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Trump 2.0 Administration Begins] Industries Split in Outlook…Semiconductors and Automobiles Face Challenges, AI and Biotechnology Benefit

"From carrot (subsidies) to stick (tariffs), from friend-shoring (diversification of supply chains) to on-shoring (investment in the U.S.)." As the Donald Trump administration officially begins on January 20 (local time), South Korea and the rest of the world are closely watching the industrial policies of the increasingly visible "Trump 2.0 era." In particular, the United States is the second largest destination for South Korea's exports, following China. Last year, South Korea exported $133 billion worth of goods to China and $127.8 billion worth to the United States. Major exports to the U.S. included automobiles, general machinery, and semiconductors. Given that South Korea's economy heavily relies on exports, the country is naturally highly sensitive to changes in the U.S. industrial policy. According to industry sources on January 20, sector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I), space industry, biotechnology, and shipbuilding are expected to benefit in the "Trump 2.0 era." On the other hand, industries like secondary batteries, automobiles, semiconductors, and steel are anticipated to face challenges. Samil PwC highlighted the key policies of the Trump administration as follows: ▲ increase in trade tariffs (strengthening protectionism) ▲ corporate tax cuts (enhancing pro-business policies) ▲ curbing illegal immigration (restricting free movement of labor) ▲ America First policy (shifting from global leadership to transaction-based alliances) ▲ expansion of fossil fuel industries (retreat from environmental policies). It further classified the sectors into those likely to benefit and those expected to face challenges, with IT (especially AI), healthcare, aerospace and defense, shipbuilding, and petrochemicals being the beneficiary industries, and steel, semiconductors, automobiles, and secondary batteries being the sectors at risk. Oh Sun-joo, senior researcher at Samil PwC Management Institute, stated, "The second Trump administration is expected to pursue even more aggressive protectionism compared to the first. If trade wars escalate between major countries, it will lead to a decline in global trade volumes, which will inevitably impact South Korea's export-oriented economy." She also analyzed, "The renegotiation of trade agreements such as the USMCA (United States-Mexico-Canada Agreement) and the Korea-U.S. FTA (Free Trade Agreement), along with the increasing geopolitical risks, will accelerate the restructuring of supply chains centered around the U.S., causing a re-emergence of global supply chain risks." Park Tae-ho, a professor emeritu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former head of the Trade Negotiation Bureau, stated, "The second Trump administration is expected to halt outsourcing abroad and expand subsidies for key domestic industries such as steel, automobiles, defense, energy, and AI, while also implementing corporate tax cuts in favor of pro-business policies. Additionally, it is anticipated that the administration will push for increased infrastructure investment and active policies to stimulate the domestic real economy." ◆ Semiconductors and Secondary Batteries: South Korea's Key Export Industries Expected to Struggle The sectors most affected by Trump's return, where concerns are becoming a reality, include semiconductors,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s, electric vehicles, and secondary batteries. Among these, semiconductors are a core industry that account for 22% of South Korea's total exports. The Trump administration holds a negative view regarding the subsidy provisions of the semiconductor law (CHIPS and Science Act), also known as the "U.S. Semiconductor Support Act," which was enacted by the previous Biden administration in 2022. As a result, there is a high likelihood that subsidies for foreign companies will be reduced. Trump also advocates for high tariffs, arguing that foreign companies should maintain semiconductor factories within the United States. In particular, regulations related to semiconductors concerning China are expected to intensify. Experts predict that China's plans for semiconductor self-sufficiency will become even more challenging with Trump's return to power. In other words, the intensified containment of China could result in South Korean companies benefiting indirectly. For this reason, experts consider securing a position as a key partner to the U.S. in the high-performance semiconductor sector as crucial. Additionally, as significant changes are expected in the U.S.'s existing semiconductor policies, experts advise that it is necessary to prepare response strategies for various potential scenarios. Park Yoo-ak, an analyst at Kiwoom Securities, stated, "We must also closely monitor changes in the U.S.'s attitude toward Taiwan." He added, "The second Trump administration may use its relationship with China to pressure Taiwan's TSMC to accelerate its U.S. production roadmap. If this happens, the Taiwanese government may respond strongly, and TSMC could pass on the tariffs imposed by the U.S. to its customers (in the U.S.). If such issues arise, it could dampen investor sentiment in the AI industry." ◆ Universal Tariffs and IRA: Potential Obstacles for the Automobile and Related Industries Automobiles became South Korea's top export item last year, with $34.2 billion worth sent to the U.S. alone. For Hyundai and Kia, the U.S. accounted for 42% of their total exports as of 2023, with 920,000 out of 2.2 million units sold in the U.S. The United States has pointed to South Korean automobiles as a major cause of its trade deficit with South Korea. As a result, there is speculation that the Trump administration may attempt to reduce imports of South Korean vehicles. A prime example is the "universal tariff." The term refers to the imposition of a 10-20% tariff on all imports, regardless of product or country, with the aim of protecting domestic manufacturing jobs in the United States. If the universal tariff is implemented on South Korean automobiles exported to the U.S., a decline in price competitiveness would be inevitable. Previously, S&P Global analyzed that if a 20% tariff were imposed on South Korean cars, Hyundai and Kia's earnings before interest, taxes,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 (EBITDA) could decrease by up to 19%. In its "2025 Economic and Industrial Outlook" report, the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and Trade (KIET) stated, "The Trump administration's policies on the automobile industry, such as the imposition of universal tariffs, the Inflation Reduction Act (IRA), and the repeal of fuel efficiency regulations, will significantly affect our automobile industry's exports and production, increasing uncertainty." The report also added, "While there may be room for negotiation with countries with which Free Trade Agreements (FTAs) have been signed, the imposition of tariffs will lead to a response from our companies by expanding local production in the U.S., which will have a significantly negative impact on domestic production and exports." It also added, "There is a limit to excessively lowering vehicle prices out of concern for additional tariffs, and diversifying export markets is challenging due to the rising competitiveness of Chinese companies." Electric vehicles and secondary batteries are encountering obstacles from all directions. The Trump administration's retreat from environmental policies and the reduction in IRA support are leading to a lack of demand for electric vehicles, and this negative impact extends to secondary batteries. The oversupply of electric vehicles in China is also a red flag for South Korean companies. Demand for electric vehicles is slowing down, adding to the challenges. However, experts believe that in the case of the IRA, the focus will likely be on reducing the scale of support rather than a complete abolition. Oh Sun-joo, senior researcher, predicted, "Given the continued slowdown in electric vehicle demand since 2023, if the benefits of the IRA are eliminated, the profitability of secondary battery companies is expected to worsen." Professor Park Tae-ho advised, "South Korean companies that have invested in fields such as secondary batteries, electric vehicles, and solar panels in the U.S. need to prepare for the possibility of the elimination or reduction of the Advanced Manufacturing Production Credit (AMPC) for these production facilities." The World Bank (WB), which forecasted a global real GDP growth rate of 2.7% this year, the same as last year, analyzed that if the Trump administration imposes a 10% universal tariff, global growth would decrease by 0.3 percentage points. ChatGPT를 사용하여 번역한 기사입니다.

