구분된다. 지리학과(인문), 간호학과(인문), 한의예과(인문)은 수학에서 '확률과 통계', 탐구에서 '사회탐구'를 지정 반영하므로 유의해야 한다. 상세한 최저학력기준과 반영 영역은 모집요강을 참고하면 된다. 학생부교과전형의 교과종합평가는 학교생활기록부 중 '교과학습발달상황'에 해당하는 교과 성정과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만으로 평가하고, 학업 역량과 진로 역량 2가지 평가 요소로 평가한다. 평가 척도는 우수(A), 보통(B), 미흡(C)이며 절대평가한다. ■ 학생부종합전형, 올해부터 학생기록부만 반영 수시 학생부종합전형의 모집인원은 총 1540명이다. 네오르네상스전형에서 1092명, 기회균형전형 358명, 고른기회전형 90명을 선발한다. 학생부종합전형은 올해부터 학교생활기록부만으로 평가한다. 학생부종합(네오르네상스전형) 1단계는 서류평가 100%로 모집인원의 3배수를 선발하고, 2단계는 면접 평가 30%와 1단계 성적 70%를 합산해 최종 선발한다. 면접방식은 모두 계열에 걸쳐 공통질문(지원동기, 가치관 및 인성 등) 및 개인 서류 확인 면접으로 진행하고, 면접 시간은 10분 내외이다. 수능 최저학력기준은 없다. 학생부종합(기회균형전형)과 학생부종합(고른기회전형)은 다단계 평가가 아닌 일괄합산 방식으로 진행한다. 서류평가 70%, 학생부 교과 성적 30%로 학생을 선발한다. '국가보훈 대상자', '농·어촌학생',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한부모 가족 지원 대상자' 등을 별도로 선발하지 않고, 통합해 선발한다. 올해부터 '북한이탈 주민'은 재외국민특별전형으로 선발한다. 지난해와 대비해 2024학년도의 주요 변경 사항은 학생부종합전형 평가 요소가 학업 역량(30%), 진로 역량(50%), 공동체 역량(20%) 3가지로 변경된다. 또한 학생부종합전형의 자기소개서를 폐지했고, 학생부종합전형 의학 계열[의예과, 한의예과(인문, 자연), 치의예과]에서 출제 문항 면접을 폐지했다. 올해부터 의학계열 면접도 개인 서류 확인 면접으로 진행한다. ■ 논술우수자전형 483명으로 '전년 대비 소폭 감소' 수시 논술우수자전형은 총 483명을 선발해 전년 대비 소폭 감소했다. 수능최저학력기준은 '인문[지리학과(인문), 건축학과(인문), 간호학과(인문), 한의예과(인문) 제외]', '인문[지리학과(인문), 건축학과(인문), 간호학과(인문)]', '한의예과(인문)', '자연[의예과, 한의예과(자연), 치의예과, 약학과 제외]', '의예과·한의예과(자연)·치의예과·약학과', '예술·체육' 등 6개 그룹으로 구분된다. 계열별로는 '인문·자연계열'은 2개 영역 등급의 합이 5이내, '의·약학계열'은 3개 영역 등급의 합이 4이내이다. 탐구영역은 상위 1개 과목만 반영하고, 한국사는 인문/자연/의·약학계열은 5등급 이내여야 한다. '체육계열'은 국어, 영어 중 1개 영역 이상 3등급 이내, 한국사 응시는 필수이다. 올해 지리학과(인문), 건축학과(인문), 간호학과(인문), 한의예과(인문)은 수학에서 '확률과 통계', 탐구에서 '사회탐구'를 지정 반영하므로 유의해야 한다. 상세한 최저학력기준 및 반영 영역은 모집요강을 참고하면 된다. 수시 논술우수자전형 중 '자연계열' 논술은 수학 시험만 응시하면 되고, '의·약학계열'은 수학이 필수이며, 과학은 물리학, 화학, 생명과학 중 한 과목을 선택해야 한다. ■ 실기우수자전형, 다단계 전형으로 진행…체육 특기자 '학폭' 기재 시 반영 실기우수자전형은 전년대비 19명 줄어든 총 295명을 선발한다. 실기우수자전형(한국화·회화·조소)은 올해 다단계 전형으로 진행된다. 1단계에서 '실적평가 성적 60%'와 '학생부 성적(교과·비교과) 40%'로 평가하고, 2단계는 '1단계 성적 10%'와 '실기고사 성적 90%'를 합산해 최종 선발한다. 실기우수자전형(체육)은 체육 특기자의 학교생활 충실도 반영을 위해 학생부에 '학교폭력 사실'이 기재된 경우, 정도에 따라 심의를 거쳐 전형 제외 또는 감점할 수 있다. 면접평가는 20%에서 10%로 축소됐고, 대신 학생부 성적(교과·비교과)는 10%에서 20%로 확대됐다. '실기우수자전형(K-SW인재)'은 폐지됐다. ■ 모집단위 분리 및 명칭 변경…비교과(봉사) 만점 최대시간 및 학생부위주전형 평가 안내 2024학년도 경희대 대학 편제 개편에 따라 '국제대학 글로벌한국학과'는 폐지(외국인 유학생 대상 정원 외 전담 학과로 운영)됐으며, 해당 정원 내 1명은 국제학과에서 통합 선발한다. 호텔관광대학에서는 '글로벌 Hospitality·관광학과'가 신설됐는데, 전공수업을 100% 영어 수업으로 진행하는 영어전용 신설학과이다. 전자정보대학은 반도체공학과가 신설됐다. 학생부교과(지역균형전형), 실기우수자전형의 학교생활기록부 비교과(출결·봉사) 영역의 봉사 시간은 올해까지 8시간 이상이면 만점 처리된다. 학생부종합전형은 교과와 비교과 활동을 정성적으로 평가하는 전형이다. 서류평가에서는 학업역량 30%, 진로역량 50%, 공동체역량 20%를 반영한다. 학생부교과전형의 교과종합평가는 학업역량 50%, 진로역량 50%를 반영한다. 경희대는 학생간 정보 불균형 해소를 위해 입학처 홈페이지에 매년 전형별, 모집단위별, 지원자 및 합격자의 학생부 등급 분포와 합격자 서류평가 및 면접평가 성적, 논술성적 등을 매우 상세하게 공개하고 있다. 입학처 홈페이지의 '전형결과 알아보기'에서 보다 자세한 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

