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낙동강유역환경청, 영농폐기물 불법소각 근절 교육 실시

낙동강유역환경청은 농촌지역 미세 먼지 배출 저감을 위해 '찾아가는 영농폐기물 불법소각 근절 교육'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교육은 오는 14일 경남 거제를 시작으로 제6차 계절관리제 기간(2024년 12월~2025년 3월)인 올 3월까지 지속 실시하며 농촌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전문 지식과 다양한 경험을 갖춘 전문 강사가 부산·울산·경남 농촌지역 농업기술센터, 마을회관 등을 직접 찾아 영농폐기물의 종류 및 적정 처리방법, 영농폐기물 불법소각으로 인한 대기환경 위해성 등을 교육한다. 특히, 특산물 재배 시 발생하는 영농폐기물 처리방법, 수거보상금 지원제도 안내 등 마을의 특색을 반영, 지역별 효과적인 학습이 이뤄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했다. 낙동강유역환경청은 이 밖에도 온·오프라인을 통한 다각적인 홍보와 주민이 직접 참여하는 에코플로킹 등을 통해 농촌지역 주민의 인식 개선과 적극적인 동참을 유도해 농촌지역 미세 먼지 줄이기에 적극 나선다는 계획이다. 최종원 낙동강유역환경청장은 "영농폐기물 불법소각은 미세 먼지뿐 아니라 산불로도 이어질 수 있어 반드시 근절돼야 한다"며 "지역 주민들이 이번 교육을 통해 영농폐기물을 적정 처리하고, 불법소각은 절대 하지 말아 주실 것"을 당부했다.

2025-01-13 16:24:50 이도식 기자
기사사진
울산지방해양수산청, 해양사고 예방 현장 캠페인 진행

울산지방해양수산청은 13일 오전 10시 울산항 통선부두에서 해양 안전의 중요성을 알리고 해양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선박 구명뗏목 및 소화설비 작동 시연 현장 교육 캠페인'을 개최했다. 이번 캠페인은 선박 종사자 및 관련 업계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해양 사고에 대비한 실질적인 안전 교육을 제공하고, 해양 안전 의식을 고취하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선박에 설치된 구명뗏목을 실제로 해상에서 작동시키는 시연이 진행됐다. 이와 함께 구명신호탄 발사 시연과 선박에서 흔히 사용되는 소화기를 활용한 화재 진압 체험도 실시됐다. 참가자들에게 이런 체험 활동을 통해 긴급 상황 발생 시 신속하고 정확하게 안전 장비를 사용할 수 있는 기회가 됐다. 울산지방해양수산청 관계자는 "이번 캠페인을 통해 해양 사고 발생 시 필수적인 안전장비 사용법을 익히고, 긴급 상황에서의 대처 능력을 높이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선박 종사자들이 해양 안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고 예방에 앞장설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울산지방해양수산청은 꾸준히 선박 안전 관리를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특히 하반기에는 항내 선박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한 집합교육을 추가로 진행해 해양 사고 예방과 종사자들의 안전 의식 제고에 기여할 예정이다.

2025-01-13 16:24:24 이도식 기자
기사사진
기장군, 일광유원지 주변 ‘기후대응 도시숲’ 조성

기장군은 올해 일광유원지 야구테마파크 주변을 중심으로 기후대응 도시숲 조성에 나선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산림청 국시비보조사업의 하나로 추진됐으며 도심 속 녹지공간 확충과 탄소 중립 및 미세 먼지 저감 효과를 목표로 국비 5억원, 시비 및 군비 5억원을 투입해 진행된다. 군은 해당 녹지 일원에 미세 먼지 차단과 도심의 온도를 낮출 수 있는 수목을 집중적으로 식재해 기후대응 도시숲 1ha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1월 중 실시설계 용역을 발주해 3월 중 도시숲 등의 조성·관리 위원회 심의를 거쳐 4월 중 용역을 준공하고, 5월 본격적으로 공사에 착공해 7월 중 조성사업을 완료할 예정이다. 군은 이번 조성되는 도시숲이 지역 주민들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면서, 기후 변화에 적극 대응하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도시의 탄소흡수원으로서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하고 미세 먼지를 차단해 공기질을 개선하는 데 큰 도움을 줄 것으로 보고 있다. 정종복 기장군수는 "이번 기후대응 도시숲 조성사업이 주민들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기후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며 "앞으로도 환경 개선과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꾸준히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군은 지난해 오시리아 수변공원 일원에 '기후대응 도시숲 조성사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한 바 있으며 이 경험을 바탕으로 올해 사업도 차질 없이 추진한다는 입장이다. 또 앞으로도 지역 사회의 환경 문제를 해결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지역 내 기후대응 도시숲 조성사업을 꾸준히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2025-01-13 16:24:08 이도식 기자
기사사진
포항시, 특별이벤트 숙박 할인 프로모션 진행