2025-01-20 14:58:18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서울시, '탄생 응원 서울 프로젝트 시즌2' 가동...3조2000억 투입

서울시는 저출생 위기 극복을 위한 '탄생 응원 서울 프로젝트 시즌2'에 올 한 해 3조2000억원을 투입한다고 20일 밝혔다. 시즌2는 ▲돌봄·주거 ▲일 생활 균형·양육 친화 ▲만남·출산 총 3개 분야, 87개 세부 사업으로 구성됐다. 우선 시는 자녀 출산 무주택 가구 주거비 지원 사업을 진행한다. 서울에 사는 무주택 가구가 아이를 낳은 뒤에도 계속 시에 거주할 수 있게 2년간 매월 30만원씩 지원하는 내용으로, 오는 5월부터 몽땅정보 만능키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받는다. 신혼부부 장기 전세 주택인 '미리 내 집'은 금년 3500호에 이어 내년부터 연 4000호씩 공급한다. 미리 내 집은 출산 또는 결혼을 계획 중인 신혼부부에게 자가를 마련할 기회를 제공하는 주거 정책이다. 1자녀 출산 가구는 거주 기간을 10년에서 20년으로 연장할 수 있다. 2자녀 이상 출산하면 해당 주택을 시세보다 최대 20% 저렴하게 매수 가능하다. 아울러 시는 일 생활 균형 정책의 일환으로 중소기업 워라밸 포인트제를 새롭게 도입한다. 이는 출산·양육 친화적인 중소기업에 포인트를 주고, 적립된 포인트에 따라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제도다. 올해 참여 기업을 1500개사로 늘리고 ▲육아 휴직자 대체 인력 ▲동료 응원 수당 ▲서울형 출산 휴가 급여를 지원한다. 올 3월부터는 1인 자영업자, 프리랜서도 임산부 출산 급여를 보장받을 수 있게 된다. 시는 기존 고용노동부 지원금 150만원에 시비로 90만원을 더해 총 240만원을 지급할 예정이다. 미혼남녀 만남 기회도 확대한다. 내달 밸런타인데이를 시작으로 청년의 날 등과 연계해 연 4회 만남 프로그램을 개최한다. 이와 함께 시는 오는 10월부터 중위 소득 150% 이하인 신혼부부를 대상으로 결혼 준비 및 혼인 살림 비용으로 최대 100만원을 지원할 방침이다.