2023-08-28 13:51:57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2024 대학 수시 가이드/숭실대] 수시 1729명 선발…‘LG유플러스 채용’ 정보보호학과 신설

숭실대학교(총장 장범식)는 2024학년도 전체 모집인원(3029명)의 약 57%인 1729명(정원외 포함)을 수시모집을 통해 선발한다고 28일 밝혔다. 2024학년도 숭실대 수시모집 특징은 ▲LG유플러스 채용조건형 계약학과인 정보보호학과(모집인원 20명) 신설 ▲학생부종합전형 1단계 평가요소 변경(잠재역량→숭실역량) ▲예체능우수인재전형 학생부 교과 진로선택 미반영(공통/일반선택 80%, 진로선택 20%에서 공통/일반선택 100%로 변경) ▲학생부종합전형 자기소개서 폐지이다. ■정보보호학과 신설, 20명 선발…'사이버 보안 분야 특화 인재 양성' 숭실대는 LG유플러스와 사이버 보안 분야에 특화된 전문인재 양성을 위해 정보보호학과를 신설하고 신입생을 모집한다. 정보보호학과는 2024학년도 20명을 선발할 예정이며, 이 중 12명을 수시모집으로 선발할 예정이다. 12명 중 8명은 학생부종합(SSU미래인재전형)으로, 4명은 실기/실적(정보보호특기자전형)으로 선발한다. 정보보호특기자전형은 올해 신설된 전형으로 정보보안경진대회, 사이버공격방어대회 등 본교가 인정하는 대회에서 입상한 자를 지원자격으로 하고 1단계-서류종합평가 100%(3배수)와 2단계-1단계 성적 70%+면접 30%로 학생을 선발한다. 수능최저학력기준은 없으며, 전공분야에 대한 수학능력과 관심, 논리적 사고 및 표현 등을 평가할 예정이다. 정보보안 분야 국내 최고의 교수진이 체계적인 교육을 제공하며, 소정 기준을 통과한 재학생에게는 등록금 면제 및 생활비 지원, LG노트북과 통신비 지원, 졸업 후 LG유플러스에 입사할 기회까지 주어지니 소프트웨어분야에 관심 있는 우수한 학생이라면 눈여겨볼만하다. ■ SSU미래인재전형, 자소서 폐지로 면접 중요성↑ 수시모집의 대표적인 전형인 SSU미래인재전형의 경우 2023학년도에는 626명을 선발할 예정이다. 이 전형은 1단계-서류종합평가 100%(3배수)와 2단계-1단계 성적70% + 면접30%로 학생을 선발한다. 1단계 서류종합평가는 진로역량 50%, 숭실역량 30%, 학업역량 20%의 비율로 평가하며, 2단계는 1단계 평가결과 70%, 면접 30%으 비율로 평가한다. 2024학년도부터 신설된 1단계 평가요소 숭실역량은 지원 학과에서 요구하는 핵심역량을 갖고 있는지 종합적으로 평가해, 학과의 구성원으로서 적응 가능성과 발전가능성을 평가하는 내용으로 학과에서 요구하는 핵심역량은 입학처 홈페이지에 공지돼 있으니 꼭 확인해야 한다. 올해부터 자기소개서가 폐지되고 학생부 기재사항이 축소된 만큼 면접의 중요성이 더 부각될 것으로 예상된다. 학생부종합전형 지원자는 학생부 내용을 전반적으로 숙지하고 면접을 미리 준비해야 한다. 또한, 학생부종합전형 면접 절차 및 질문 예시 등의 내용은 숭실대학교 입학처 홈페이지에 탑재된 학생부종합전형 안내책자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학생부종합전형의 수능최저학력기준은 없으며, 고교 생활을 성실히 수행한 학생이라면 적극적으로 지원해볼 만하다. ■ 특성화고등을졸업한재직자전형, 서류 100%로 선발 학생부종합(기회균형전형)은 137명, 학생부종합(특수교육대상자전형)은 35명의 모집인원이 배정돼 있으며, 학생부종합(특성화고등을졸업한재직자전형)은 일괄합산전형으로 서류 100%로 합격자를 선발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SW중심대학에 선정된 숭실대는 IT대학의 일부 모집단위에서 학생부종합(SW우수자전형)으로 21명을 선발한다. 컴퓨터학부(4명), 글로벌미디어학부(4명), 소프트웨어학부(8명), AI융합학부(5명) 21명을 선발하는 이 전형은 1단계-서류종합평가 100%(3배수)와 2단계-1단계 성적70% + 면접(블라인드)30%를 적용한다. 수능최저학력기준은 적용하지 않는다. 소프트웨어 관련 외부 입상실적을 반영하지 않으며 소프트웨어 분야 우수인재로 성장 잠재력을 보여줄 수 있는 지원자를 찾고 있다. 학생부우수자전형은 435명을 선발하며, 선발 규모는 2023학년도에 비해 12명 감소했다. 원서접수 기간 이후 출신 고등학교에서 온라인으로 추천 처리할 예정이며 고교별 추천 인원 제한은 없다. 전형방법은 학생부 교과 성적 100%로 전년도와 같고, 공통과목·일반선택(80%), 진로선택과목(20%)로 반영한다. 공통과목·일반선택은 석차등급을 반영하고, 진로선택과목은 취득한 성취도(A,B,C)에 따라서 등급(1,2,3)을 부여한다. 또한, 공통과목·일반선택의 경우 각 모집단위(계열)에 따라 교과별 가중치를 다르게 반영하며, 진로선택 과목은 교과별 가중치 없이 반영한다. 학생부우수자전형의 지원자는 모집단위의 교과별 가중치를 잘 확인하고 환산 총점 계산 시 어떤 유불리가 있을지 사전에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학생부우수자전형·논술우수자전형, 수능 최저 기준 있어 논술우수자전형 모집인원은 267명을 선발할 예정이며 2023학년도와 비슷한 규모이다. 전형방법(논술60% + 학생부교과40%)과 논술고사 유형(통합교과형)은 기존과 동일하다. 인문계열은 인문·사회와 관련한 서술식 문제가 출제될 예정이고 경상계열은 경제 및 수학과 관련한 문제가 출제된다. 자연계열은 수학 문제만 출제될 예정이다. 문항 수는 2~4문항이 출제될 예정이다. 논술우수자전형에 관심 있는 지원자는 숭실대학교 입학처 홈페이지에서 과년도 기출문제를 꼭 확인해보길 추천한다. 학생부우수자전형과 논술우수자전형은 수능최저학력기준이 있으며 인문·경상계열은 4개(국수영탐(1)) 영역 중 2개 합 4등급으로, 자연계열은 4개 영역(국수영탐(1)) 중 2개 합 5등급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자면 인문·경상계열은 국어(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 중 택1), 수학(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 중 택1), 영어, 탐구(1과목) 중 2개 영역 등급 합 4등급 이내이며, 자연계열은 국어(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 중 택1), 수학(미적분, 기하 중 택1), 영어, 과탐(1과목) 중 2개 영역 등급 합 5등급 이내이다. 융합특성화자유전공학부는 국어(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 중 택1), 수학(미적분, 기하 중 택1), 영어, 탐구(1과목) 중 2개 영역 등급 합 5등급 이내이다. 2023학년도 수능최저기준 충족비율은 학생부우수자전형 47.5%, 논술우수자전형 50.3%로 수능최저기준 충족 여부가 두 전형의 당락에 중요한 요인이다. 학생부우수자, 논술우수자전형의 지원자는 수능최저학력 기준을 충족할 수 있도록 수능을 전략적으로 준비하고 끝까지 학업에 대한 집중력을 유지하기를 권고한다. 예체능우수인재전형(체육)에서는 당구 종목의 우수인재를 선발할 계획이다. 실적 60%+면접 20%+학생부 20%를 반영하여 합격자를 선발한다. 예체능우수인재전형(연기)는 다단계 전형으로서 실적 반영 없이 1단계에서는 실기 60% + 학생부 교과 40%를 반영해 모집인원의 4배수를 선발하고, 2단계에서는 실기 80%+학생부 교과 20%를 반영해 최종 선발을 한다. 예체능우수인재(연출)의 전형방법은 예체능우수인재(연기)와 동일하며 1단계에서는 3배수를 선발하는 것이 차이점이다. 또한, 예체능우수인재전형은 수험생 부담 완화를 위해 2024학년도부터 학생부 교과 성적에 진로선택을 반영하지 않는다. 숭실대는 수시모집 원서를 9월 12일 오전 10시부터 15일 오후 6시까지 접수한다. 논술고사는 11월 18일, 학생부종합(SSU미래인재전형) 면접은 12월 1일, 학생부종합(SW우수자, 고른기회, 특수교육대상자전형)과 정보보호특기자전형 면접은 12월 2일에 각각 시행할 예정이다.