포항시는 설 명절 연휴 기간과 올 초 개통한 동해선 이용 포항방문 관광객을 적극 유치하기 위해 국내 대표 여가플랫폼 야놀자와 손잡고 특별이벤트로 숙박 할인 프로모션을 한 달간 진행한다. 오는 15일부터 여가플랫폼(야놀자) 어플에서 포항 숙박업소 3만 원 이상 상품을 예약하는 고객에게는 1만 원 할인 쿠폰이, 5만 원 이상 상품을 예약하는 고객에게는 2만 원 할인 쿠폰이 제공된다. 쿠폰은 준비 수량 소진 시까지 선착순으로 발급되며, 2월 15일까지 사용이 가능하다. 이번 포항 관광 할인이벤트는 국내 메이저 여행 커뮤니티 미디어인 '여행에 미치다'와도 협력해 홍보될 예정이다. 이벤트 기간 동안 방문하기 좋은 영일대, 스페이스워크, 구룡포, 호미곶 등 포항의 대표 관광지와 대게, 과메기, 포항물회 등 겨울 먹거리를 카드뉴스 형식으로 소개하고, 인플루언서와 함께 포항의 매력을 담은 홍보 영상을 제작해 다양한 플랫폼에서 적극적으로 포항의 맛과 멋을 홍보할 계획이다. 한편 포항시는 동해선 개통을 맞아 관광객 유치를 위해 기차여행 전문여행사를 대상으로 기차여행 상품개발 팸투어를 추진했으며, 동해선 이용과 관련된 SNS 퀴즈 이벤트를 실시하고 있다. 또한 동해선을 타고 포항을 방문한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포항역과 월포역에서 포항 관광기념품을 나눠주는 이벤트를 진행 중이며, 추후 동해선을 이용해 포항에 온 관광객들이 주요 관광지를 편리하게 둘러볼 수 있도록 관광택시 할인이벤트도 준비 중에 있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이번 동해선 개통으로 해양관광도시 포항이 천만 관광도시로 거듭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며 "경기가 어려운 시기에 여행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관광 이벤트를 준비했으니 이번 설 연휴에는 많은 분들이 동해선을 타고 포항을 찾아 즐겁고 특별한 시간을 보내길 바란다"고 말했다.

2025-01-13 16:21:36 최지웅 기자
기사사진
Battery Material Industry Faces Growing Uncertainty, Actively Working on Countermeasures

The prevailing opinion is that the price of lithium, a key raw material for electric vehicle batteries, is unlikely to rise significantly this year. With the decline in raw material prices, there are increasing expectations that the outlook for battery material companies will also remain bleak. In response, battery material companies are focusing on strengthening their superior technology and stable supply capabilities to overcome the decline in profitability caused by falling mineral prices. According to Korea Resources Information Service (KOMIS) on the 13th, the price of lithium was 72 yuan per kilogram as of the 9th. Lithium prices began to decline in the fourth quarter of 2022 due to a slowdown in global electric vehicle demand. The price had risen to 581.5 yuan per kilogram in November 2022, but it has been falling due to supply oversupply from China and the electric vehicle demand stagnation period, known as the "electric vehicle chasm." There is growing concern that the inauguration of Donald Trump's second administration could put pressure on lithium prices. Since President-elect Trump is not particularly favorable toward electric vehicles, there are speculations that the recovery of the electric vehicle industry during his term may not be clear, which could impact the demand for lithium. As a result, securities analysts are predicting that domestic battery material companies such as EcoPro BM, L&F, and POSCO Future M will report poor results in the fourth quarter. The main cause is identified as the "lagging effect" due to falling raw material prices. The lagging effect refers to the situation where products made with expensive raw materials are sold at relatively lower prices. According to earnings estimates from financial information provider F&Guide, EcoPro BM is expected to record annual sales of 2.8692 trillion KRW and an operating loss of 38.9 billion KRW for the previous year. After posting a total of 10.6 billion KRW in profits in the first and second quarters of last year, EcoPro BM incurred an operating loss of 41.2 billion KRW in the third quarter. It is expected that the company will see a smaller loss in the fourth quarter, and an annual loss is anticipated to continue. L&F recorded a cumulative operating loss of 360.4 billion KRW for the first to third quarters, surpassing its expected annual operating loss of 220.1 billion KRW for 2023. The company is forecasted to incur an operating loss of 94.2 billion KRW in the fourth quarter. There is widespread consensus that POSCO Future M will also face losses. The company is expected to record an operating loss of 4 billion KRW in the fourth quarter. Battery material companies are actively seeking cost reduction measures, as price reductions in electric vehicles are considered a crucial factor for boosting sales volume. The strategy to secure operating profit margins ultimately points to the need for cost reduction through the diversification of raw material supply chains. Additionally, the industry plans to focus on reducing equipment investment and securing financial strength. This is seen as an effort to maintain stable management in an uncertain market environment. EcoPro aims to stabilize mineral prices by establishing an integrated production joint venture in Indonesia, a resource-rich country, in collaboration with China's GEM. The venture will cover the processes of refining, precursor production, and cathode materials. EcoPro BM is reportedly reducing its equipment investment scale from 15 trillion KRW to around 10 trillion KRW and postponing the completion schedule for its cathode material factory. POSCO Future M plans to focus on improving its financial structure by halting investments in joint ventures and selling some of its assets. Additionally, the industry sees resolving the uncertainty surrounding North American market policies as a key factor for long-term growth. The degree of recovery in EV demand and the potential for gradual recovery in raw material prices are considered prerequisites for long-term growth. An industry insider stated, "Battery material companies are undergoing restructuring through the withdrawal from lithium businesses and reduction of staff, but lithium prices are still on a downward trend." They added, "It is expected that battery material companies will generally record losses in the fourth quarter as well." He continued, "Nonetheless, there will be certain points within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value chain where downward rigidity exists." He added, "The potential of the electric vehicle market remains large, and once the current chasm is overcome, the market will grow and enter a maturation phase." ChatGPT를 사용하여 번역한 기사입니다.

