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경상수지 5개월 연속 흑자…"환율 올라도 영향 제한적"
지난 9월 우리나라 경상수지가 111억2000만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5개월 연속 흑자다. 경상수지 중 비중이 가장 큰 상품수지(수출-수입)의 흑자가 두드러졌다. 한국은행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으로 인한 원·달러 상승이 우리나라 경상수지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진단했다. 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국제수지(잠정)' 통계에 따르면 지난 9월 경상수지는 111억2000만달러 흑자로 집계됐다. 지난 6월(125억6000만달러) 흑자 이후 최대폭이다. 1∼9월 누적 경상수지는 646억4000만달러 흑자로, 지난해 같은 기간(167억5000만달러)보다 478억9000만달러 늘었다. 경상수지는 국가 간 상품, 서비스의 수출입과 함께 자본, 노동 등 모든 경제적 거래를 합산한 통계다. 한 나라의 기초체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크게 ▲상품수지 ▲서비스수지 ▲본원소득수지 ▲이전소득수지로 구성된다. 특히 이번 경상수지는 수출과 수입의 격차를 나타내는 상품수지가 이런 흐름을 견인했다. 지난 9월 상품수지는 106억7000만달러로 전월(65억2000만달러)보다 증가폭이 확대됐다. 상품수지를 부문별로 보면 수출은 616억7000만달러로 한달 전과 비교해 43억달러 늘었다. 석유제품(-17.6%), 화공품(-8.4%) 등 비IT 품목의 수출이 감소햇지만 반도체(+36.7%), 승용차(+6.4%) 등 IT품목과 승용차 수출이 늘어난 영향이다. 수입은 전달보다 1억4000만달러 증가한 510억달러로 집계됐다. 화공품(-12.5%), 석유제품(-6.7%) 등 원자재가 감소 전환했지만 반도체제조장비(_62.1%) 등 자본재의 증가세가 확대되면서 3개월 연속 증가했다. 반면 여행·운송·지식재산권 사용료 등의 거래를 포괄한 서비스수지는 22억4000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8월(-12억3000만달러)보다 적자폭을 두배가량 키웠다. 여름 휴가등 해외여행 성수기가 종료되며 여행수지는 8월 -14억2000만달러에서 -9억4000만달러로 적자폭이 축소됐지만 지식재산권사용료수지가 같은기간 1억달러에서 -6억6000만달러로 감소했다. 임금·배당·이자 흐름을 반영한 본원소득수지는 30억9000만달러로 한달전(16억9000만달러)과 비교해 흑자폭이 확대됐다. 이자소득·배당소득 등 투자소득에 힘입어 5개월 연속 흑자를 이어갔다. 이전소득수지는 3억9000만달러 적자를 냈다. 이전소득수지는 거주자와 비거주자 사이 대가없이 주고받은 무상원조, 증여성 송금 등의 차이를 의미한다. 자본 유출입을 나타내는 금융계정 순자산은 126억8000만달러 증가했다. 직접투자에서 내국인의 24억7000만달러, 외국인의 국내투자가 14억4000만달러 늘었다. 증권투자의 경우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채권을 중심으로 75억달러 증가하고, 외국인의 국내투자가 주식을 중심으로 13억달러 감소했다. 이날 신승철 경제통계국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당선에 따른 원·달러 환율 상승 영향에 대해 "우리나라 수출 경쟁력이 가격에서 품질로 많이 전환된 만큼 환율이 높아져도 수출 증가에 기여하는 것은 크지 않다"며 "환율이 많이 오르면 원유 등 원자재 수입액이 늘어 경상수지나 무역수지 흑자가 줄어들 가능성이 있지만, 국제 유가나 국내 원유 수요 등에 더 영향을 받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환율 상승이 경상수지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나유리기자 yul115@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