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 위기, 문명 전환의 기회”…경희학원 PBF서 석학들 한목소리
학교법인 경희학원(이사장 조인원)은 지난 19일과 20일 양일간 '제44회 유엔 세계평화의 날 기념 국제회의 Peace BAR Festival(PBF)'을 열었다. 이번 회의는 '혼돈의 순간: 행성 의식과 미래 정치'를 주제로, 세계 석학과 시민사회, 미래세대가 참여해 인류가 직면한 위기와 문명 전환 방향을 논의했다. 19일 기념식 이후 진행된 특별대담에서는 나오미 오레스케스 하버드대 교수, 존 아이켄베리 프린스턴대 교수, 조인원 경희학원 이사장이 참여해 기후 위기, 불평등, 국제질서 변화 등 주요 의제를 다뤘다. 대담은 '인류 위기의 근원', '미래 정치의 방향', '행성 의식의 필요성' 등을 중심으로 진행됐다. 조 이사장은 "지구적 위기는 인간 의식의 문제에서 비롯된다"며 근대적 사고의 한계를 넘어서는 '행성적 차원'의 인식 전환을 강조했다. 오레스케스 교수는 자본주의와 물질주의를 위기의 근본 원인으로 지적하며 공감과 협력을 핵심 가치로 제시했다. 아이켄베리 교수는 기존 국제질서의 한계를 지적하며, 국제기구의 재구성과 '지구적 공동 목표'를 위한 새로운 규범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특히 오레스케스 하버드대 교수는 "우리가 직면한 위기는 거대한 도전이지만 동시에 문명 전환의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말해, 참석자들의 공감을 얻었다. 대담에서는 과학적 지식 전달을 넘어 대중과 소통하는 지식인의 역할, 시민사회의 참여를 통한 새로운 정치 형태, '행성적 상상력'에 기반한 새로운 서사의 필요성도 논의됐다. 참석자들은 인류의 위기가 문명 전환의 계기가 될 수 있으며, 행성 의식을 바탕으로 한 연대가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같은 날 기념식에서는 유엔 세계평화의 날 제정 경과보고, 조인원 이사장의 기념사, 오레스케스 교수의 기조연설이 이어졌다. 20일에는 국제기관과 시민사회·학생 단체가 참여한 라운드테이블, 하벨 다이얼로그, 콜로키엄 등이 열렸다. /이현진기자 lhj@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