2023-08-28 13:51:54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2024 대학 수시 가이드/호서대] 융합형 인재 양성 위한 광역학부제 운용

호서대학교(총장 강일구)는 2024학년도 신입학 수시 모집에서 모집정원의 89.9%인 2596명(정원 내)을 모집한다. 수시전형은 크게 학생부교과전형, 학생부종합전형, 실기위주전형으로 나눠진다. ■ 학생부전형 정원내 1091명 선발…실기전형 260명 학생부교과전형 중 학생부전형은 정원내 1091명을 선발한다. 이는 전형 중 가장 많은 인원으로, 학생부 교과성적 100%로 선발한다. 출결을 반영하지 않고, 모든 전형에서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하지 않는다. 성적 반영 방법은 국어, 영어, 수학 중 상위 2개, 사회, 과학 중 상위 1개로 총 상위 3가지 교과를 전 과목으로 반영하고 있다.(사회, 과학보다 국/영/수 성적이 높을 시, 국/영/수로 성적 반영 가능) 상위과목 중 탐구 2개는 불가하고, 학년별 반영 비율은 없다. 이를 통해 경쟁이 치열한 고등학교 3학년 성적에 대한 부담을 크게 줄였다. 학생부종합 중 호서인재전형은 가장 대표적인 학생부종합전형이며, 766명을 선발한다. 1단계에서는 학생부 서류평가로 5배수 선발, 2단계에서는 1단계 성적 70%와 면접 30%를 반영해 최종 선발한다. 면접은 학교생활기록부를 기반으로 경험 중심의 면접이 진행된다. 입학 홈페이지에 학생부종합 면접 문제은행이 게시되면서 수험생의 면접 부담을 크게 줄였다. 실기전형은 260명을 선발하고 실기고사 반영비율이 높다, 디자인 계열 및 체육 계열은 실기 80% + 학생부 20%, 그 외 모집단위는 실기 90% + 학생부 10%로 반영해 선발한다. ■광역학부제 시행…미래 사회 수요 기반 융합형 인재 양성 호서대는 미래 사회 수요 기반의 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해 광역학부제를 시행하고 있다. 광역학부제는 유사 학문 단위의 여러 학과를 하나의 학부로 통합하고 학부 내에 관련 트랙을 운영하는 학사 구조이다. 광역학부에 입학한 신입생은 다양한 트랙 탐색 과정을 거쳐, 학부에 개설된 트랙을 단수 또는 복수로 선택해 이수할 수 있다. 지난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에서 컴퓨터공학부와 화학공학과는 최우수(A++) 등급을 받았다. 이를 통해 실제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업무역량을 갖춘 인력양성을 하고 있음을 인정받았다. AI 및 4차 산업혁명 핵심 분야에 관심이 있다면 컴퓨터공학부(사물인터넷트랙, 인공지능트랙, 정보보호학트랙)에서 맞춤교육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세계 3대 디자인 공모전에서 8년 연속 우수한 수상 실적을 보이는 디자인 계열 학과도 주목할 만한 특성화학과로 꼽힌다. ■ 반도체 특성화대학 지원사업 선정…2027년까지 1840명 인재 양성 올해 호서대는 교육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이 주관하는 '반도체 특성화대학 지원사업'에 선정됐다. 이 사업은 4차 산업혁명 시대 핵심이자 국가 안보 자산인 반도체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대학 중심의 반도체 인재 양성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다. 호서대는 2027년까지 총 1840명의 인재를 양성할 계획이며, 반도체공학과로 입학 시 전원 장학금을 받고, 성적 등 몇 가지의 기준을 충족하면 4년간 계속해 지원받을 수 있다. 2024학년도는 호서대 미래 사회 수요 기반 산업계관점에 맞춘 학사 구조개혁을 통해 디지털금융경영학과, 지능로봇학과, 디지털프로덕트디자인학 등 여러 학과를 신설했다. 또한, 화장품과학과, 생명공학과, 기계공학과, 미래자동차공학과 등 전공의 세분화를 위해 분리된 학과도 있으니, 입학 홈페이지 혹은 모집요강을 참고해 희망하는 학과를 살펴봐야 한다. 최인호 입학처장은 "호서대는 '벤처 퍼스트(Venture 1st)'를 모토로 국내 최초로 창업보육센터를 설립했듯이 창조 정신과 도전정신을 갖고 자신의 꿈을 실현하고자 노력하는 학생들을 위한 최상의 교육환경을 갖춘 대학"이라며 "살아 있는 도전정신을 가진 많은 학생의 지원을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이현진기자 lhj@metroseoul.co.kr

