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서울시민 자살률 2015년 이후 최고...서울시, 시민 마음 돌봄 지원
지난해 서울에서 극단적인 선택으로 생을 마감한 시민이 2100명을 넘어섰고, 자살 의·시도자는 3700여명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서울시민 자살률(인구 10만명당 자살률이 23.2명)이 2015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자 서울시가 '일상 마음 돌봄+지역 주도+시민 참여 중심'을 골자로 한 특단의 자살 예방 정책을 내놨다. 서울시는 시민의 정신 건강을 선제적으로 지키고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자살 예방 대책과 자살이 사회적 책임임을 인식할 수 있는 생명 돌봄 활동 등의 주요 추진 과제를 시행해 오는 2030년까지 서울시민 자살률을 절반 이상 줄이겠다고 28일 발표했다. 우선 시는 시민들이 자살 고위험군으로 전환되기 전 일상 속에서 마음 건강을 돌볼 수 있도록 정서적 어려움을 겪는 이들에게 민간의 전문 심리 상담을 지원키로 했다. 시민 누구나 주 1회, 50분 이상, 총 8주간 상담을 받을 수 있으며, 1인당 지원 금액은 회당 8만원이다. 올해 2만명을 시작으로 점차 대상을 확대해 오는 2027년부터는 매년 10만명에게 상담을 제공할 계획이라고 시는 덧붙였다. 24시간 자살예방상담 마음이음 상담전화(1577-0199) 상담 인력도 현재 12명에서 2026년까지 30명으로 늘려 한 생명도 놓치지 않도록 지원을 강화한다. 현재 9개구, 11곳에서 운영 중인 마음 상담소는 2026년까지 모든 자치구, 27개소로 확대한다. 정신 건강 전문 요원과 임상 심리 전문가들이 마음 건강에 대한 1차 상담을 실시하고, 필요시 민간 심리기관을 연계해준다. 시는 획일적인 사업을 지양하기 위해 지역 특성을 고려한 '서울형 자살 예방 통합 모델'을 구축하기로 했다. 1인가구 밀집지 등을 '동행촌 생명존중 마을(가칭)'로 지정하고 동네 병원, 상점, 통반장이 자살 고위험군을 발굴해 맞춤형 지원, 자살 위험 수단 차단 등의 생명 지킴이 역할을 하며 이웃을 돌보도록 하는 내용이다. 동네 병원에서는 1차로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우울증 건강 설문'과 '자살 행동 척도 진단' 등을 실시하고 필요시 지역 보건소, 서울시 자살예방센터로 연계해 빠른 심층 상담을 돕는다. 시는 정신 의료 기관 검진과 상담 비용을 연 최대 3회(2만~4만원) 지원해 시민들의 부담을 덜어줄 예정이다. 아울러 시는 자살 예방 메시지, 수기 공모를 비롯해 영화제와 같은 시민 참여 행사를 진행해 생명 존중에 대한 공감을 이끌어내기로 했다. 가족·친구 등 주변 사람의 자살 위험 신호를 빠르게 인지해 전문가에게 연계하는 '생명 지킴이'도 체계적으로 양성해 이웃에 지속적인 도움을 펼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시는 전했다. '그간 시가 추진해온 자살 예방 대책이 고위험군을 줄이는 데 실패했다'는 지적에 대해 김태희 서울시 시민건강국장은 "사실은 서울시가 정신 건강이라든지 자살 문제를 주요 대책으로 전면적으로 내세우고 적극적으로 추진해오지 못했다"면서 "서울시만의 힘으로 어렵기 때문에 앞으로 경찰, 교육청, 여러 민간, 지역 사회와 협력해 이 사업을 관리하겠다는 거고 의지를 가지고 자살 예방 정책을 꾸준하게 추진하면 분명 효과가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이어 "경쟁이 심하고 헬조선이어서 자살을 많이 하는 게 아니다. 우리나라가 굉장히 다이나믹하고 살기 좋다고 평가하는 분들도 있다. 다만 정신 건강에 있어서 인식의 문제, 그리고 정신 건강 취약군에 대한 안전망이 부족한 것 등이 자살자 증가로 이어졌다고 볼 수 있으므로 그런 부분을 강화하면 충분히 성과가 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