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초·중등 교사 3060명 감축 예고…교사들 “과밀학급 여전, 교육여건 개선해야” 반발

정부가 올해 초·중등 교사를 3060명 감원하는 개정안을 입법예고하면서 교사 단체가 반발하고 나섰다. 학령인구는 줄고 있지만, 과밀학급 규모가 여전하고 올해 고교학점제가 전격 도입되면서 교사 수를 줄일 경우 교육 여건 개선이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행정안전부는 지난달 31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지방교육행정기관과 공립의 각급학교에 두는 국가공무원 정원에 관한 규정 개정안'을 입법예고 했다. 개정안에 따르면, 올해 초·중등 교사 3060명이 감축된다. 당초 초중등교원 정원 감축 인원은 초등 2424명과 중등 2443명을 합쳐 4867명이었지만, 취약계층의 기초학력보장(500명)과 학교 설립·폐교 등 과밀학습 해소를 위한 교사(1307명) 등 총 1807명을 2027년 2월 28일까지 한시적으로 증원하기로 하면서 실제 올해 감축 규모는 4867명에서 1807명을 뺀 3060명이 됐다. 조정분을 반영하면, 올해 초등교원과 중등교원 정원은 각각 14만 4146명, 13만6329명이다. 정부는 학령인구 감소를 이유로 교원 정원 감축을 추진하고 있다. 교육부 '2024년 초중고 학생 수 본추계(2025~2031)'에 따르면, 초·중·고교생 수는 올해 502만1845명에서 내년 484만4655명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감소세가 지속되면서 ▲2027년 467만1904명▲2028년 450만2811명 ▲2029년 429만7808명 ▲2030년 407만7296명으로 줄다가, 2031년엔 383만5632명으로 떨어지면서 5년 만에 400만명선이 무너질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교사들은 교육 여건 개선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교원 감축에 반발하고 있다. 현재 교원 정원은 교원 1인당 학생 수 등을 고려해 정해지지만, 이를 학급당 학생 수 20명 이하로 설정하고 과밀학급이 발생하지 않도록 증원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에 따르면, 2024년 교육통계연보 기준 학급당 학생수가 21명 이상인 초·중·고(일반고) 학급은 15만7628학급으로 전체(21만9918학급)의 71.7%에 달한다. 26명 이상인 학급도 7만645학급으로 32.1%나 된다. 강주호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회장은 "교육 여건을 결정하는 핵심 조건은 학급당 학생 수"라며 "개별화 교육 등 교육의 질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교원 증원을 통한 학급당 학생수 감축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교원 정원 대규모 감축은 도시 과밀학급 해소에 역행할 뿐만 아니라 농산어촌 소규모 학교의 상치·순회교사, 복식학급 문제를 더 악화시킬 수 있다"라며 "교원을 증원해 지역 특성을 반영한 획기적인 교원 수급이 이뤄져야 한다"고 요구했다. 고교학점제 전면 도입도 교원 증원이 필요한 이유라고 강조했다. 강 회장은"고교학점제 전면 도입에 따른 다양한 과목 개설을 위해서는 대폭적인 교원 증원이 필요하고,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 도입에 따라 학생 수준에 맞는 맞춤형 교육을 하기 위해서도 교원 증원을 통한 학급당 학생수 20명 이하 감축이 필수"라고 촉구했다. / 이현진 메트로신문 기자 lhj@metroseoul.co.kr

2025-02-06 15:05:05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합천군, 신소득원 발굴 위해 ‘한국 춘란’ 집중 육성