2023-08-28 13:51:53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2024 대학 수시 가이드/중앙대] 수시 2791명 선발…‘평가요소 변화’‘수능최저학력기준 완화’

중앙대학교(총장 박상규)는 2024학년도 수시모집을 통해 총 2791명을 선발한다고 28일 밝혔다. 전형유형별 모집인원은 학생부교과전형 504명(18.1%), 학생부종합전형 1409명(50.5%), 논술전형 478명(17.1%), 실기전형 400명(14.3%)이다. 중앙대 수시모집은 전년 대비 변경된 부분이 많다. 먼저 안성캠퍼스는 '다빈치캠퍼스'로 명칭이 변경됐으며, 화학신소재공학부가 화학공학과로 변경되는 등 학과명 변경도 있다. 학생부종합전형은 올해부터 전형 세부 명칭이 변경됐다. 다빈치형인재전형은 'CAU융합형인재전형', 탐구형인재전형은 'CAU탐구형인재전형', 사회통합전형은 'CAU어울림전형', 고른기회전형은 '기회균형전형'으로 각각 명칭을 바꿨다. 올해부터는 자기소개서가 폐지된 것과 더불어 평가요소도 변경됐다. 기존에는 학업역량·탐구역량·발전가능성·인성에 더해 통합역량 또는 전공적합성 5개 평가요소가 존재했지만, 올해부터는 학업역량·진로역량·공동체역량 3개 평가요소를 적용한다. 변경된 서류평가요소에 따라 CAU융합형인재, CAU어울림, 기회균형은 학업역량 50%, 진로역량 30%, 공동체역량 20%, CAU탐구형인재는 학업역량 40%, 진로역량 50%, 공동체역량 10%를 반영한다. CAU융합형인재전형은 1단계 서류 100%로 모집인원의 3.5배수를 선발하며, 2단계에서는 1단계 성적 70%와 면접 30%으로 선발한다. 면접평가는 학업준비도, 학교생활 충실도, 인성 및 의사소통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개인별 면접(서류기반면접) 형태다. CAU탐구형인재전형은 서류 100%로 일괄선발한다. 고교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해당 전공 분야에서 탐구 능력을 보인 경험이 있으며, 학교생활에 충실한 학생이 선발 대상이다. 아울러 교내 학업 관련 수업, 창의적 체험활동 등 탐구활동 과정에서 탁월한 역량을 보인 인재를 높이 평가한다. CAU융합형인재와 CAU탐구형인재 두 전형 모두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하지 않는다. 수시에서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하는 모는 전형에서 수능최저학력기준이 완화됐다. 영어 등급 산정 시 1등급과 2등급을 통합해 2등급을 받은 학생도 1등급으로 간주한다. 자연계열은 과탐 반영 시 과목별 Ⅰ+Ⅱ 중복 선택이 가능하도록 변경했다. 기존에는 물리Ⅰ+물리Ⅱ와 같이 동일 과목 선택이 허용되지 않았다. 논술전형은 앞서 설명한 수능최저학력기준 완화 외에도 추가적으로 일부 모집단위의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완화해 수험생의 부담을 덜었다. 다빈치캠퍼스 자연계열은 기존 국수영탐(1과목) 중 2개합 5이내에서 6이내로 기준을 완화했다. 약학부의 경우 국수영탐 4개합 5이내로 지난해와 동일하지만, 탐구를 2과목이 아닌 1과목만 반영한다. 논술전형의 전형요소별 비율은 논술고사 70%, 학생부 30%(교과20%+비교과(출결)10%)로 선발하며,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한다. 지원한 계열에 따라 논술고사 유형은 달라진다. 인문사회계열의 경우 언어논술 3문항이 출제되며, 경영경제계열은 언어논술 2문항과 수리논술 1문항이 출제된다. 자연계열은 수리논술 4문항이 출제된다. 자연계열 논술은 그간 시행해 온 과학논술을 폐지하고 올해부터 수학논술만 실시한다. 수학논술 출제범위에 확률과통계가 추가되어 수학,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통계, 미적분, 기하 등 수학 전 범위에서 문제가 출제된다. 수학논술 출제 문항 수는 기존 3문항에서 4문항으로 확대되었다. 학생부교과전형인 지역균형전형은 앞서 설명한 수능최저학력기준의 변화 외에 달라진 점이 없다. 고교당 추천 인원은 동일한 20명이며, 재수생까지 추천 대상이다. 세부요소별 반영비율은 학생부 100%로 교과 90%, 비교과(출결) 10%를 반영한다. 교과 성적 산출 시 반영하는 교과목은 계열별 구분 없이 국어·영어·수학·사회·과학을 모두 반영한다. 교과별, 학년별 가중치는 없으며, 공통/일반 선택과목의 반영비율은 90%로 석차등급과 이수단위를 활용한 환산점수를 활용한다. 진로선택과목의 반영비율은 10%이며, 성취도 환산점수를 활용한다. 실기전형은 실기형에서 356명 특기형에서 44명을 모집한다. 실기형은 학교생활기록부와 실기고사를 반영하며 모집단위별 반영 비율이 상이하다. 공연영상창작학부(문예창작, 사진)는 국수영탐(1과목) 중 2개합 6이내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한다. 특기형은 학교생활기록부, 수상실적, 적성실기고사를 반영하며 모집 유형별 반영 방법과 비율이 상이하다. 수능최저학력기준은 적용하지 않는다. 중앙대 수시모집 원서접수는 9월 12일부터 15일 오후 6시까지 진행한다.

