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 부동산PF 충당금 추가 적립 必....중소형사 '비상'
국내 증권사들이 지난해부터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문제로 충당금을 쌓아 왔지만, 올해도 적립금을 추가해야 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후순위 비중이 높은 중소형사들의 재무 위험이 더욱 높아진 상황이다. 1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국내 증권사들의 지난해 9월말 기준 최종 손실 위험이 높거나 매우 높은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익스포저가 약 4조8000억원, 총 브릿지론의 약 46%라는 평가가 나왔다. 한국신용평가가 전날 발표한 '금융업권 부동산 PF 스트레스 테스트'에 따르면 2023년 9월 기준 증권사의 부동산 PF 익스포저는 본PF 19조 5000억원, 브릿지론 10조 6000억원 등 30조 1000억원이다. '브릿지론'은 부동산 개발사업 과정에서 토지 매입 등 초기 단계에 필요한 자금을 대출해 주는 것으로 위험성이 높고, 중후순위 대출일 경우 손실 가능성이 더욱 확대된다. 지난해 금융당국의 브릿지론 관련 충당금 적립 강화 요구로 각 증권사들은 2023년 4분기 중 브릿지론에 대해 상당 수준 건전성을 재분류하고 충당금을 반영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정부에서 충당금 관련 압박이 많이 들어오기 때문에 사측에서 추정한 정도보다 높은 수준의 충당금을 쌓았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현재 전체 부동산PF 잔액에 대한 충당금 적립률은 11%(대형사10%, 중소형사12%) 수준으로 2023년 9월 말 8%(대형사6%, 중소형사9%) 대비 완화된 상황이다. 하지만 증권사별로 부동산 PF 포트폴리오의 질적 차이가 주목된다. 김예일 한신평 연구원은 "중소형사의 경우 서울·수도권 선순위 익스포져 비중이 13%로 낮고, 지방·중후순위 비중은 33%로 높아 위험도가 높다"며 "질적 구성이 열위한 중소형사의 경우는 실질을 고려할 때, 충당금 적립률이 낮아 추가 손실 부담에 일정 수준 노출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브릿지론과 본PF를 합한 리스크 수준이 '높음' 이상인 익스포져의 자기자본 대비 부담을 계산했을 때, 대형사가 11%, 중소형사는 22% 수준이라는 설명이다. 브릿지론 내 리스크 수준만 별로도 봤을 때는 '높음' 이상의 익스포져 비중은 대형사 34%, 중소형사가 전체 73%를 차지한다. 나이스 신용평가 역시 자체 시나리오 테스트 결과 중소형사들의 부동산PF 위험도가 높다고 평가했다. 나신평의 경우, 국내 25개 증권사를 2023년 말 기준 자기자본별로 초대형사(5조원 이상), 대형사(1조원 이상), 중소형사(1조원 미만)으로 나눴다. 이예리 나신평 연구원은 "초대형사의 자기자본 대비 추가적립부담이 가장 낮고, 대형사와 중소형사는 각각 자기자본의 약 3~6% 규모를 추가로 손실 인식해야한다"며 "이는 대형사와 중소형사가 초대형사 대비 고위험 부동산 PF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라고 짚었다. 초대형사의 경우 본PF의 비중이 78%로 훨씬 높으며, 브릿지론(22%)의 비중은 낮다. 반면, 대형사와 중소형사는 브릿지론 비중이 30%를 초과한다. 또한, 상환순위가 낮아 비교적 회수가능성이 낮은 중후순위 익스포져에 한정해도 대형사와 중소형사를 중심으로 관련 비중이 높다. 그 중에서도 가장 고위험 익스포져로 간주되는 중후순위 브릿지론 비중의 경우 초대형사는 8%에 불과하지만, 대형사와 중소형사는 20%를 상회한다는 부연이다. 이 연구원은 "이러한 보유 부동산 PF 포트폴리오의 차이 때문에 대형사와 중소형사가 기인식한 대손충당금 및 준비금 비중(11%)이 초대형사(6%)를 크게 상회함에도 불구하고 추가손실부담이 초대형사 대비 더 큰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신하은기자 godhe@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