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화장(火葬) 비율 84.6%..25년간 4.4배 증가
우리나라 국민 10명 중 8명은 장례 방식으로 화장을 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5년간 4배 넘게 늘어난 수치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2017년 화장률이 84.6%로 최종 집계됐다고 21일 발표했다. 1993년도 화장률 19.1%에 비해 약 4.4배 상승했고, 전년보다 1.9%포인트 늘었다. 성별 화장률은 남성 87.2%, 여성 81.6%로, 남성이 여성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화장률은 전 연령대에서 상승했으며 특히 70대와 80대 이상에서 전년에 비해 각각 3.1%포인트, 2.7%포인트 상승하며 높은 증가추세를 나타냈다. 연령별로는 20대 사망자의 경우 97.7%로 가장 높았고, 60대 미만의 화장률은 96.2%로 집계됐다. 60대 이상의 화장률은 82.2%로 나타났다. 광역지방자치단체별 화장률에서는 부산이 93.0%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고, 인천 92.4%, 울산 90.8%, 경남 90.5% 등 9개 시,도(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경남)가 전국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화장률이 낮은 지역은 제주 69.4%, 충남 71.5%, 경북 74.8%, 충북 75.1% 등의 순이었다. 수도권 지역의 화장률은 89.0%로 비수도권 지역(81.7%) 비해 높았다. 2018년 12월 기준 우리나라에서 운영되고 있는 화장시설은 총 59개소이고, 화장로는 총 350개로 집계됐다. 연간 최대 화장능력은 전국 58개 화장시설(개장유골 전용시설 제외)의 31만 4280건(1일 평균 873건)으로 2017년 사망자(28만 5534명) 중 화장한 사망자(24만 1665명, 1일 평균 671명)를 감안할 때 시설은 부족하지 않다고 복지부는 분석했다. 반면, 시도별로 서울, 부산, 경기 등 일부 지역에서 여전히 화장수요에 비해 시설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 이주현 노인지원과장은 "올해 화장장 등 장사시설 확충에 408억 원을 투입할 계획"이라며 "상반기에는 해남, 진도, 완도 3개 군에서 공동으로 추진하는 남도광역추모공원이 개원될 예정이며 함백산 메모리얼파크(화성시, 광명시, 안산시, 부천시, 시흥시 공동) 등의 장사시설 설치를 지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