합천군은 산지가 72%를 차지하는 등 난 생육 환경이 우수해 90년대 이후 한국 춘란 자생지로 전국적인 관심을 받아왔으며 난 재배 및 유통 생태계가 자생적으로 조성돼 전국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합천군은 수입산 동양란을 대체하는 새로운 농업 소득원 육성을 위해 2018년부터 합천춘란육성센터를 운영, 현재 5개 동에 13품종 10만 촉 규모의 춘란 종묘를 배양하고 있다. 보조 사업을 통해 총 48개소의 춘란 재배 농가를 신규 육성, 5년간 총 12억원 규모의 춘란 종묘 출하 실적을 올렸다. 춘란 성분과 작약을 활용한 화장품, 춘란 재배 키트 출시, 특허청 지리적 표시 단체 표장 등록, 농촌진흥청 내재해형 규격 등록 등 합천 춘란의 가치를 높이기 위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문화 행사로써 난 산업 육성을 위해 2015년부터 '난인의 날 행사', 2019년부터 '한국 춘란 무명품 전국대회'를 지원하며 춘란 산업 대중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올해 6회째인 한국 춘란 무명품 전국대회는 2월 14~16일 합천체육관에서 개최된다. 출품작 접수는 14일, 일반 관람은 15~16일이다. 합천군은 춘란 전시회 개최를 통해 작품성 높은 춘란을 대중에게 선보이고, 군민과 애란인에게 수준 높은 춘란의 가치를 알린다. 총상금 5000만원 규모의 합천사랑상품권 지급으로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한다. 합천군은 한국 춘란 시장에 ▲산업화·대중화 ▲반려식물 ▲난 농업이라는 새로운 화두를 던졌고, 2026년 농가 육성 사업 완료를 앞두고 있다. 김윤철 합천군수는 "합천은 춘란 산업 확대 육성을 통해 신소득 작물 발굴과 종자 보호라는 가치 있는 시도를 하고 있다"며 "농촌 지역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합천 춘란을 지켜봐 달라"고 말했다.

2025-02-06 15:02:23 이도식 기자
기사사진
거창군, 관광 활성화 위해 유관 기관과 협력 강화

거창군은 지난 4일 지역 관광 활성화와 '관광도시 거창' 도약을 위해 경남관광협회, 경남관광재단, 한국관광공사 부울경지사 등 주요 유관 기관을 방문해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거창군은 동서남북으로 관광 기반 시설을 완성했으며 관광 역량의 응집과 체류를 통한 생활 인구 증대 등 최고의 관광도시로 도약하기 위해 올해 초 조직 개편을 통해 관광진흥과를 신설했다. 군은 선진 관광도시 도약을 위해 유관 기관을 방문해 거창군의 관광자원 홍보와 지속 가능한 관광 정책 발굴을 위한 네트워크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특히 '거창 방문의 해' 추진, 열린 관광지 등 각종 공모 사업, 거창군 전담 여행사 운영, 관광 마케팅 및 홍보 협력 등을 제안하고, 적극적인 기관의 협조를 당부했다. 옥진숙 거창군 관광진흥과장은 "거창군은 천혜의 자연 환경과 동서남북의 다양한 관광 벨트, 유구한 역사·문화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며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유관 기관과의 긴밀한 협력이 필수적이다. 다채로운 아이디어를 통한 상호 협업을 통해 거창 관광의 경쟁력을 더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경남관광협회와 경남관광재단, 한국관광공사 관계자는 "거창군이 추진하는 관광 활성화 정책과 방향성에 공감하며 실질적인 관광객 유입과 지역 경제 발전을 위해 적극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거창군은 앞으로도 유관 기관과 협력을 강화해 차별화된 관광 콘텐츠 개발과 마케팅 전략으로 거창군이 대표 관광도시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2025-02-06 15:02:14 이도식 기자
기사사진
하동군, 관내 환경오염물질 배출 시설 지도·점검 실시

