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앱 의존 NO!' 외식업계, 자체 앱 키운다…윈윈 전략 통할까
서울 시내에서 한 배달라이더가 오토바이에 음식을 싣고 있다. /뉴시스 외식업계가 자체 애플리케이션(앱)에 힘을 주고 있다. 대형 배달앱 업체들의 수수료 인상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가맹점주들의 부담을 덜고, 비대면 소비 수요를 잡겠다는 전략으로 보여진다. 최근 빕스, 더플레이스, 제일제면소, 계절밥상 등 외식 브랜드를 운영하는 CJ푸드빌은 자체 앱 '셰프고(CHEF GO)'를 출시했다. 급증한 배달 수요와 외식 트렌드변화에 맞춰 외식 브랜드 고객 접점을 다변화하는 일환으로 자사 앱을 개발했다고 사측은 설명했다. 셰프고 앱 카테고리는 크게 딜리버리, 픽업, 셰프고마켓, 기프트카드로 나뉜다. 딜리버리 란에서 주소지를 입력하면 배달 가능한 매장들을 볼 수 있으며 원하는 브랜드 메뉴를 주문할 수 있다. 고객이 원하는 시간에 방문해 음식을 가져갈 수 있도록 예약 픽업 서비스도 제공하며, 셰프고마켓에서는 CJ푸드빌 외식 브랜드의 레스토랑 간편식(RMR)을 구매할 수 있다. 고객들은 셰프고 앱을 통해 CJ 외식 기프트 카드를 구매, 등록 후 충전해 사용할 수 있다. 노브랜드 버거 역삼역점을 방문한 고객이 매장에서 주문한 메뉴를 테이크 아웃 하고 있다. /신세계푸드 신세계푸드는 버거 전문점 '노브랜드 버거' 전용 앱을 선보였다. 배달 주문 기능과 포장은 물론, 사전 주문 시 기다림 없이 매장에서 식사할 수 있다. 또 선호하는 메뉴를 등록할 수 있다. 롯데GRS는 롯데리아, 엔제리너스, 크리스피크림도넛 등 외식 브랜드를 한자리에 모은 통합 앱 '롯데잇츠'를 운영하고 있다. 롯데GRS는 롯데리아, 엔제리너스, 크리스피크림도넛 등 외식 브랜드를 한자리에 모은 통합 앱 '롯데잇츠'를 운영하고 있다. /롯데GRS 기업들이 자체앱을 활성화하면 1석 3조의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먼저, 가맹점주들의 배달 수수료 부담을 덜 수 있다. 최근 외식업 전체 매출에서 배달앱 매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코로나19 사태 2년 동안 급증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농림축산식품부·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의 '빅데이터 활용 외식업 경기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만해도 배달앱 매출 비중은 전체 외식업 매출의 3.7%에 불과했지만,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며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2020년 8%에 이어 지난해에는 15.3%까지 늘었다. 비중 뿐만 아니라 규모도 크게 불었다. 2019년 배달앱 매출은 4조105억원 수준이었는데, 지난해는 288.12% 늘어난 15조5600억원으로 급증했다. 가맹점주들은 배달앱 주문이 늘어 매출이 증가해도 판매 수수료와 배달료 등의 부담이 과중하다며 달가워하지만은 않는 상황이다. 서울 시내에서 배달원들이 이동하고 있다. /뉴시스 배달앱을 통해 주문하면 가맹점주가 배달앱 측에 중개수수료를 지불해야 하지만, 자체 앱을 사용하면 수수료 부담이 없기 때문에 비용 부담을 줄일 수있다. 보통 배달앱의 중개수수료는 주문 가격의 10~15% 가량으로 알려져있다. 기업은 배달앱 이용 고객들을 자체앱으로 유도해 충성고객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자체앱에 고객들의 주문 데이터가 쌓이면 성별, 연령, 지역에 따라 맞춤형 마케팅을 펼칠 수 있다. 선호도를 파악해 신제품 출시에 활용할 수도 있다. 고객 입장에서는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고, 다양한 프로모션 이벤트에 참여할 수 있다. 일각에서는 자체 앱의 지속가능성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한다. 다양한 브랜드와 후기 비교가 가능하고 프로모션도 이뤄지는 배달앱과 비교해 자체 앱에서 기대할 수 있는 부분이 크지 않다는 것. 일시적인 할일과 프로모션은 일회성에 그친다는 지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부족한 부분을 개선하고 자체 앱 활용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이어갈 것"이라며 "배달주문에 특화한 배달앱의 편의성을 자체 앱이 단숨에 따라잡기는 힘들겠지만 꾸준한 개선작업을 통해 편의성 또한 높이겠다"고 말했다. /신원선기자 tree6834@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