2023-08-28 13:51:20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2024 대학 수시 가이드/삼육대] 빅데이터·AI 등 첨단학과 신설…’SW 핵심인재‘ 키운다

삼육대학교(총장 김일목)가 중장기 발전계획인 'SU-Glory 2030'을 선포하고, '휴먼-ICT 융합'과 '바이오-에코 융합'을 양대 특성화 전략으로 내세웠다. 휴먼-ICT 융합 특성화를 바탕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간중심 신기술 개발과 융합을 추진하고 있다. 삼육대는 최근 미래융합대학 내에 첨단학과인 빅데이터클라우드공학과와 인공지능융합학부를 신설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원하는 SW중심대학사업에 선정돼 교육과정을 SW중심으로 혁신하고, SW핵심인재를 양성하고 있다. 정부의 부처협업형 인재양성 사업인 반도체전공트랙사업을 통해서는 '반도체 소부장 엔지니어 양성과정'을 개설하고, 시스템 반도체 분야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있다. ■ 빅데이터클라우드공학과 신설…올해부터 신입생 모집 삼육대는 빅데이터클라우드공학과를 신설하고 올해 2024학년도 입시부터 신입생을 모집한다. 4차 산업혁명 시대 데이터 클라우드 산업의 성장을 이끌어가기 위한 탄탄한 이론과 실무능력을 갖추고, 다양한 문제해결 능력과 전인적 소양을 겸비한 창의적인 글로컬 소프트웨어 개발자를 양성한다. 1·2학년 과정은 기존 컴퓨터공학부와 인공지능융합학부에서 다루는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기초 이론과 프로그래밍 관련 교과목을 배운다. 3·4학년 과정은 여기에 빅데이터와 클라우드 컴퓨팅에 특화된 '데이터공학트랙', '클라우드컴퓨팅트랙'을 운영한다. 데이터공학트랙은 ▲소셜빅데이터분석 ▲데이터마이닝 ▲데이터시각화 ▲소셜빅데이터분석 ▲클라우드기반빅데이터분석 등 과목을 배운다. 클라우드컴퓨팅트랙의 주요 교과목은 ▲클라우드컴퓨팅 ▲클라우드가상화 ▲클라우드인프라관리 ▲클라우드운영 ▲클라우드DevOps자동화 등이다. 현업 실무진의 요구사항을 수용한 전공심화 과목을 중점 배치했으며, 실무능력 향상을 위해 3~4학년 과정에서 캡스톤디자인 및 인턴십 교과목을 강화했다. 산업계 실무자를 강사 및 멘토진으로 적극 영입해 학생들의 현업 능력과 취업률 향상을 도모한다. ■ 인공지능융합학부, AI-반도체-경영정보 트랙 운영 지난 2021년에는 100명 정원의 인공지능융합학부를 신설했다. 인공지능 중심의 공학적 전문 역량을 바탕으로 인문사회학적 소양과 경영적 통찰력을 갖춘 전문 인재를 양성하고 있다. 세부전공은 인공지능공학, 경영정보시스템, 지능형반도체 등 세 트랙을 운영한다. '인공지능공학'은 인공지능 기반의 빅데이터 및 IT 전문 인재를, '경영정보시스템'은 체계적인 전문지식과 현장경험이 풍부한 경영-IT 코디네이터, 전공지식과 기술을 갖춘 제너럴리스트를, '지능형반도체'에서는 차세대 반도체 산업을 이끌어갈 반도체 공정·설계·분석 분야 전문인력을 양성한다. 이를 위해 폭넓은 전공기초교육은 물론, 인공지능·빅데이터 중심의 전공심화교육, 반도체 학문의 폭넓은 이해와 응용을 위한 융합형 프로젝트 중심 교육, 글로벌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해외연수 프로그램 등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적합한 창의적 융합 인재를 양성하고 있다. ■ SW중심대학사업…SW건강과학특성화 연계전공 운영 삼육대는 2021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특성화 트랙 국고사업인 'SW중심대학사업'에 선정돼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대학교육을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혁신해 소프트웨어 핵심인재를 양성하는 사업으로, 지원 규모는 최대 6년(4+2년)간 총 60억원에 달한다. 삼육대의 사업 비전은 '건강한 지역사회를 위한 SW건강과학 융합인재 양성'이다. 건강과학 특성화 분야에서 100년 이상의 노하우를 축적해온 삼육대는 이 분야에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소프트웨어 교육을 접목해 소프트웨어 역량을 갖춘 융합인재를 양성하고,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삼육대는 SW 융합인재 양성을 위해 SW건강과학특화 연계전공 3개 과정을 신설해 운영하고 있다. ▲SW중독심리 ▲SW중독재활 ▲SW보건빅데이터 등이다. SW중심학과인 컴퓨터공학부와 인공지능융합학부 외에도 간호학과, 물리치료학과, 보건관리학과, 사회복지학과, 상담심리학과, 약학과 등 건강과학특성화 학과를 융합한 과정이다. 모든 연계전공 과정은 삼육대 학부 재학생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 반도체전공트랙사업…시스템 반도체 핵심인재 양성 삼육대는 또한 반도체전공트랙사업에 선정돼 '반도체 소부장 엔지니어 양성과정'을 신설해 운영하고 있다. 교육부와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이 주관하는 부처협업형 인재양성 사업이다. 삼육대는 반도체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반도체 소자, 공정 학사급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있다. 삼성전자 반도체연구소 출신 교수진이 주축이 돼 반도체 8대 공정, 소자 특성, 측정 등 교과목을 개설 운영한다. 화학생명과학과에 반도체 기기분석, 인공지능융합학부에 인공지능소프트웨어 기초 과정을 개설한다. 또 컨소시엄 기업체와의 협력을 통한 실무 중심의 교과목과 산학협력 프로젝트, 인턴십, 현장실습 등 기업연계 과정을 강화한다. 삼육대는 이처럼 반도체 공정 및 실습과 관련한 실무 중심의 교육 재편성을 통해 시스템 반도체를 이끌어갈 핵심 전문인력을 양성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삼육대는 올해 사업비로 10억1000만원을 확보했다. 