하동군이 오는 12월까지 관내 환경오염물질 배출 시설 사업장을 지도·점검한다. 통합 지도·점검은 환경오염물질 배출 시설을 2개 이상 설치한 사업장을 방문해 여러 시설을 동시에 점검하는 것으로, 사업장의 부담을 덜고 점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앞선 1월 하동군은 '2025년 환경오염물질 배출 시설 통합 지도·점검 계획'을 수립했다. 이를 바탕으로 지도·점검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오염물질 배출·방지 시설을 철저히 관리해 쾌적한 환경을 보존한다는 방침이다. 중점 점검 사항은 오염물질 배출·방지 시설의 정상 가동 여부를 비롯한 무허가·미신고 소유 여부, 환경법에 대한 전반적인 조치 사항 이행 여부 등이다. 군은 이번 점검을 통해 개선이 필요한 사업장에 행정 지도를 진행하는 한편, 위반 사항이 발견되는 경우 관련 법령에 따라 과태료·행정처분 등으로 엄중 처벌할 계획이다. 하동군은 지난해 지도·점검을 통해 316개소를 점검, 35개의 위반 사항을 적발하고 행정 처분을 진행한 바 있다. 그 결과 2024년 정부 합동 평가에서 107.9점의 실적으로 당초 목표했던 100점을 초과 달성하는 우수한 성과를 내기도 했다. 올해는 사업장 규모와 과거 위반 사항 등을 고려해 배출 시설 511개소와 미신고 사업장을 최소 1회~최대 4회 점검한다. 군 관계자는 "지속적인 합동 점검을 통해 환경 오염물질 배출 시설 사업장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군민들에게 더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2025-02-06 15:01:52 이도식 기자
기사사진
부산대 G-LAMP 사업단, 美 NIST와 연구 협력 MOU 체결

부산대학교 G-LAMP 사업단은 미국 상무부 산하의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와 공동 연구 및 인력 교류 강화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6일 밝혔다. 협약식은 미국 NIST의 Polymer Science Building에서 지난 4일 진행됐으며, 부산대 G-LAMP 사업단 정재훈 단장과 NIST의 Sheng Lin-Gibson 박사(Division Chief)가 서명했다. NIST는 미국 상무부(Department of Co㎜erce) 소속 연방 정부 연구기관으로 1901년 설립 이래 측정 표준 개발, 기술 혁신 지원, 사이버 보안 및 IT 표준, 신소재 및 나노 기술, 화학·바이오 연구, 해양 환경 및 재난 대비 기술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세계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연간 3400여 명의 연구원이 참여하며 연간 예산이 10억 달러를 초과하는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기관으로 평가받는다. 부산대 G-LAMP 사업단은 지난 1년간 NIST와 긴밀한 협력을 이어왔다. 사업단 소속 이상학 교수가 연구 교류 차원에서 NIST에 파견돼 단백질 응집에 의한 질병의 분자 메커니즘 연구, 적외선 분광법 및 이미징 기술을 활용한 해양 생태계 내 미세 플라스틱 분석 등 다양한 공동 연구를 수행해 왔다. 이 같은 협력의 성과를 바탕으로 양 기관은 연구 결과 교류를 넘어 지속적인 인력 교류 및 연구 협력을 확대하기 위해 이번 MoU를 체결하게 됐다. 이번 협약은 세포 구조, 단백질 응집, 해양 미세 플라스틱 등 환경 변화 분자 분석을 연구하기 위한 첨단 분광 및 현미경 기술 개발과 응용을 목표로 한다. 특히 부산대 G-LAMP 연구진은 해양 환경 변화와 관련된 생체 분자 응집의 작용 메커니즘 연구, 광학 이미지 및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머신러닝 기술 활용 등에서 강점을 갖고 있으며 이번 NIST와의 협력을 통해 연구 시너지를 극대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협약의 하나로 부산대 G-LAMP 소속 이진민 학생이 올해 2월부터 1년간 NIST에 연구원으로 파견돼, Young Jong Lee 박사 연구팀에서 'QCL IR 분광 및 이미징 기술을 활용한 분자 응집 및 미세 플라스틱 분석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특히 NIST의 연구비 지원을 받으며 글로벌 연구 환경에서 최첨단 기술을 익히고 공동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어 그 의미가 더 크다. NIST와의 지속적인 연구 교류를 위해 미국 NIST 연구소에 부산대와의 공동 연구 사무실을 개설할 계획이다. 정재훈 부산대 G-LAMP 사업단장은 "이번 협력은 해양 환경 변화 분자 분석과 생체 내 반응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의 연구기관 간 공동 연구 및 인력 교류의 모범 사례로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 꾸준한 협력을 통해 생물학적 시스템 분석 및 첨단 분광 기술 개발 분야에서 혁신적 연구 성과를 창출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한편 MoU 체결을 기념해 지난 4일 NIST에서는 부산대 G-LAMP 사업단과 NIST 간의 공동 심포지엄이 개최됐다. 심포지엄에서는 부산대 정재훈 단장, 이상학 교수, 이진민 학생이 참석해 연구 성과를 발표했으며 NIST 측에서는 Young Jong Lee 박사, Charlie Camp 박사가 적외선 분광 및 이미징 기술 관련 최신 연구를 공유했다.

