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경제의 덫 ] <上> 소비부진, 물가 1%대에도 떨어지지 않는 '밥상물가'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하한 지 한달 여가 지났지만 금리가 떨어졌다는 사실을 체감하는 사람은 드물다. 정작 우리가 먹고 사는 밥상물가부터 시작해 대출금리는 여전히 높다.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투자와 소비가 위축되고 있다. 수출 등 기업실적이 둔화하면서 소비도 줄고 있다. 민간 소비 회복이 더뎌지는 이유를 들여다 봤다. <편집자주> #. 서울서 혼자사는 김모(32)씨는 점심은 회사근처에서, 저녁은 집에서 해결한다. 점심시간 김모 씨는 동료들과 서울 한남동에서 저렴하다고 손꼽히는 식당에 줄을 선다. 밥값은 1만3000~1만6000원, 커피까지 마시면 2만원이다. 퇴근 길, 김모 씨는 배달 앱을 한참 들여다보다 집 근처 편의점에서 5000원짜리 도시락을 산다. 김모 씨는 "최대한 줄여도 하루 2만원은 넘게 든다"며 "배달음식은 (가격이) 부담돼 안 시킨지 오래고, 집에서 해먹는 것도 비싸 편의점 도시락을 주로 이용하고 있다"고 했다. 4일 통계청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올해 3분기(7~9월) 소매판매액 지수는 100.7로 1년 전과 비교해 1.9%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매판매액지수는 2022년 2분기(-0.2%) 꺾이기 시작해 10분기 연속 하락했다. 1995년 관련 통계 작성이래 가장 오랫동안 감소흐름이 지속되는 모습이다. 소매판매액지수는 소비자들이 마트, 백화점, 자동차 판매점, 편의점 등에서 얼마나 많이 지출했는지 보여주는 지표로, 2020년 판매액(100)을 기준으로 한다. 10분기, 약 2년 3개월 동안 소비자들이 지갑을 닫았다는 설명이다. ◆ 떨어져도 떨어지지 않는 '밥상물가' 소비자들이 지갑을 닫은 배경에는 여전히 높은 물가가 자리한다.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ECOS)에 따르면 9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14.65로 집계됐다. 1년 전과 비교하면 1.6% 높다. 물가가 상승해 본격적으로 기준금리를 올리던 2021년 8월(108.63)과 비교하면 5.5% 오른 것으로, 2010년대 연평균 소비자물가상승률(1.4%, 3년 4.2%)을 소폭 상회하는 수준이다. 문제는 밥상물가다. 소비자물가지수 중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 지수는 9월 124.72로 2021년 8월(106.2)과 비교해 17.4% 올랐다. 전체 물가수준에 비해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 가격이 높다는 분석이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주식으로 먹는 쌀가격은 2021년 8월보다 11.6% 내린 반면 빵 가격은 22.3% 올랐다. 닭고기는 같은 기간 18.2%, 오징어는 32.7% 상승했다. 닭 한마리 가격이 8000원에서 9500원으로, 만원에 오징어 3마리였던 것이 오징어 2마리로 줄어든 것이다. '금사과', '금배추'라고 불리는 이유도 있었다. 과일과 채소 및 해조 가격은 같은 기간 각각 27.9%, 45.8% 올랐다. 한때 금사과로 불리었던 사과가격은 2021년 8월과 비교해 올해 7월 64.2%나 올랐다가 9월 33.4% 떨어졌다. 귤가격은 같은 기간 104.8% 올랐다. 귤 한상자에 1만5000원하던 것이 3만원으로 올랐다. 배추가격은 같은 기간 134.5% 상승했다. 이전에는 1만원에 배추 3포기를 살 수 있었다면 이제는 1포기 밖에 구매할 수 없다. ◆ "50% 세일도 지갑열기 겁나" 소비자들은 옷도 구매하지 않았다. 소매판매액지수 중 의류판매액 지수가 포함된 준내구재는 3분기 기준 4.7% 감소해 6분기 연속 하락했다. 비대면 생활을 확대시켰던 코로나19 위기단계가 관심단계로 떨어지며 사실상 앤데믹을 선언한 지 5개월이 지났지만 소비자들이 의류 소비를 줄이고 있다는 분석이다. 물가를 살펴보면 의류 가격은 지난 2021년 8월과 비교해 14.8% 상승했다. 5만원하던 의류가격이 5만7000원으로 오른 셈이다. 남자의류는 15.3%, 여자의류는 12.2% 상승했다. 어린 자녀가 있는 가정은 옷값 부담이 더 컸다. 유아동복은 2021년 8월 98.61에서 118.19로 19.9% 올랐다. 아동화는 같은 기간 16.2% 상승했다. 총 의류가격이 오른 것보다 더 많이 상승했다. 그 외에도 장갑은 2021년 8월 100.28에서 9월 147.55로 47.1%, 실내화는 같은 기간 23.4% 올랐다. 한국은행은 '우리나라 물가수준의 특징 및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우리나라는 의식주비용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국에 비해 높은 수준을 지속하고 있다"며 "우리나라의 식료·의류 가격이 OECD평균가격으로 낮아진다면 가계의 평균 소비여력은 평균적으로 약 7% 늘어날 것"이라고 추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