2025-01-13 16:18:03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부산시설공단, ‘안전신고 유공’ 행안부 장관 표창 수상

부산시설공단은 안전 정책 및 생활 안전 유공 안전신고 분야에서 행정안전부 장관 표창을 수상했다고 13일 밝혔다. 행정안전부는 생활 속 안전 사각지대 해소 및 개선, 안전신고를 통해 위험 요소 제거·개선 노력 및 안전신고 예방에 기여한 우수 사례를 발굴해 포상하고 있다. 공단은 안전신문고, 안전 위험 신고 포상제, 교통사고 감소 및 예방을 위한 시설물 개선, 안전 교육 관련 프로그램 운영 등에 기여한 공적을 인정받았다. 특히 안전 위험 신고 포상제, 국가안전대진단 안전신고, 스마트 안전자문단 운영, 산업안전보건위원회 및 안전 근로 협의체 운영, 안전 보건 경영 시스템(KOSHA-MS)의 발전을 위한 안전보건경영위원회 운영, 안전신문고 집중신고, 다중이용시설 합동 소방 훈련 및 시민과 함께하는 심폐 소생술 체험 교육, 교통안전 캠페인 및 어린이 대상 교통안전 체험 프로그램 운영 등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성림 부산시설공단 이사장은 "시민분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공단 임직원의 노력으로 안전신고 문화 활성화에 기여한 공단의 성과를 인정받아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며 "이번 표창을 계기로 더 안전한 환경 조성과 재난·안전사고 예방에 최선을 다하고 시민과 함께 안전한 부산을 만들어 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2025-01-13 16:16:28 이도식 기자
기사사진
남해관광문화재단, ‘바래길 지킴이’ 모집

남해관광문화재단이 남해바래길을 함께 지키고 가꿔 나갈 '바래길 지킴이' 5기를 14일부터 선착순으로 모집한다. 바래길 지킴이는 남해바래길을 월 2회 이상 정기 순회하며 모니터링 활동을 수행하는 자원봉사자로, 담당 코스 안내 사인 부착 및 정비, 안전성·편의성 점검, 환경 정화 활동 등을 수행한다. 바래길 지킴이 5기는 남해바래길 발전에 봉사하고자 하는 누구나 지원할 수 있다. 2월 1일, 3일에 진행되는 기본 교육을 이수한 뒤 3개월 수습 기간 월 2회 이상 성실하게 봉사 활동을 수행하면 바래길 지킴이로 공식 위촉된다. 안전 지킴이로 위촉되면 활동에 소요되는 교통비 등 소정의 실비 보상과 활동 물품이 혜택으로 주어진다. 또 연말 우수 지킴이 시상 등이 있으며 1365 자원봉사포털을 통해 자원봉사 시간이 인정된다. 자세한 내용은 남해관광문화재단 홈페이지 내 고시 공고 게시판 또는 남해바래길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관련 문의는 남해바래길탐방안내센터로 하면 된다. 한편, 남해관광문화재단은 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바탕으로 바래길을 운영하기 위해 바래길 지킴이 자원봉사단을 2021년부터 운영해 왔다. 1기 양성 이후 해마다 봉사자는 늘어나, 현재까지 월평균 60명의 봉사자가 남해바래길 263㎞ 전 구간을 촘촘히 관리하고 있다. 자원봉사 시스템을 토대로 한 남해바래길 운영 관리 체계는 선진 사례로 주목받으며 탐방로 조성 및 운영에 관심 있는 전국 지자체의 견학이 이어지고 있다.

2025-01-13 16:16:16 이도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