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 뷰티 브랜드, '일본'서도 웃었다…K-뷰티 매출 '껑충'
국내 뷰티 브랜드가 글로벌 시장에서 괄목할만한 매출 실적을 기록해 미래 성장을 위한 기반을 확보하고 있는 가운데, 일본 시장에서도 'K뷰티'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11일 뷰티 업계에 따르면 클리오는 올해 상반기 역대 최대 반기 매출을 달성, 지난 2023년 하반기 기록을 넘어서며 실적 성장세를 유지해 나가고 있다. 클리오는 올해 상반기 연결기준 매출은 1856억원, 영업이익은 181억원을 달성했다.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지난 2023년 동기 대비 각각 19%, 54% 늘었다. 클리오는 앞서 지난 2023년 하반기에는 1745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클리오는 올해 상반기 국내외에서 고른 성장세를 보였는데, 국내 매출은 101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 증가했다. 같은 기간, 해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2% 커진 840억원이다. 특히 클리오는 일본 시장에서 고성장을 실현했다. 올해 상반기 클리오의 일본 사업 매출 규모는 226억원으로 해외 매출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같은 기간, 미국 사업 매출이 175억원으로 뒤를 이었다. 일본 매출과 미국 매출의 비중은 각각 27%, 20%다. 분기별로 살펴봐도, 클리오는 일본 시장에서 유의미한 성과를 내고 있다. 올해 2분기, 클리오는 일본에서 세 자릿수의 매출을 돌파해 130억원의 판매고를 올렸다. 이는 올해 1분기 96억원 대비 35% 대폭 성장한 규모다. 이와 함께 클리오는 미국에서는 올해 1분기 85억원, 올해 2분기 90억원 등으로 매출 확대를 이뤘다. 클리오는 일본 화장품 판매업체 '두원'과 '키와미'를 인수해 오프라인 유통망을 확보하고, 일본법인 '클리오재팬'을 설립하는 등 일본 현지 맞춤형 전략을 펼치며 일본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 왔다. 일본 화장품 시장은 매출의 65%가 오프라인 시장에서 발생하고 있는데, 각종 버라이어티 숍, 드럭 스토어, 편의점 등이 활성화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클리오는 지난 5월부터 일본 대표 편의점 '세븐일레븐' 2만여 개 매장에서 색조 브랜드 '트윙클팝 바이 클리오'를 선보이고 있다. '트윙클팝 바이 클리오'는 글리터 전문 브랜드로 젤 글리터, 아이스틱, 아이섀도, 립 틴트 등 총 22종의 제품을 갖춰 클리오는 트윙클팝이 일본 MZ세대 소비자 취향을 정조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클리오는 지난 6월 일본 도쿄에서 열린 앳코스메 팝업 행사에서도 '프로 아이 팔레트 에어', '크리스탈 글램 틴트' 등 일본 메이크업 유행에 발맞춘 제품을 주력 상품으로 내놨다. 클리오는 일찍이 브랜드 앰버서더 안유진을 앞세워 일본 시장에서 K팝 흥행에 힘입어 커지는 K뷰티 수요에 적극 대응했다. 안유진은 걸그룹 아이브 멤버로, 아이브는 오는 9월 일본 도쿄돔 공연을 앞두고 있는 등 '글로벌 K팝 팬덤'을 보유하고 있다. 글로벌 뷰티 기업 에이블씨엔씨도 일본 시장에서 브랜드 입지를 공고히 하고 있다. 에이블씨엔씨 대표 화장품 브랜드 '미샤'의 경우, 색조 제품인 미샤 'M 매직쿠션', 스킨케어 앰플 '비타씨플러스' 등이 높은 소비자 인기를 끌고 있어 오는 하반기 매출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전망된다는 것이 미샤 측의 설명이다. 미샤는 색조 화장품에 이어 기초 화장품까지 판매 호조를 보이며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또 미샤는 최근 유동 인구가 많은 일본 주요 장소에서 브랜드 앰버서더인 걸그룹 트와이스의 '사나'를 내세워 옥외광고를 전개하는 등 소비자 접점을 강화했다. 미샤는 오프라인 유통망도 확대해 오는 9월에는 일본 코스트코 33개 매장에서 '비타씨플러스'를 출시할 예정이다. 현재 미샤는 프라자, 로프트, 도큐핸즈, 마츠모토키요시 등 일본의 유명 드럭스토어와 버라이어티샵을 포함해 약 2만 개 매장에 진출해 있다. 미샤는 최근 미국 아마존 프라임데이 행사에서 브랜드 전체 매출이 전년 대비 2배 성장하는 역대 최대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이에 대해 미샤는 다양한 피부 톤을 가진 미국 소비자층을 대상으로 자사의 메이크업 제품이 경쟁력을 입증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뷰티 업계 관계자는 "최근 뷰티 브랜드들이 수출국 다변화를 목적으로 미국 시장을 크게 주목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나 일본은 원조 한류 열풍의 중심지"라며 "K드라마, K팝 등의 인기에 힘입은 시장 가능성은 앞으로도 높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미국 시장이 다양한 인종과 폭넓은 개성을 기반으로 한다면, 일본은 특정 아이돌의 스타일이나 메이크업을 소비하는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하고 있어 유행의 흐름도 시시각각 변할 것"이라며 "그 만큼 일본 현지에서 소비자 요구를 파악하고 분석하는 것이 일본 시장 선점에 매우 중요한 상황"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