2025-01-20 14:33:39 김현정 기자
기사사진
오세훈, 규제 철폐 6호 '입체 공원' 도입 대상지 미아동 방문

강북구 미아동 재개발 현장이 서울시의 6번째 규제 철폐 첫 대상지로 정해졌다. 해당 부지는 입체 공원을 조성해도 정비 사업 의무 사항인 공원을 만든 것으로 인정돼 건축 가능 연면적이 약 5000㎡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는 오세훈 서울시장이 20일 미아동 130번지 재개발 현장을 방문했다고 밝혔다. 서울 지하철 4호선 미아역 인근은 입체 공원이 도입되는 곳이다. 이 일대 의무 공원의 50% 이상을 입체 공원으로 조성할 경우 주차장과 주민 공동 이용 시설이 확대될 뿐만 아니라 주택 공급 세대수가 증가할 수도 있다. 지난해 완화된 규제인 사업성 보정 계수까지 적용하면 분양 가능 세대 수가 추가돼 사업성이 대폭 개선된다. 앞서 시는 지난 14일 열린 '규제 풀어 민생 살리기 대토론회'에서 정비 사업 때 의무적으로 확보해야 하는 녹지에 입체 공원을 포함해달라는 시민 제안을 즉시 수용키로 결정하고, 적용 가능한 곳을 물색해 미아동 130번지를 대상지로 낙점했다. 그간 5만㎡ 또는 1000세대 이상 대규모 정비 사업 시 '공원 녹지법'에 따라 의무적으로 부지 면적의 5% 혹은 세대당 3㎡ 이상을 자연 지반 '평면 공원'으로만 확보해야 하는 규제가 있었다. 시는 최근 이러한 규제를 풀어 민간 부지나 건축물 상부의 인공 지반에 조성하는 '입체 공원'도 공공성과 지속 가능성이 확보되면 의무 공원으로 인정키로 했다. 이렇게 되면 입체 공원 부지를 민간 소유 대지로 유지한 채 하부 공간을 주차장과 시민 편의 시설로 활용할 수 있다. 입체 공원 부지가 민간 소유 대지로 유지되는 면적만큼 주택 용지가 증가해 사업성이 개선된다. 이 지역엔 사업성 보정 계수도 1.8가량 적용될 예정이다. 이 경우 허용 용적률 인센티브가 기존 20%에서 36%로 상향된다. 시 관계자는 "입체 공원과 사업성 보정 계수를 모두 적용하면 건축 가능 연면적과 분양 가능 세대수가 늘어 조합원 1인당 부담해야 하는 분담금이 상당 부분 감소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미아동 재개발 사업에는 입안 동의와 구역 지정 심의를 병행 추진하는 '선(先) 심의제'가 적용돼 구역 지정까지 걸리는 기간이 종전보다 7개월 이상 단축될 전망이다. 오 시장은 "이번 6호 규제 철폐로 정비 사업을 시작하는 지역에 사업성 확보를 위한 혜택을 제공, 빠른 속도로 재개발이 이뤄지게 될 것"이라며 "주거 환경이 열악하고 사업성 낮은 곳에 이러한 원칙이 동일하게 적용돼 앞으로 서울 시내 정비 사업이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2025-01-20 14:04:41 김현정 기자
기사사진
‘예비 고1’ 입시 2028 수능, 탐구 영향력 커진다