2025-02-06 15:01:23 이도식 기자
기사사진
부산시, 동남권 ICT이노베이션스퀘어 확산 사업 ‘1위’ 차지

부산시, 부산정보산업진흥원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이 주관하는 '동남권 ICT이노베이션스퀘어 확산 사업'에서 2년 연속 연차 평가 '전국 1위'를 차지했다. 이에 따라 국비 4억 3000만원을 추가 확보했으며 2025년에는 총 66억 5000만원의 예산을 기반으로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동남권 ICT이노베이션스퀘어 확산 사업은 부산·울산·경남 지역의 디지털 인재 양성 및 지역 특화 산업의 디지털 전환 지원, 지역 기업 창업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2020년부터 추진돼 왔다. 2024년 한 해 동안 부산정보산업진흥원은 이 사업을 통해 인공지능(AI), 블록체인, 데이터, 사물 인터넷(IoT), 네트워크 등 분야에서 지역 디지털 인재 1606명을 양성했다. 또 지역 기업과 청년 간 매칭을 지원하는 '기업 협력 프로젝트'를 52건 운영하며 특화 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인재 정주 여건 조성에 5년간 꾸준히 힘써왔다. 취·창업 프로그램에서도 주목할 만한 성과를 거뒀다. AI 개발자 커뮤니티 콘퍼런스에 참가한 지역 개발 동아리 '아띠(ATTI)'는 구글(Google)이 주최하는 글로벌 대회 '2024 솔루션 챌린지(Solution Challenge)'에서 대한민국 최초로 우승을 차지했다. 또 '2024 디지털 신기술 경진대회 전국 왕중왕전' 대회에서 동남권 참가팀 '워터리아'를 포함한 4개 팀이 전원 수상하며 지역 디지털 인재들의 우수성을 입증했다. 부산정보산업진흥원은 교육을 넘어 청년 창업과 기업 혁신을 지원하는 중심축 역할도 수행했다. 청년 창업 지원 사업에 참여한 5개 기업은 약 8개월간 투자 유치 역량 강화 프로그램에 참여해 4억 500만원의 투자 유치 성과를 달성했다.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형성 및 전문가 멘토링 등 기업 역량 강화 지원을 통해 지역 창업 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을 강화했다. 김태열 부산정보산업진흥원 원장은 "2년 연속 동남권 ICT이노베이션스퀘어 확산 사업이 1위를 차지해 기쁘다"며 "올해도 지역의 디지털 혁신 성장을 이어가기 위한 다양한 교육과 프로그램을 기획했으니 적극적인 참여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번에 추가로 확보한 국비 4억 3000만원은 프로젝트 중심 교육 '이래가꼬 프로젝트', 지역 인재의 글로벌 진출을 위한 '빅테크 기업 자격증 교육'에 활용될 예정이다.

2025-02-06 14:44:59 이도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