기존 연간 사업비 3억원에서 3배 이상 대폭 증액됐다. 1차년도 사업에 대한 연차평가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은 데 따른 것이다. 이론 중심 교육이 아닌 컨소시엄 기업의 요구를 반영한 현장 실무 능력 중심의 교과목을 개발한 점, 반도체 6대 공정을 중심으로 한 연구센터를 구축한 점 등 여러 수행실적을 인정받았다. ■ 마이크로 전공제 도입…반도체·데이터사이언스 신설 전공의 문턱을 낮춰 재학생의 융합 능력을 함양하기 위해 지난 2학기부터 마이크로 전공제를 도입했다. 데이터사이언스, 반도체를 비롯해 총 8개 과정을 개설했다. 마이크로전공은 주 전공 외에 여러 학문을 익힐 수 있도록 최소단위(micro) 학점으로 설계하고 개발한 전공과정이다. 각 전공별 교과과정에서 12학점(4과목) 이상 이수하면 마이크로전공 인증을 수여하고, 인증 취득 내용을 성적증명서에 기재해 준다. 재학생은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교육과정은 비전공자 학생을 위해 별도로 개발된 맞춤형 강의로 제공한다. 마이크로전공을 이수한 후 해당 분야에 관심이 있는 경우, 복수전공·부전공·연계전공·융합전공 등 다양한 다중전공으로 확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 마이크로전공 이수자가 동일 다중전공으로 진입 시 이수 학점으로 인정해 주는 혜택도 제공한다. '전과자율제'도 주목할만하다. 삼육대는 2~4학년 졸업 전까지 전과를 원하는 학생은 희망 학과(부) 모집정원 100% 이내 범위에서 자유롭게 전과할 수 있다. (약학과, 간호학과, 물리치료학과, 유아교육과 제외) 입학 시 점수에 맞춰 학과를 선택했더라도 입학 후 본인의 적성과 진로에 따라 얼마든지 새로운 학과와 전공으로 옮겨갈 수 있다. ■ 장학금 많이 주는 대학…3년 연속 '수도권 1위' 삼육대는 수도권 대학 중 학생 1인당 가장 많은 장학금을 지급하는 대학이다. 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대학알리미를 통해 공개한 '2022년 8월 대학정보공시 결과'에 따르면, 삼육대의 2021년 재학생 1인당 연평균 장학금은 391만2563원이다. 재학생 5천명 이상 수도권 일반대학(국공립대, 사립대 모두 포함) 중에서 가장 많은 금액이다. 전국 일반·교육대학의 학생 1인당 장학금 333.5만원보다 약 58만원, 수도권 대학 평균 329.8만원보다 62만원가량 많다. 삼육대의 2021년 연평균 등록금이 774만8262원인 점을 고려하면, 등록금의 절반 이상이 장학금으로 지원되는 셈이다. 삼육대는 정부 재정지원사업을 바탕으로 학생들에게 안정적인 장학금을 지원하고 있다. 기부금 확충을 통해서도 장학기금을 꾸준히 확대하고 있다. 각계의 후원을 바탕으로 현재 60여 종에 달하는 장학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 2024 수시 총 822명 모집...약학과 15명 선발 삼육대는 2024학년도 수시모집에서 822명을 선발한다. 정원 내 주요전형은 ▲세움인재전형(199명) ▲학교장추천전형(151명) ▲논술우수자전형(134명) ▲기회균형I전형(43명) ▲S/W인재전형(30명) 등이다. 올해 수시모집에서 가장 두드러진 변화는 논술우수자전형 신설이다. 전 학과(약학과, 신학과, 예체능학과 제외)에서 134명을 선발한다. 논술우수자전형은 학생부 30%와 논술고사 70% 성적을 일괄합산해 뽑는다. 학생부는 1학년 1학기부터 3학년 1학기까지 전 교과목 성적을 학년별 차등 없이 반영한다. 학생부 반영비율이 30%로 비교적 낮고, 교과성적 5등급(95점)까지는 등급 간 점수 차이가 1~1.5점으로 크지 않아 논술고사 점수로 충분히 만회할 수 있다. 다만 수능최저학력기준은 국어, 영어, 수학, 탐구(1과목) 중 1개 영역 3등급 이내여야 한다. 삼육대의 논술고사는 이른바 '쉬운 논술'로 불리는 '약식논술' 형식이다. 논술고사는 80분 동안 15문항을 풀어야 한다. 인문계 학과(부) 지원자는 국어 9문항·수학 6문항, 자연계 지원자는 국어 6문항·수학 9문항이 주어진다. 문제당 배점은 각 10점으로 모두 같다. 학교장추천전형(교과)도 올해 신설됐다. 151명을 모집한다. 학생부 교과성적 100%로 선발하는 전형으로, 1학년 1학기부터 3학년 1학기까지 성적을 학년별 차등 없이 반영한다. 출신 고등학교장의 추천을 받아야 하지만, 고교별 추천인원의 제한은 없다. 수능 최저학력기준은 일반학과는 국어·영어·수학·탐구(1과목) 중 2개 영역 합 7등급 이내, 간호학과·물리치료학과는 6등급 이내, 약학과는 국어·영어·수학(미적분 또는 기하)·과탐(1과목) 3개 영역 합 5등급 이내여야 한다. 세움인재전형(종합)은 수시모집에서 가장 많은 인원인 199명을 선발한다. 1단계 서류평가 100%로 4배수를 선발하고, 2단계에서 1단계 성적 60%와 면접 40%를 합산해 뽑는다. 서류평가는 학생부를 바탕으로 학업역량, 전공적합성, 발전가능성, 인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자기소개서는 정부 지침에 따라 전면 폐지했다. 수능 최저학력기준은 약학과만 있다. 국어·영어·수학(미적분 또는 기하)·과탐(1과목) 3개 영역 합 5등급 이내다. 삼육대의 면접고사는 교과전형 면접(일반·기회균형I·예체능인재)과 종합전형 면접(세움인재·SW인재·기회균형II·특수교육대상자)으로 나눠 진행된다. 교과전형 면접은 제시문 기반의 면접이다. 입실 15분 전 2개 문항이 제시되고 이 중 1개 문항을 지원자가 선택해 답하면 추가 질문이 이어진다. 면접 시간은 7분 이내다. 종합전형 면접은 제시문 없이 학생부를 기반으로 서류평가 내용을 확인하는 방식이다. 시간은 8분 이내다. 모든 면접은 수험번호를 포함해 수험생의 이름, 고교명, 부모 및 친인척 정보 등이 블라인드 처리된다. 이를 언급할 경우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니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모든 전형에서 교차지원이 가능하다. 원서접수 기간은 오는 9월 11일부터 15일까지다.