올해 고등학교에 입학하는 학생이 치르는 202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부터 사회·과학탐구 과목당 문항 수와 시험시간이 각 25문항, 40분으로 늘어나며 탐구 영향력이 커진다. 국어와 사회·과학탐구는 선택과목 없이 통합형으로 시험 체제가 변경된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평가원)은 이 같은 내용의 '2028학년도 수능 시험 및 점수 체제'를 20일 발표했다. ■ 통합·융합형 수능 시행…국어·수학·탐구 선택과목 폐지 지난 2023년 12월 확정된 대입 개편안에 따라 2027년 11월 치르는 2028학년도 수능부터 '통합·융합형 수능'으로 바뀐다. 통합·융합형 수능에서는 국어·수학·탐구의 선택과목은 폐지되고, 모든 수험생이 같은 문항 시험을 치른다. 특히 탐구영역은 사회·과학 총 17개 과목(사회 9개·과학 8개) 중 최대 2개를 치르던 방식에서 공통사회, 공통과학을 필수로 보게 된다. 통합사회, 통합과학은 문·이과 구분 없이 모든 수험생이 응시해야 한다. 사회·과학탐구 과목당 문항 수는 기존 20문항에서 25문항으로 늘어난다. 시험시간도 기존 30분에서 40분으로 늘어난다. 기존 2, 3점이던 통합사회·과학 배점도 1.5점, 2점, 2.5점으로 삼원화된다. 탐구영역 중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전문 교과를 일정 학점 이상 이수해야 치를 수 있는 직업탐구도 선택과목 없이 '성공적인 직업생활'만 출제된다. 과목별 총점은 사회와 과학탐구이 각각 50점으로 현재와 동일하다. 사회와 과학 시험 시간 사이에는 문제지와 답안지 회수 및 배부 시간이 15분(일반 수험생 기준) 부여된다. 교육부 관계자는 "다양한 내용을 균형 있게 출제하기 위해서는 더 충분한 문항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었다"라며 "다양한 소재와 난이도의 문항을 균형 있게 출제하기 위한 방안"이라고 밝혔다. ■ 국어·수학·영어 문항수·시간·배점 유지…한국사 및 사회·과학탐구 답안지 분리 국어·수학·영어는 현재와 같은 문항 수와 시험시간, 배점이 유지된다. 모두 각각 100점이 만점이다. ▲국어 45문항 80분 ▲수학 30문항 100분 ▲영어 45문항 70분으로 동일하다. 배점도 국어 2·3점, 수학 2·3·4점으로 변함이 없다. 수학은 30문항 중 단답형(주관식) 9문항을 그대로 낸다. 영어는 듣기평가 17문항이 기존처럼 포함된다. 시험 시행 순서도 지금과 동일하게 1교시 국어, 2교시 수학, 3교시 영어, 4교시 한국사 및 탐구, 5교시 제2외국어/한문 순이다. 필수 응시 영역인 한국사도 30분간 진행된다. 2·3점 배점 문항 20개를 푸는 방식으로 50점 만점으로 유지한다. 절대평가로 치러지는 방식이다. 절대평가인 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9개 과목 중 1개를 택한다. 기존 과목당 30문항을 40분동안 치르는 방식에서 과목당 20문항, 30분으로 단축된다. 배점은 1·2점에서 2·3점으로 바뀐다. 시험 시간은 이전과 동일하다. 오전 8시10분 시험장 입실을 마치고 오전 8시40분 1교시 국어를 시작한다. 다만, 4교시 탐구영역부터 시험 시간이 과목당 10분씩 총 20분 늘어나면서 끝나는 시간이 늦어진다. 특히 이전과 달리, 한국사와 사회탐구, 과학탐구 각각의 시험 시간과 시험지, 답안지가 분리된다. 한국사를 끝나면 문답지를 모두 걷어가고 사회탐구를 나눠주고, 사회탐구가 끝나면 과학탐구를 다시 배부하는 방식이다. 그동안에는 탐구 영역의 선택과목 2개 답안지가 하나로 합쳐져 있었다. 성적표 양식도 일부 바뀐다. 국어·수학영역 선택과목이 없어지면서 국어·수학은 선택과목 표시란이 사라진다. 탐구 영역은 사회·과학·직업을 각각 표시한다. 상대평가 과목인 국어·수학·탐구는 표준점수·백분위·등급을 표기하고, 절대평가인 한국사·영어·제2외국어/한문은 등급만 성적통지표에 표시한다는 점은 지금과 같다. 교육부와 평가원은 학생과 학부모의 수능 시험 준비를 돕기 위해 2028학년도 수능부터 출제과목 등에 변화가 있는 국어, 수학 및 사회·과학탐구 영역의 전체 문항을 개발해 늦어도 올해 6월 말 공개한다는 방침이다. / 이현진 메트로신문 기자

