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산시, 출생아 수 16.3% 증가…정책 효과 본격화
경산시는 결혼·임신·출산·육아·돌봄까지 전 생애주기를 아우르는 맞춤형 정책을 적극 추진하며, 아이 낳고 키우기 좋은 도시 조성에 힘쓰고 있다. 그 결과 2025년 4월 말 기준 주민등록상 출생아 수는 449명으로, 전년 같은 기간(386명) 대비 63명(16.3%) 증가했다. 읍면동별로는 서부2동이 115명으로 가장 많았고, 하양읍 68명, 동부동 51명, 압량읍 50명 순이었다. 시는 2021년부터 3년 연속 출생아 수 감소세를 겪었으나, 2024년 말 1,224명을 기록하며 반등에 성공했고, 2025년에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2029년까지 합계출산율 1.0명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연간 출생아 수 1,456명 이상이 필요하다. 현재 추세가 유지된다면 목표 초과 달성도 기대된다. 2024년 혼인 건수는 1,008건으로 전년 대비 14.4% 증가해 최근 10년간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는 혼인에서 임신, 출산으로 이어지는 인구 구조 변화의 긍정적 신호로 풀이된다. 시는 산후조리비, 백일해·인플루엔자 무료 예방접종, 미숙아 치료비, 출산축하금, 출생아 건강보장 보험료, 저소득층 기저귀·조제분유 지원, 24시간 시간제보육, 공동육아나눔터 운영 등 실질적인 출산·육아 지원 정책을 지속 확대하고 있다. 또한 산부인과 및 소아과 'ONE-hour 진료체계'를 구축해 야간·주말·공휴일에도 산모와 경증 소아환자가 안심하고 진료받을 수 있도록 했으며, 공공심야약국도 기존 3곳에서 7곳으로 확대 운영 중이다. 조현일 경산시장은 "출생아 수 증가는 시의 정책과 시민들의 관심이 함께 만든 값진 성과"라며 "이 흐름이 지속될 수 있도록 더욱 세밀한 맞춤형 정책을 개발하고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