2023-08-28 13:51:17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숙명여대 전임교원 5명 정년·명예퇴임…29일 퇴임식 개최

숙명여자대학교(총장 장윤금)가 29일 오전 11시 교내 백주년기념관에서 교원 퇴임식을 연다고 28일 밝혔다. 이번에 정년 또는 명예퇴임으로 학교를 떠나는 교원은 함은선(중어중문학부), 김맹선(문화관광외식학부), 성민섭(법학부), 김미숙(관현악과), 신혁승(경제학부) 등 5명이다. 숙명여대는 퇴임식에서 대학 발전과 후학 양성에 기여한 이들 모두에게 공로패를 수여할 예정이다. 1992년부터 31년간 근무한 함은선 교수는 중국학연계전공과 중국전문가과정 프로그램 등을 통해 중국 전문 인재 양성에 힘썼고, 학생처장을 맡아 대학과 학생의 건전한 소통 문화를 만드는 데 기여했다. 또한, 4년간 취업경력개발원장으로 근무하며 학생들의 취업 역량 강화를 위해 노력했다. 김맹선 교수는 2000년부터 23년간 관광, 여가, 환대산업 마케팅, 국제회의론, 관광체계론 중심의 강의를 맡았다. 문화관광외식학부장으로서 학생들의 어학 능력 향상과 취업률 개선에 공헌했고, 2020 외식경영스타 공모전에서 학생들을 지도해 대상과 장려상 수상자를 배출하기도 했다. 성민섭 교수는 2007년부터 법학부에 재직하며 법조실무와 상법 분야에서 활동했다. 2020년과 2023년 두 차례에 걸쳐 수업평가 우수교원으로 선정됐다. 2010년부터 2년간 법과대학장을 맡아 대학의 비전을 구현하고 인재를 육성하는 데 앞장섰다. 서울서부지방법원 조정위원, 서울서부지방검찰청 상고심사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면서 지역사회를 위한 공헌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나섰다. 1994년부터 29년간 관현악과에 재직한 김미숙 교수는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 관악오케스트라 지휘자다. 2008년 창단한 '숙명 훌라비올 플루트 앙상블 오케스트라'에서 정기 연주회도 했다. 또한 김 교수는 학생처장, 음악대학장 등 주요 보직을 맡아 학교 행정 발전에도 이바지했고, 2023년 5월 제42회 스승의 날 유공-국무총리표창을 받았다. 신혁승 교수는 1994년 부임해 미시경제학과 산업조직론 수업을 통해 후학 양성에 매진했다. 2020년부터 부총장과 대학혁신단장을 맡아 SW중심대학사업단, 캠퍼스타운사업단, BK21총괄사업단, 빅데이터혁신공유사업단 등 주요 국고지원사업단 업무를 총괄했다. 대외적으로는 2017년 한국산업조직학회 회장을 역임하며 산업조직 분야의 선도적 연구를 수행하고 학계와 연구기관, 정부 부처 간 학술 교류를 장려하는 등 연구 업적도 남겼다. /이현진기자 lhj@metroseoul.co.kr

2023-08-28 09:09:27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서이초 교사 49재’ 9·4 집단 연가 예고에…교육부 “엄정대응”

전국 교사들이 서이초 교사의 49재인 다음달 4일을 '공교육 멈춤의 날'로 정하고 재량휴업 또는 집단 연가 파업에 동참하는 움직임이 커지자 교육부가 이를 불법으로 규정하고 나섰다. 재량휴업이나 파업에 동참한 교사에 대해 최대 파면·해임 징계는 물론 이를 허락한 해당 교육감을 형법상 직권남용으로 형사고발까지 검토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는 일부 온라인 공동체(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확산하고 있는 9월 4일 집단행동은 관련 법령을 위반해 학생들의 학습권을 침해하는 불법행위로, 이에 대해 엄정하게 대응할 예정이라고 28일 밝혔다. 교육부는 관련 법령에 대한 질의응답 자료를 시도교육청과 학교에 배포한다는 방침이다.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제47조에 따라 학교임시휴업은 매 학년도 시작되기 전 학교운영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정한다. 학기 중에는 비상 재해나 그 밖의 급박한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한해 사용할 수 있다. 교원의 연가는 교원휴가에 관한 예규에 따라 수업 및 교육활동을 고려해 사용해야 하며,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수업일을 제외해 사용해야 한다는 게 교육부 설명이다. 또한, 병가는 그 취지에 맞게 질병 또는 부상으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는 경우에 한해사용해야 한다. 교육부 관계자는 "서이초 교사 추모(49재)나 교사들의 집단행동을 위해 학교가 이날을 임시휴업일로 정하거나, 교사가 연가·병가를 사용하는 것은 위의 사유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위법"이라며 "교장이 교사의 연가·병가를 승인하는 행위 역시 위법"이라고 말했다. 초등교사 커뮤니티 '인디스쿨'에 게시된 '9·4 공교육 멈춤의 날'서명에는 전국 교원 8만여명이 넘는 인원이 서명했다. 49재 이틀 전인 9월2일 여의도 국회 앞에서 '50만 교원 총궐기 추모 집회'도 예정돼 있다. 이 같은 움직임에 대해 조희연 서울시교육감, 서거석 전라북도교육감 등 진보 성향의 일부 시도교육감은 지지를 표명했다. 하지만 교육부는 교사의 집단행동 자체에 대해서도 불법이라고 말했다. 특정 목적을 갖고 사용하는 집단 연가 역시 학생들의 학습권을 침해하는 '우회파업'에 해당한다고 해석했다. 교육부는 현장 교사들이 그동안 교실에서 느꼈을 어려움과 고통에 공감한다며 "또한 여·야·정·시도교육감 4자 협의체 운영을 통해 관련 입법을 위해 뜻을 모으고, 국회에서는 입법 조치들이 논의되고 있으므로 조만간 가시적 성과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2023-08-28 09:04:19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학폭 가해학생과 분리 7일로 확대…교육부, 피해학생 보호조치 강화