2025-01-20 13:57:02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서울시의회, "市 5억 미만 민간 위탁 사업 관리 방안 마련 필요"

서울시가 추진하는 민간 위탁 사업의 실효성을 높이고 수탁 기관의 책임성을 강화하기 위해 소규모 사업 관리 방안을 마련하고 장기 위탁 운영 시설에 대한 점검 절차를 갖춰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20일 서울시의회에 따르면, 지난 2023년 12월 말 기준 서울시 민간 위탁 사업은 총 363개이며, 투입 예산은 7116억6300만원에 달했다.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민간 위탁 사업 중 5억원 미만으로 종합 성과 평가 대상이 아닌 사업은 91개로, 전체의 25.1%를 차지했다. 이를 유형별로 나눠 살펴보면 사무형은 33개, 시설형은 43개, 자립형은 15개였다. 사무형은 행정 재산의 관리를 수반하지 않는 사무를 법인·단체·기관에 맡겨 그 명의와 책임하에 행사하도록 하는 것이고, 시설형은 행정 재산의 관리와 해당 시설을 활용한 사무를 법인·단체 또는 기관이나 개인에 맡겨 운영토록 하는 것이다. 자립형은 시의 예산 지원 없이 수탁 기관이 운영하는 위탁 사무로서, 수익이 발생되는 시설을 일정한 공익적 목적 달성을 위해 법인·단체 등에 맡겨 그 명의와 책임하에 운영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시의회는 5억원 미만 사업에 대한 관리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시는 연간 사업비 5억원 이상인 위탁 사무를 대상으로 민간 위탁 종합 성과 평가를 실시하며, 5억원 미만이면 평가에서 제외한다. 윤지민 서울시의회 예산분석관은 '서울시 위탁사업 현황 분석' 보고서에서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사무 중 시설형이 43개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면서 "시설형의 경우 사업 인프라·성과·안전 등 분야가 다양해 운영에 대한 점검이 필요함에도 예산 기준으로 평가에서 제외돼 적정한 관리가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어 "평가 및 점검을 위한 구체적인 운영 지침이 갖춰지지 않은 5억원 미만 민간 위탁 사업에 대해서도 별도의 관리 지침이나 점검 수단을 마련해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서울시 민간 위탁 사업에 대한 기관별 위탁 운영 횟수 자료에 의하면, 1회가 49개로 가장 많았다. 이어 2회 47개, 4회 44개, 6회 42개, 8회·10회 이상 각 36개 순으로 나타났다. 윤 예산분석관은 "서울시 민간 위탁 사업의 수탁 기관별 위탁 운영 횟수를 살펴보면, 2023년 12월 기준 10회 이상 사업을 수탁한 기관이 총 36개였다"며 "수탁 기관이 가진 특수성으로 인해 수탁 가능한 민간 기관이 많지 않아 장기간 위탁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장기 위탁 운영 기관만이 가진 전문성이란 장점이 있지만, 장기간 위탁 운영하는 시설은 최초 위탁 당시부터 많은 시간이 지난 상황이어서 방만한 운영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며 "장기 위탁 운영 시설들에 대한 별도 점검 절차와 차별화된 평가 방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제언했다.

