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미의 와이 와인]<248>스파클링와인, 쉽게 즐겨라…칠레 보르고타
<248>칠레 스파클링 와인 이탈리아의 프로세코, 모스카토 다스티, 람푸르스코와 독일의 젝트. 이들의 공통점을 말해보자. 아직 와린이(와인+어린이)라면 스파클링 와인이라고 답했을테고, 와인 고수라면 2차 발효를 병이 아닌 탱크에서 하는 샤르마 방식으로 만든 스파클링 와인이라고 눈치챘을 것이다. 이제는 여기에 하나가 더 추가됐다. 바로 칠레의 보르고타다. 고개가 갸우뚱 해진다. 칠레 스파클링 와인도 생소한데 보르고타라니. 칠레 와인업계가 세계 스파클링 와인 시장에 던지는 출사표, 혹은 도전장으로 이해하면 쉽다. 스파클링 와인의 핵심은 잔 밑에서부터 끊임없이 뽀글뽀글 올라오는 버블이다. 이 버블을 만드는 방법에서 전통적인 방식과 샤르마 방식이 갈린다. 샴페인 등은 전통적인 방식으로 병 속에서 2차 발효를 진행시키고, 숙성되는 동안 효모와 접촉해 복합미나 우아함이 매력이다. 샤르마 방식은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버블을 만들어 신선하면서 포도 자체가 지닌 아로마를 풍부하게 지켜낸다. 화이트 와인을 오크통 숙성을 했고, 안 했고의 느낌을 연상해보면 좀 더 쉽다. 보르고타는 칠레의 샤르마 방식 스파클링 와인을 말한다. 우리에게 '국민와인', 혹은 '골프와인'으로 유명한 칠레 1865의 생산자 산 페드로가 아예 새로 정립한 카테고리다. 칠레가 와인 산업은 급성장했지만 스파클링 와인에 있어서는 사실상 불모지라는 점과 낮은 도수에 신선함을 원하는 트렌드에 주목해 만들었다. 보르고타(Borgota)는 스페인어로 버블(Bubble-borbollar, borbotear)과 방울(drop-gota)을 더한 말이다. 새로운 스파클링 와인을 상징할 수 있도록 했다. 지켜야할 조건도 만들었다. 지역과 포도품종, 양조방식에서다. 유럽처럼 강력하게 법으로 정한 것은 아니지만 칠레, 더 나아가 남미 고유의 정체성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규정이다. 먼저 칠레에서 생산, 그리고 양조해야 한다. 두번째, 보르고타는 모스카토 품종을 최소 85% 이상 사용한다. 남미 대륙에서 와인을 만들기 위해 심은 최초의 포도품종이 바로 모스카토다. 이에 대한 헌정의 의미를 담았다. 마지막으로 샤르마 방식으로 가볍고 신선한 스타일의 와인으로 양조할 것. 언제든 손쉽게 즐길 수 있는 스파클링 와인계의 데일리 와인이 목표다. 보르고타로 선보인 첫 와인은 '리트모'다. 엑스트라 브뤼와 브뤼, 로제 등 3가지로 내놓았다. '리트모 엑스트라 브뤼'는 밝은 볏짚 색깔에 청사과를 비롯해 멜론이나 모과 등 과실향이 풍성하다. 모스카토 품종이지만 우리가 알던 달달함과는 거리가 멀다. 드라이 하면서 신선한 산도로 식전주로는 당연히 좋고, 사시미 등 해산물과도 잘 어울렸다. 알콜 도수도 9~10도로 부담스럽지 않다. 소비자 반응은 이미 뜨겁다. '리트모 브뤼'의 경우 두번째 물량까지 들어온 게 총 8000병인데 모두 품절됐다. 그것도 출시 한 달 만에다. 저도수, 신선함을 선호하는 입맛에 딱 맞은 셈이다. 여기에 한밤중에도 30도에서 내려가지 않는 무더위와 시도때도 없이 쏟아진 눅눅함도 한 몫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