학교폭력 가해 학생과 피해 학생 간 즉시 분리 기간이 기존 3일에서 최장 7일로 늘어난다. 피해 학생의 심리적 불안감을 해소하고 2차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다.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는 이런 내용을 담아 '학교폭력 사안처리 가이드북'을 개정해 오는 9월 1일부터 시행한다고 27일 밝혔다. 이는 교육부가 지난 4월 12일 발표한 '학교폭력 근절 종합대책' 후속 조치다. 지금까지는 학폭 발생 시 가해학생과 피해학생의 즉시 분리기간은 3일이었다. 하지만 즉시 분리기간에 휴일이 포함될 경우, 차주 월요일 분리 해제되며 피해학생을 실질적으로 보호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따라 교육부는 가해학생과 피해학생 즉시 분리기간을 7일로 연장하는 내용으로 학폭 사안 처리 지침을 개정했다. 또한, 앞으로는 가해학생에게 전학이나 특별교육 조치 병과 등 여러 조치가 함께 부과된 경우 학교의 장은 다른 조치가 이행되기 전이라 하더라도 교육감 또는 교육장에게 7일 이내 해당 학생이 전학할 학교의 배정을 요청해야 한다. 피해학생 진술권 보장은 강화된다. 가해학생이 심의위원회의 결정에 불복해 조치가 지연되면 피해 학생의 심리적 불안감이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피해학생의 2차 피해 우려를 차단하기 위해 '가해학생의 불복사실'과 '행정심판과 행정소송 참가'가 가능하다는 점을 피해학생에게 통지해 진술권을 보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교육부는 오는 9월부터 12월까지 총 8개의 시도교육청에서 '학교폭력 제로센터'를 시범 운영한다. 학교폭력 피해학생은 단 한 번의(One-stop) 신청을 통해 ▲학교폭력 사안 처리 ▲상담·치료 ▲피·가해학생 관계 개선 ▲법률서비스 등 다양한 맞춤형 지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장상윤 교육부차관은 "학교폭력 사안 발생 시 피해학생의 심리적 불안감 해소, 2차 피해 방지를 위한 노력 등 두터운 피해학생 지원이 매우 중요하다"라며 "앞으로 학교폭력 피해학생 지원제도를 강화해 나가기 위해 시도교육청과 지속해서 협력하겠다"라고 밝혔다. /이현진기자 lhj@metroseoul.co.kr

2023-08-27 11:15:23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애플·구글·UN 등 5개국 62곳에”…성신여대, ‘글로벌 기업탐방’ 학생 48명 파견

성신여자대학교(총장 이성근)는 학생들이 애플(Apple), 구글(Google), UN본부 등 굴지의 해외 글로벌 기업(기관)을 직접 탐방하는 '글로벌 기업탐방 프로그램'을 이번 하계방학부터 시작했다고 27일 밝혔다. 이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자체적으로 팀을 구성해 탐방 목적 및 국가, 기업 설정부터 섭외까지 모든 과정을 기획하고 실행하는 학생 주도형으로 진행된다. 학생들이 외국어 실력은 물론 다른 문화에 대한 이해와 문제해결 능력, 기획·추진력 등 실질적인 글로벌 역량을 키우는 것이 성신여대의 목표다. 성신여대는 이번 하계방학에 총 8개 팀(총 48명)을 선정해 미국, 영국, 일본,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5개국에 학생 기업 탐방단을 파견했다. 각 탐방단은 ▲애플 ▲구글 ▲IBM ▲UN 본부 ▲내셔널 갤러리 ▲왕립연극학교 ▲NHK ▲LINE ▲BANK OF SINGAPORE 등 IT 기업과 정부기관, 대학 등 총 62개 글로벌 기업(기관)의 실무진을 직접 만나 현장 경험을 쌓는 특별한 기회를 가졌다. 이번 하계 글로벌 기업 탐방에서 뉴욕 UN 본부와 IBM 등 8개 기업(기관)에 다녀온 성신여대 융합보안공학과 천예린 학생(20)은 "학생들의 기획(안)을 기반으로 진행되는 글로벌 기업탐방 프로그램이어서 방학 전부터 학생들의 관심이 높았고 경쟁률도 상당했다"며 "막연하게 인터넷으로만 보았던 글로벌 기업을 직접 방문해 다양한 직무를 직접 탐색하고 생생한 정보를 얻을 수 있어 매우 유익한 시간이었다"고 말했다. 윤태진 성신여대 진로취업처장은 "학생들의 자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새롭게 시도한 자기주도형 글로벌 탐방이 높은 학생 만족도를 보여 더욱 의미 있었다"며 "글로벌 마인드 함양을 희망하는 우리 학생들의 열기를 확인한 만큼, 이번 프로그램을 연간 정기 사업으로 편성해 학생들의 글로벌 역량 확대에 적극적으로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2023-08-27 10:07:57 이현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