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성남시, CES 2025서 41개 기업 파견 '성남관' 개막식 개최

성남시는 성남 중소·벤처기업의 글로벌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2025년 1월 7일부터 10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가전·정보기술(IT) 전시회 CES 2025에 역대 최대 규모인 41개 기업을 파견해 성남관 개막식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CES 2025 성남관 개막식은 현지 시간으로 1월 7일 오후 1시 30분, 베네시안 엑스포 2층 글로벌관에서 열렸다. 이번 개막식에는 어려운 경제 상황을 고려해 불참을 결정한 신상진 성남시장을 대신하여 이의준 성남산업진흥원장과 성남시 글로벌 기업 진출 플랫폼인 성남비즈니스센터(K-SBC)가 위치한 풀러턴시의 프레드 정(Fred Jung) 시장을 비롯한 주요 초청 바이어들이 참석했다. 이의준 성남산업진흥원장은 성남관 개막식에서 "CES 2025에 성남은 성남관 전시 및 참관단으로 역대 최대 규모인 41개사를 파견하며 중소·벤처기업의 글로벌 진출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특히 CES 2025 성남관은 글로벌 시장 진출을 꿈꾸는 기업들에게 소중한 기회이자 든든한 발판이 될 것"이라며 "성남시가 지속적으로 혁신 기업들의 세계 시장 진출을 돕겠다"고 밝혔다. 성남시는 올해 CES 2025에서 25개 중소·벤처기업이 참여하는 단독 성남관을 운영하며, 인공지능(AI), 헬스케어, 스마트 시티, 모빌리티 등 첨단 기술을 세계 무대에 선보였다. 특히 올해 CES 2025에서는 Sky Labs Inc., BrainU Co., Ltd., ANDOPEN Co., Ltd. 등 성남을 대표하는 3개 기업이 CES 혁신상을 수상하며 성남의 기술력과 경쟁력을 세계에 입증했다.

2025-01-08 15:28:12 김대의 기자
기사사진
안성시, '2025년 대한민국 퍼스트브랜드 대상' 수상

안성시 농특산물 브랜드 '안성마춤'이 '2025년 대한민국 퍼스트브랜드' 농수산물 공동브랜드 부문에서 대상을 수상했다. 지난 7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개최된 '2025년 대한민국 퍼스트브랜드 대상' 시상식에서 농수산물 공동브랜드 부문에서 19년 연속 대상으로 선정되어 '퍼스트클래스'특별 수상을 받아 대한민국 대표 농수산물 브랜드로서의 위상을 확고히 했다. 대한민국 퍼스트브랜드 대상은 한국소비자브랜드위원회가 주최하고 한국소비자포럼이 주관하여 소비자 조사를 통해 올 한 해를 이끌어갈 기대되는 브랜드를 선정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브랜드 어워즈다. 이번 수상은 약 500만 건의 국내 소비자 참여와 위원회 심의를 바탕으로 농수산물 공동브랜드 부문 기대치 5.20점 중 '안성마춤'이 5.05로 최고 점수를 획득하여 대상으로 최종 선정됐다. '안성마춤' 브랜드는 안성시 5대 농특산물인 쌀, 한우, 배, 포도, 인삼에 부여되는 농특산물 공동브랜드로, 철저한 품질관리와 까다로운 생산시스템을 통해 품질 고급화 및 차별화된 마케팅으로 전국에서 으뜸가는 농특산물 브랜드의 명성을 갖추고 있다. 김보라 안성시장은 "안성마춤이 19년 연속 퍼스트브랜드 대상을 수상하게 되어 매우 기쁘게 생각하며 소비자가 직접 선택하여 선정된 만큼 최고의 품질과 서비스로 고객에게 한발 더 다가가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2025-01-08 15:27:52 김대의 기자
기사사진
양평군, 보건진료소 건강증진 프로그램 주민 만족도 97% 달성

양평군 보건소는 지난 한 해 동안 운영한 보건진료소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주민들로부터 97%의 높은 만족도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총 68개의 다양한 프로그램이 운영되었으며, 2,785명(연인원 13,980명)의 지역주민이 참여해 의료취약지역 건강증진에 기여했다. 양평군은 17개 보건진료소가 설치되어 있으며 지역 특성과 주민들의 건강 요구를 반영해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프로그램은 주로 고령화가 심한 농촌 특성에 맞춰 어르신체조 등 신체활동, 치매예방, 만성질환 관리 교육이 이루어지며 지역주민들이 서로 지지하고 소통할 수 있는 창구의 역할도 함께 수행하고 있다. 2025년도 양평군은 보건진료소 1개소를 추가 확충할 계획이며, 노쇠를 주제로 한 '근감소증 예방교실' 신규 프로그램도 운영 예정이다. 이번 근감소증 예방교실 특화사업은 7개 보건진료소가 보건진료소 간 소통 공유회의를 통해 프로그램 개발, 기획 단계부터 협력하여 기획한 사업으로 자세한 사항은 각 보건진료소로 문의하면 된다. 배명석 양평군 보건소장은 "근감소증 예방교실 주민들의 관심과 참여를 독려드린다."며, "최근의 보건진료소는 일차진료 외에도 건강증진 분야의 중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는 만큼 앞으로도 군민 건강을 최우선으로 진료소 프로그램이 원활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2025-01-08 15:27:18 김대의 기자
기사사진
Disappointing Performance in the Electronics Industry… Operating Profit Down 29.19% for Samsung and 80.5% for LG Electronics Compared to the Third Quarter

