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포항시의회 이상범 의원, 2025년 새해인사와 의정활동 성과발표

포항시의회 이상범 의원이 2025년 을사년 새해를 맞아 기계, 기북, 죽장, 신광, 청하, 송라 지역주민들에게 인사를 전하며 지난 의정활동 성과와 앞으로의 포부를 밝혔다. 이상범 의원은 포항시의회 제5대, 6대 의원으로 활동한 뒤, 8년의 공백기를 거쳐 2022년 제9대 의회에 다시 입성하여 전반기 경제산업위원회 위원장직을 지내고 후반기에도 지역구의 주력 산업인 농업분야를 소관하는 경제산업위원회에서 활동 중이다. 그는 의정활동의 중심에 농업과 농촌 문제를 두고, 포항시의회에서 의원으로 활동한 10년간 다양한 조례를 발의하고 시 행정을 철저히 점검하며 지역발전에 기여 해 왔다. 특히 ▲청년농업인 육성 조례 개정 ▲야생동물 피해보상 조례 제정 ▲기후변화 대응 고소득 아열대작물 개발 ▲농축수산 수출 지원사업 활성화 사업 등을 추진하며 포항농업의 혁신과 농업기술 고도화에 앞장섰다. 이 의원은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제7회 전국정명대상 지방자치 의정대상과 2024년 경상북도 시·군구 의정 대상을 수상하며 그 공로를 인정받았다. 이상범 의원은 "2025년 새해, 지역 주민들 가정에 행운과 행복이 가득하길 기원한다"며 신년 인사를 전하며 "포항은 도·농 복합도시로, 농촌이 도시 발전에 뒤처지지 않고 함께 성장해야 한다"며 "농업과 농민이 행정의 우선순위에서 밀려나는 일은 절대 있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2025-01-14 09:18:36 최지웅 기자
기사사진
경주시, 향토기업 '㈜미정' 투자유치 협약 체결...천북면 200억 투자

경주시가 13일 청사 내 대외협력실에서 지역의 유명 식품 제조업체인 ㈜미정과 투자유치 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식에는 주낙영 경주시장, 정재현 ㈜미정 대표이사, 정기율 회장, 고영달 경주시 경제산업국장이 참석했다. 이날 협약을 통해 경주시와 ㈜미정은 천북면 신당리 일대에 식품 제조공장을 신설하는 데 상호 협력하기로 약속했다. 이에 따라 ㈜미정은 올해 말까지 1만 9,154㎡ 부지에 조미식품(소스류), 떡류, 면류 등을 생산하는 첨단 식품 제조공장을 설립할 계획이다. 이번 투자협약으로 ㈜미정은 총 200억 원이 투입해 50명의 신규 일자리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경주시는 투자 사업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공장 설립과 관련된 인허가 등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방침이다. 1963년 설립된 ㈜미정은 면, 떡, 소스 등 다양한 식품을 제조하며 성장해 온 기업으로 뛰어난 연구개발 역량과 전문 생산 능력을 갖췄다. 특히 간편 조리 웰빙 제품으로 현대 소비자들의 수요를 충족시키며 국내 식품산업의 미래를 선도하는 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2019년 경상북도 일자리 창출 우수기업으로 선정된 ㈜미정은 지역 사회를 위한 기부와 사회공헌으로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정재현 대표이사는 "이번 투자는 경주에서 우리 회사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다지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지역과 함께 성장하며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루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어려운 경기 속에서도 대규모 투자를 결심해 주신 ㈜미정 관계자 여러분께 깊이 감사드린다"며 "경주시는 기업들이 안심하고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지역과 기업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2025-01-13 16:37:11 최지웅 기자
기사사진
Big Tech Companies Abandon DEI Policies Ahead of Trump's Inauguration... Beginning of Efforts to Align with the 'Trump Code'

Ahead of the inauguration of U.S. President-elect Donald Trump, global big tech companies have started "waiting and watching" in response to the political changes. They are focusing on improving their relationship with the Trump administration by either abolishing or scaling back diversity, equity, and inclusion (DEI) policies. ◆ Movement to Abolish DEI Policies... Adapting to Political Changes According to Reuters on the 12th (local time), Meta, the world's largest social media platform, recently announced in an internal memo that it would end its DEI policies, which had been implemented in areas such as employment, training, and vendor selection. Jernel Gale, Meta's Vice President of Human Resources, stated in the memo, "The legal and policy environment surrounding DEI is changing in the United States," and explained, "While we will continue to seek employees from diverse backgrounds, we will abolish the previous approach of selecting candidates based on diversity criteria." The largest e-commerce platform in the U.S., Amazon, also announced in an employee memo last month that it plans to scale back its diversity-related programs by the end of 2024. DEI (Diversity, Equity, and Inclusion) policies were introduced by U.S. companies following the 2020 George Floyd incident, which spurred the anti-racism movement. These policies are aimed at hiring talent regardless of race, gender, or religion, with the goal of fostering a more inclusive and equitable workforce. However, after the U.S. Supreme Court's ruling in 2023 that abolished affirmative action in college admissions, conservatives have increased pressure, arguing that DEI policies lead to "reverse discrimination." President-elect Trump has also clearly expressed his opposition to DEI policies. In contrast, Apple has maintained its stance to uphold DEI policies. Ahead of its annual shareholder meeting, the company rejected proposals from some shareholders to end DEI program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diversity. ◆ Attending Inaugurations and Making Donations... Aligning with the 'Trump Code' In addition to abolishing DEI policies, big tech companies are also taking various steps to align with the policy direction of President-elect Trump. In particular, Meta abolished its "third-party fact-checking" program on January 7 (local time), which was used to identify fake news and verify facts. This move is seen as a response to the requests from President-elect Trump's camp, which opposes social media content censorship. Meta also strengthened its ties with President-elect Trump by hiring Dana White, the CEO of UFC and a close ally of Trump, as a director, and promoting Republican figure Joel Kaplan to the position of global policy head. Additionally, major big tech leaders, including Meta CEO Mark Zuckerberg, OpenAI CEO Sam Altman, and Uber CEO Dara Khosrowshahi, are set to attend President-elect Trump's inauguration on January 20. These individuals have each donated $1 million to Trump's inauguration committee. Earlier this month, Amazon joined the effort to align with political codes by announcing the production of a documentary film centered around Melania Trump, the wife of President-elect Trump. Industry insiders analyze these actions as a proactive response to the potential for big tech regulation under the Trump administration. It is interpreted as an active effort to align with the political direction ahead of Donald Trump's inauguration as President. ChatGPT를 사용하여 번역한 기사입니다.

