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하듯 재밌게' 한림대의료원 메타버스 어린이화상병원 가보니
자신의 이름과 소속을 머리에 얹은 캐릭터들이 가상 병원 로비에 우글우글 모여들었다. 마치 컴퓨터 게임이 시작된 듯 했다. 28일 한림대학교의료원 메타버스 메디컬 센터 투어에 참여해 봤다. 한림대의료원은 지난 18일 개원 50주년을 맞아 메타버스 플랫폼 게더타운에 '한림대의료원 메타버스 어린이화상병원'을 개원했다. 한림대학교한강성심병원 내 어린이화상병원이 메타버스에 탑승한 것이다. 운영진의 안내에 따라 캐릭터를 움직여 병원 로비에 들어섰다. 방향키의 움직임이 어색했지만 금세 익숙해졌다. 로비에선 널찍한 공원광장과 함께 상담실, 클래스룸, 전시장, 플레이룸, 대강당 등 6개 구역으로 통하는 문이 보였다. 게임을 하듯 구역마다 투어를 시작했다. 먼저, 상담실로 들어섰다. 이 상담실에선 진료의뢰와 예약을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사회복지사와 만나 병원비와 치료비 지원, 오랜 화상 치료로 실직할 경우 사회 복귀를 위해 지역사회 일자리 연계 등과 같은 도움도 받을 수 있다. 가사공간에서 비대면으로 상담사와 개별 상담이 가능하다. 상담실 옆에 위치한 클래스룸은 여러개의 방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방 안 테이블로 모여들자 하얀색 블록이 형성됐다. 이 블록 안에 들어선 캐릭터들은 서로 영상과 자료 등을 공유할 수 있다. 이 공간에서는 어린이 화상 환자들의 영양교육이나 종이접기, 미술치료 클래스가 열리고 학교에 못가 학업 진도가 뒤쳐진 환자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도 마련된다. 클래스룸을 나와 전시장으로 진입했다. 전시장에선 화상의 예방과 치료 방법을 단계별로 나눠 자세한 설명을 제공한다. 캐릭터를 원하는 영상 앞에 세우고 키보드에서 x 키를 누르면 설명 영상을 볼 수 있다. 이뿐 아니라 한강성심병원이 환자들에 제공하는 각종 지원 프로그램, 각종 사업 등에 대한 소개도 받을 수 있다. 이어지는 플레이룸은 즐거운 공간이다. '몸짱소방관 달력 희망나눔 전시회'를 관람할 수 있고, 미로찾기, 실제 컴퓨터 게임 등도 즐길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입장한 대강당에선 화상에 대한 교육이 진행 중이었다. 대강당에 모인 여러 캐릭터들은 어린이화상병원 의료진으로부터 화상에 대한 정보와 화상안전교육, 응급처치교육 등을 받을 수 있다. 한림대의료원은 어렵고 낯설게 느낄 수 있는 병원 문턱을 낮추고 치료과정을 친근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메타버스 병원을 만들게 됐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캐릭터를 이용해 게임처럼 둘러본 화상 병원은 공포나 두려움보단 재미와 즐거움이 더욱 컸다. 메타버스 서비스가 시작된 이후 이용자들의 반응은 뜨겁다. 최근 열린 '화상경험 아동 엄마 일기' 토크 콘서트는 오프라인에서 만큼 큰 호응을 이끌어냈다. 한림대의료원은 메타버스를 향후 병원 전체로 확장 적용할 계획이다. 한림대의료원 관계자는 "산하 5개 병원 모두로 확대 적용해 향후에는 임상, 교육, 기술사업화 등으로 서비스를 확대할 것"이라며 "가상세계에서 빅데이터, 인공지능(AI), 가상현실(VR) 등 스마트병원 시스템과 시뮬레이션센터를 기반으로 한 원격진료, 교육, 헬스케어 등 의료서비스 전체가 가능하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