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버린 AI의 역설…파운데이션 모델은 외산에 기대는 '한국형 LLM'
SK텔레콤과 KT가 자체 개발한 거대언어모델(LLM)을 오픈소스로 공개하며 '소버린 AI(인공지능)' 생태계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정부가 추진 중인 'K-AI 대표 모델' 공모와 맞물려 통신사 주도의 AI 주권 확보 움직임이 본격화된 가운데, 두 회사 모두 '한국적 AI'를 전면에 내세우며 생태계 확산을 노리고 있다. 그러나 두 회사 모두 핵심 파운데이션 모델을 외산에 의존하고 있어, '한국적 AI'라는 구호와 달리 기술 주권 측면에서는 여전히 구조적 한계를 안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10일 <메트로경제 신문> 취재에 따르면 최근 SK텔레콤과 KT가 '허깅페이스(Hugging Face)'를 통해 자체 개발 LLM을 오픈소스로 공개했다. SK텔레콤은 최근 자사 LLM 'A.X(에이닷 엑스) 4.0'을 글로벌 AI 오픈소스 플랫폼 허깅페이스에 공개했다. 공개된 모델은 720억 매개변수 규모의 표준형과 70억 파라미터의 경량형 2종이다. 이 모델은 알리바바의 오픈소스 LLM 'Qwen 2.5'를 기반으로 대규모 한국어 데이터를 추가 학습해 제작됐다. SKT는 "GPT-4o 대비 한국어 처리 효율이 약 33% 높다"며, 향후 수학·코딩 능력을 강화한 추론형 모델도 선보일 예정이다. KT도 자체 개발한 '믿음 2.0'을 공개했다. '믿음' 시리즈는 한국어와 한국 사회·문화 맥락에 최적화된 LLM을 지향하며, 이번에 공개된 2.0 모델은 115억·23억 파라미터 규모의 대형·소형 모델로 구성된다. KT는 "저작권 이슈가 없는 고품질 한국어 데이터를 바탕으로 구축됐다"고 밝혔으며, 향후 GPT-4 기반의 협업 모델과 고성능 버전인 '믿음 프로'도 추가로 선보일 계획이다. 이번 LLM 오픈소스 공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7월 21일까지 공모 중인 'K-AI 대표 모델' 선정 사업과도 관련이 깊다. 대표 모델로 선정된 기업은 'K-AI' 명칭 사용과 정부 지원을 받게 된다. 통신사 외에도 네이버, LG AI연구원, 업스테이지, 코난테크놀로지 등이 참여를 준비 중이다. 그러나 이번에 공개된 모델 대부분이 '외산 기반 오픈소스 모델을 활용한 파생형'이라는 점에서, 독자적인 기술력 확보라는 차원에서는 뚜렷한 한계를 드러낸다. SK텔레콤의 A.X 4.0은 알리바바의 Qwen 2.5를 기반으로 했고, KT 역시 GPT-4 기반 협업 모델을 예고하고 있다. 사실상 '한국어 최적화'에 초점을 둔 파인튜닝 모델에 가까워, 근본적으로 독립적인 파운데이션 모델이라고 보기 어렵다. 이는 단순히 기술적 자립의 문제를 넘어, AI 주권을 내세우는 '소버린 AI'라는 개념 자체의 모순을 드러낸다. '한국적 AI'를 외치지만, 핵심 알고리즘과 구조는 여전히 해외 오픈모델에 의존하는 구조다. 기술의 뼈대를 설계하지 못한 채 피부에만 로컬 특색을 입히는 식이다. 소위 '데이터 주권'과 '기술 독립'이라는 구호가 무색해지는 대목이다. 특히 파운데이션 모델을 '프롬 스크래치(from scratch)'로 자체 설계·학습하는 사례가 거의 없다는 점은, 향후 글로벌 기술 경쟁에서의 주도권 확보 측면에서도 치명적인 취약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오픈소스 기반 모델은 저변 확대에는 도움이 되지만, 그 출처가 외국 기업일 경우 업데이트·개방 여부, 라이선스 변경 등 핵심 변수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다. 결국, 우리가 쌓는 AI 생태계는 언제든 '상위 모델의 변심'에 흔들릴 수 있는 불안정한 구조 위에 서 있는 셈이다. 정부가 강조하는 '소버린 AI'는 단순히 한국어 지원에 그치지 않고, 데이터 주권 확보와 독립적 기술 생태계 조성을 핵심으로 삼는다. 하지만 알리바바 등 해외 오픈모델 기반에 의존한 현 방식은 결국 해외 기술의 변동성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구조적 한계도 남는다. 최병호 고려대 인공지능연구소 교수는 "오픈소스를 통한 기술 공유는 국내 생태계 활성화에 긍정적"이라면서도 "진정한 소버린 AI를 위해서는 해외 기술 의존을 벗어나 독자적인 파운데이션 모델 구축에 대한 장기 전략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서현기자 seoh@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