2025-01-13 16:36:01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화성FC, 창단 12년 만에 K리그2 프로 무대 진출 확정

'축구특례시'를 꿈꾸는 화성FC가 창단 12년 만에 K리그2 14번째 구단으로 합류하며 프로 무대 진출을 확정지었다. 화성특례시는 지난해 11월 29일 열린 한국프로축구연맹 제5차 이사회에서 화성FC의 2025년 k리그2 가입 안건이 승인된 데 이어, 13일 축구회관 2층 다목적실에서 진행된 '2025 정기대의원총회'에서 K리그2 진출이 최종 확정됐다고 13일 밝혔다. 화성FC는 2013년 창단한 이후 K3리그에 출전, 2023년부터는 본격적인 프로리그 진출을 추진해왔다. 특히, 2023년 우승과 2024년 준우승을 차지하며 우수한 경기력을 입증했으며, 2023년과 2024년 K3리그 관중 수 신기록 수립 및 최다 관중상 수상으로 프로 진출의 경쟁력을 갖췄다. 또, 프로리그 진출에 대한 시민 공감대 형성과 붐업 분위기를 조성을 위해 다양한 활동들을 펼쳐왔다. ▲민관합동 프로추진 위원회 조직 ▲화성·오산지역 54개 중·고교 1,300여 명이 참여한 스포츠클럽 축구대회 공동 주관 ▲유소년 축구페스티벌 개최 ▲지역 장안대학교와 협업한 프로추진 학술 세미나 개최 ▲학교 방문 프로그램 스쿨붐업 27회 운영(2천여 명 참여) 등이다. 화성FC는 프로리그 초대 감독인 차두리 감독의 지휘 아래 2025년 K리그2 13개 구단과 열띤 경쟁을 펼칠 예정이다. 화성FC 구단주인 정명근 화성특례시장은 "2025년 화성특례시 출범과 함께 화성FC가 K리그2에 진출하게 돼 매우 뜻깊고 기쁘게 생각한다"며 "화성FC가 지역사회의 하나의 구심점으로서 104만 화성시민들과 함께 만들어가는 구단으로 성장하고, 화성특례시가 '축구특례시'로 발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2025-01-13 16:35:57 김대의 기자
기사사진
오산시-LH, 청년·신혼부부 임대주택 2500세대 공급

오산시가 청년·신혼부부 보금자리 마련을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13일 밝혔다. 최근 오산시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오산 세교2지구 내 청년·신혼부부를 위한 2천500여 세대의 임대주택 공급하는 방안에 대해 공감대를 형성했다. 향후 오산시는 올 상반기 LH와 청년·신혼부부를 위한 임대주택 공급방안에 대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할 예정이다. 협약서에는 오산시는 임대주택의 인허가 등 행정절차 등에 적극 협조하며, LH는 임대주택 타입별로 요구되는 공용공간의 확대 및 적절한 주차대수 반영한다는 내용이 담길 전망이다. 한편, 청년·신혼부부 임대주택 공급사업은 민선 8기 이권재 오산시장의 핵심 과업으로 추진해 온 사업이다. 이권재 시장은 취임 일성으로 "미래 오산의 중추 역할을 담당하게 될 청년들이 오산을 떠나지 않고, 외부로부터 유입될 수 있도록 할 방안을 강구하라"고 주문한 바 있다. 이권재 시장은 LH에 임대주택의 필요성을 적극적으로 피력하기 위해 오산시 청년 및 신혼부부 주거실태 현황 조사용역의 조속 추진을 이끌기도 했다. 조사용역 보고서에 따르면 오산시 청년인구는 2010년 이후 인구 증가와 더불어 꾸준히 증가했으나, 2021년 이후 감소세로 전환됐다. 특히 오산시에서 외부로 전출하는 청년 인구는 주택문제로 인근 화성시 동탄·병점·진안·향남신도시 등으로 이동하는 비율도 높았다. 신혼부부 가구의 경우에도 청년인구와 동일한 현상이 나타났다. 이에 이권재 시장은 LH 건의과정에서 ▲용인시 처인구 이동·남사읍에 삼성전자가 350조 원가량 투자해 조성 중인 첨단 시스템반도체 국가산업단지와 인접성을 띠고 있는 점 ▲첨단 테크노밸리 조성 및 산업단지 신규 물량 배정 등에 따른 일자리 증가 가능성을 들어 임대주택 공급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뿐만 아니라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C노선 오산 연장 확정 ▲오산발 서울역행 광역버스 노선 확정 등 청년·신혼부부 등에게 필요한 대중교통망을 확충했다는 점도 피력했다. 이권재 시장은 "인구 50만 자족시대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경제활동을 왕성하게 해 나갈 청년·신혼부부 인구 유입이 중요하다"며 "청년·신혼부부 임대주택 공급사업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시장으로서 직접 챙기고, LH와도 적극 협업하겠다"고 밝혔다.

2025-01-13 16:35:44 김대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