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값 10주째↓...매수심리 전주와 같은 수준 유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10주 연속 하락했다. 매매수급지수의 경우 전주와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12일 한국부동산원의 '주간아파트동향'에 따르면 2월 첫째 주(5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05% 하락했다. 낙폭이 전주(-0.05%)와 같은 하락률을 보이며 10주 연속 하락세를 기록했다. 권역별로는 강북권에서 노원구(-0.06%→-0.08%)가 상계·월계동 구축, 도봉구(-0.08%→-0.11%)는 쌍문·도봉동 중소형, 강북구(-0.03%→-0.06%)는 수유·번동, 성동구(-0.08%→-0.08%)는 정릉·돈암·길음동, 서대문구(-0.04%→-0.06%)는 북가좌·북아현동 대단지 위주로 하락했다. 강남권에서는 강서구(-0.06%→-0.06%)가 염창·마곡동 주요단지, 금천구(-0.05%→-0.07%)는 독산·가산동, 강동구(-0.05%→-0.05%)는 고덕·성내동 대단지, 서초구(-0.07%→-0.05%)는 반포·잠원동 중대형, 강남구(-0.03%→-0.05%)는 개포·압구정동 구축 위주로 떨어졌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매수자의 관망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저가매물 위주의 매수문의가 존재했다"면서 "매물가격은 일부 하향 조정되고 급매물 위주의 거래가 발생하는 등 하락세가 지속됐다"고 설명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에 따르면 강북구 수유동에 위치한 '수유벽산1차'는 지난달 전용면적 84㎡가 5억8000만원에 거래됐다. 지난해 12월 매매가격(6억2500만원) 대비 4500만원 하락했다. 강남구 개포동에 위치한 '개포래미안포레스트'의 경우 지난달 전용면적 59㎡가 18억7000만원에 거래되면서 3개월 만에 1억6000만원 떨어졌다. 서울 지역의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전주와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2월 첫째 주(5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82.9를 기록했다. 서울 매매수급지수는 1월 셋째 주부터 2주 연속 상승한 바 있다. 매매수급지수는 한국부동산원이 중개업소를 대상으로 설문해 수요와 공급 비중(0~200)을 지수화한 수치다. 100을 기준으로 0에 가까울수록 집을 팔려는 사람이, 200에 가까울수록 사려는 사람이 많은 것을 의미한다. 여경희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경기 위축과 2월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시행 등 매수자 관망을 부추기는 요인들이 여전히 남아있는 만큼 본격적인 거래 활성화보다는 급매물 위주의 거래 양상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교통, 재건축 등 개발 이슈가 있는 일부 지역 중심으로 미래가치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가격 하방 압력에 버틸 수 있는 동력으로 작용할 전망"이라고 전했다. /김대환기자 kdh@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