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 지방선거] 여야, 본격 선거모드 돌입…후보등록 오늘 시작(종합)
6·4 지방선거 후보자 등록 신청 접수가 15일 전국 광역시·도와 시·군·구 선관위원회에서 시작됐다. 후보자등록 신청시간은 이날부터 16일 오전 9시~오후 6시까지다. 후보로 등록하려면 신청서와 함께 정당 추천서 또는 선거권자 추천장, 가족관계 증명서, 사직원 접수증(공직자), 재산·병역·납세 신고서, 전과기록, 학력 증명서 등의 관련 서류를 해당 지역 선관위에 제출해야 한다. 이번 선거부터는 이른바 '철새 정치인'을 유권자가 알 수 있게 한다는 차원에서 과거 언제, 어떤 선거에, 어느 당적으로 출마했는지 등의 내용을 담은 '공직선거 후보자 등록 경력 신고서'가 필수 제출 서류에 추가됐다. 후보자들은 또 선거 기탁금으로 광역단체장 5000만원, 기초단체장 1000만원, 광역의원 300만원, 기초의원 200만원을 각각 납부해야 한다. 이번 지방선거에서는 시·도 지사와 교육감 각 17명, 구·시·군 기초단체장 226명, 광역시·도 의원 789명, 구·시·군의원 2898명, 제주특별자치도 교육의원 5명 등 모두 3952명을 선출한다. 선관위는 후보자 등록 마감과 함께 정당과 후보자 기호를 결정하고, 홈페이지(www.nec.go.kr)를 통해 후보자의 경력·재산·병역·전과·학력·세금 납부 및 체납 사항, 과거 선거 출마 경력 등을 공개한다. 후보자 공식 선거 운동 기간은 22일부터 선거 전날인 다음달 3일까지다. 일반 유권자도 인터넷,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문자 메시지 이용을 제외한 방법으로 같은 날부터 선거 운동을 할 수 있다. 전국 단위 선거 사상 처음 도입된 '사전투표'는 오는 30~31일 이틀간 진행된다. 사전투표는 부재자 신고를 하지 않아도 주소와 관계없이 신분증만 있으면 선거일 이전 금·토요일에 전국 읍·면·동사무소에서 투표할 수 있는 제도이다. 의원직 사퇴서를 내고 지방선거 후보자로 등록했거나, 이날 중 등록할 예정인 현역 국회의원은 모두 10명이다. 이들은 공식 후보 등록과 동시에 의원직에서 자동 사퇴 처리된다. 정당별로는 새누리당 정몽준(서울), 서병수(부산), 유정복(인천), 박성효(대전), 김기현(울산), 남경필(경기), 윤진식(충북) 의원 등 7명, 새정치민주연합 김진표(경기), 이낙연(전남) 의원 등 2명, 무소속은 새정치민주연합 광주시장 전략 공천에 반발해 탈당한 이용섭 의원 1명이다. 여야는 이날 중앙선거대책위원회와 시·도당 선대위를 일제히 가동하는 등 본격적인 선거 체제에 돌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