2025-01-20 13:47:21 김현정 기자
기사사진
삼육대, ‘겨울 노원 어린이 원어민 영어캠프’ 성료

삼육대학교(총장 제해종)는 노원구 공동 운영 '2024년 겨울 노원 어린이 원어민 영어캠프'를 지난 19일 수료식을 끝으로 마무리했다고 20일 밝혔다. 캠프는 기숙형 프로그램으로 24시간 영어로만 생활하는 EOZ(English Only Zone)로 운영했다. 효과적인 교육 운영을 위해 레벨 테스트를 통해 학생들을 8개 반으로 나눴다. 각 반에는 전문자격과 경험을 갖춘 원어민 교사 1명과 부교사 1명이 배정돼 학습을 지도했다. 학생들은 원어민 강사와 함께 숙식하며 영어로 대화하고, 요리·스포츠·게임 등 특별활동을 통해 쉽고 자연스럽게 생활 영어를 습득했다. ▲원어민 교사와 함께하는 외국 문화 체험 ▲학습 시간에 배운 내용을 몸으로 다시 익힐 수 있는 신체활동 ▲실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상황을 연출하는 실용 영어 등이다. 또래들과 빠르게 친해질 수 있는 ▲공동체 프로그램 ▲미니 올림픽 ▲캠프파이어 등 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도 마련됐다. 총장은 "삼육대의 우수한 교육 프로그램과 노원구의 지원 덕분에 캠프가 오랜 기간 성공적으로 운영될 수 있었다"라며 "캠프에 참여한 학생들이 이번 경험을 바탕으로 더 넓은 세계로 나아가 글로벌 인재로 성장하길 응원한다"고 전했다. 이 캠프는 노원구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3~6학년 학생들에게 생활영어 체험 기회를 제공해 영어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키워주고자 진행된다. 매년 여름과 겨울방학 기간에 두 차례씩 개최된다. 2005년 첫 캠프가 시작된 이래 올해로 20년째를 맞이했다. 지금까지 누적 수료생은 1만5300여명에 달한다. 노원 어린이 원어민 영어캠프는 1, 2차로 나눠 진행됐다. 1차는 지난 12월 29일부터 1월 5일까지, 2차는 1월 12일부터 19일까지 각각 7박 8일 일정으로, 160명씩 총 320여명의 학생이 수료했다. 캠프 참가비는 1인당 92만원이며, 이 중 48만원을 노원구가 지원했다. 사회적배려대상 가정의 학생들은 전액 구가 부담했다. /이현진기자 lhj@metroseoul.co.kr

2025-01-20 11:42:12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尹 지지자 난동에 "서부지법 피해액 6억~7억원 추산"

윤석열 대통령 지지자들이 지난 19일 서울서부지법에 난입해 유리창을 깨고, 집기를 부순 데 대한 피해액이 대략 6억~7억원 규모인 것으로 추산됐다. 20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법원은 이날 피해액을 6억~7억 규모로 추산한다고 밝혔다. 앞서 법원행정처가 추산한 물적 피해도 약 6억~7억원 규모다. 외벽 마감재와 유리창, 셔터, 폐쇄회로(CC)TV 저장장치, 출입통제 시스템, 책상 등 집기, 조형 미술작품 등이 파손됐다. 당시 법원 직원 10여명은 1층에서 음료수 자판기 등으로 문을 막고 대응했으나 곧 현관이 뚫리자 옥상으로 대피했다. 이 과정에서 일부 방화벽을 작동시켰고, 24~25명의 직원이 옥상 출입문을 의자로 막고 1시간가량 대기했다. 경찰은 오전 3시 32분쯤 법원 내부로 진입해 지지자들을 진압하고 현행범으로 체포하기 시작했다. 직원들은 청사 내 시위대가 물러나자 2차 침입을 대비해 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지하 2층 설비실로 이동했다. 법원 내부 상황은 오전 5시 15분쯤 모두 정리된 것으로 파악됐으나 일부 시위대는 7시 28분쯤까지 계속 청사 외부에서 경찰과 대치했다. 극렬 지지자들의 파괴 행위로 다친 사람은 없었으나, 당시 상황을 겪은 야간 당직 직원들의 정신적 트라우마가 크다는 게 대법원의 설명이다. 대법원은 서부지법 난동에 관한 대책 등을 논의하기 위해 이날 긴급 대법관 회의를 열었다. 사법행정 실무 책임자인 천대엽 법원행정처장(대법관)은 대법관 회의가 끝난 이후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 출석해 자세한 경과와 회의 결과를 보고할 예정이다.

2025-01-20 11:26:30 원승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