The home appliance industry has revealed a disappointing fourth-quarter performance. While both revenue and operating profit showed growth compared to 2023, which was impacted by the "three highs" (high inflation, high interest rates, and high exchange rates), there was a noticeable decline compared to the previous quarter. On January 8, Samsung Electronics and LG Electronics announced their preliminary results for the fourth quarter of 2024. Samsung Electronics reported consolidated revenue of 75 trillion KRW and operating profit of 6.5 trillion KRW, while LG Electronics posted revenue of 22.78 trillion KRW and operating profit of 1.46 trillion KRW. Both companies reported a sharp decline in operating profit compared to the third quarter. Samsung Electronics saw a 29.19% decrease in operating profit, falling from 9.18 trillion KRW in the previous quarter. Revenue also declined by 5.18% compared to the prior quarter. The main reason for the weak fourth-quarter performance is attributed to the downturn in the DS (Device Solutions) division, which handles Samsung's semiconductor business. Although Samsung did not disclose division-specific results in its preliminary earnings report, industry experts estimate that the operating profit for the DS division in the fourth quarter was in the mid-3 trillion KRW range, down from 3.9 trillion KRW in the previous quarter. LG Electronics reported an 80.5% drop in operating profit for the fourth quarter compared to 7.52 trillion KRW in the third quarter of 2023. However, its revenue grew by about 2%. On a positive note, LG Electronics achieved a record-high annual cumulative revenue of 87.74 trillion KRW in 2024, marking a 6.66% increase compared to 2023. This continues the streak of record-breaking annual revenues since 2021, with a compound annual growth rate (CAGR) exceeding 10%. LG Electronics attributed the decline in operating profit for the fourth quarter to the surge in international shipping rates caused by risks in the Middle East region and the uncertain business environment in the second half of 2024. Industry insiders also believe that intensified competition in key business areas such as TVs and home appliances, along with increased marketing costs and higher new business investment expenses in the Business Solutions (BS) division, were significant contributing factors. An LG Electronics representative stated, "We will focus on strengthening the fundamental competitiveness of our business, including quality and cost, while also striving to secure a healthy profit structure through the optimization of fixed costs." ChatGPT를 사용하여 번역한 기사입니다.

2025-01-08 15:23:02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역대 최대 서울관부터 글로벌 네트워킹 행사까지...서울시, 'CES 2025' 출항

서울경제진흥원은 세계 최대 IT·가전 전시회인 CES 2025에 '서울통합관'을 참가 이래 최대 규모로 조성했다고 8일 밝혔다. 서울통합관은 1040㎡(약 315평) 크기로 만들어졌다. 시는 3개 자치구(강남·관악·금천구), 5개 창업지원 기관(서울경제진흥원·서울관광재단·서울바이오허브·서울AI허브·캠퍼스타운성장센터), 관내 8개 대학(건국대·경희대·국민대·동국대·서강대·서울시립대·연세대·중앙대)과 협력해 서울통합관을 운영한다. 올해에는 국내 우수 스타트업 97개사가 참여하며, 이 중 21개사가 CES 혁신상을 탔다. 7일(이하 현지 시각) 개최된 CES 2025 서울통합관 개관식에는 16개의 참가 기관을 비롯해 97개 기업과 103명의 서포터즈가 함께했다. 8일에는 글로벌 스타트업 네트워킹 행사인 '서울 이노베이션 포럼'이 열린다. 150여명이 참여해 5개국 10개 스타트업의 피칭 경연을 참관하고, 업계 동향을 공유하는 등 네트워킹을 할 예정이다. 김현우 서울경제진흥원 대표는 "CES 서울통합관 운영은 이제 더 이상 일회성 이벤트가 아닌, 기업의 글로벌 진출에 실질적 도움을 주는 사업으로 자리매김했다"며 "CES 이후에도 후속 지원 사업을 통해 참가 기업들의 지속적인 성과 창출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2025-01-08 15:20:28 김현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