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울진군, 울진금강송 유산 세계중요농업유산(GIAHS) 등재를 위한 FAO 현장실사 준비

울진군(군수 손병복)이 국가중요농업유산 제7호로 지정된 '울진금강송 산지농업시스템(Ul-Jin Pinetree Agroforestry System)'의 세계중요농업유산(GIAHS) 등재를 위한 FAO 현장실사 준비에 돌입했다. 이번 실사는 등재 여부를 좌우할 결정적 단계로 평가된다. 세계중요농업유산 현장 실사는 오는 15일부터 16일까지 이틀간 진행되며,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 GIAHS 과학자문그룹(SAG) 소속의 경제·환경 인류학자 캐서린 터커(Catherine Tucker) 위원이 실사를 맡는다. 터커 위원은 울진 금강송 에코리움과 소광리 금강소나무 군락지, 전곡리 화전민 생가터, 소광리 농가 및 산채 재배 현장, 북면 두천리 주막촌 등을 차례로 방문할 예정이다. 실사 과정에서는 봇도랑과 한봉 같은 산지농업의 전통 기법과 금강소나무를 활용한 생활 도구, 송이산 가꾸기와 보부상 문화, 불영사 전통 건축물 등을 종합적으로 확인한다. 울진군은 그동안 다수의 자문회의와 보완 작업을 거쳐 현장실사에 대비해 왔다. 실사 마지막 일정으로는 주민들과의 간담회를 통해 전통 계승과 공동체 협력의 실천 사례도 소개될 계획이다. 세계중요농업유산 등재는 단순한 농업문화 보전을 넘어 전통 생태지식의 세계적 가치 인정, 지역 브랜드 이미지 상승, 학술 및 관광자원으로의 확장 등 다각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울진군 관계자는 "금강소나무와 조화를 이룬 산지농업은 울진의 정체성을 품은 자산"이라며 "이번 현장실사가 울진의 전통이 세계에 알려지는 전환점이 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손병복 울진군수는 "여러 과정을 거쳐 철저히 준비한 만큼 좋은 결과를 기대하며, 울진금강송의 전통성과 가치를 국제사회에 제대로 알리겠다"고 말했다.

2025-05-12 08:08:03 손기섭 기자
기사사진
영덕군, 임시주택 설치부터 민원 반영 까지 주민 대상 '찾아가는 설명회' 개최

영덕군이 지난달 22일부터 산불 피해 주민들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설명회'를 열고 있다. 설명회는 이재민 임시주거시설과 피해 마을을 중심으로 이뤄지며, 복구 상황 안내와 주민 의견 수렴을 동시에 진행하고 있다. 군은 산불 피해 복구를 위해 토목, 건축, 행정, 공업 등 4개 분야 전문인력 43명으로 구성된 추진단을 꾸렸다. 이들은 건물 철거와 기반 시설 구축, 임시주택 조성 등 현장 중심의 신속한 복구 작업을 담당하고 있다. 설명회는 추진단이 수행 중인 응급 복구와 주거 지원 절차를 주민들에게 투명하게 설명하고, 현장에서 제기된 질의와 요청사항을 실질적인 조치로 연결하기 위한 목적에서 기획됐다. 김광열 영덕군수는 추진단 실무자들과 함께 산불 피해가 심각했던 영덕읍, 지품면, 축산면 일대 마을 단위 임시거주시설 27곳을 직접 방문했다. 이들은 지난 2주간 총 49회에 걸쳐 현장을 돌며 작업 상황을 점검하고 주민들과 대화를 이어갔다. 김 군수는 임시 조립주택이 완비되는 이달 말까지 설명회를 지속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현장에서 수렴한 모든 민원과 건의사항에 대해 후속 조치의 계획과 실적까지 꼼꼼히 검토하고 복구 및 주거 지원 과정에 반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영덕군은 산불이 진화된 지 12일 만인 지난달 9일부터 철거 작업을 시작했으며, 8일 기준으로는 영덕읍 화수1리에 임시주택 17동을 설치했다. 김광열 군수는 "피해 주민들의 삶의 현장에서 직접 소통하고 의견을 반영해 복구 작업과 임시주택 조성 사업이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하겠다"며 "한 분 한 분의 목소리를 빠짐없이 담아내는 것이야말로 지역사회가 산불의 아픔을 딛고 다시 희망을 만드는 과정"이라고 말했다.

2025-05-12 08:06:58 손기섭 기자
기사사진
메트로신문 5월 12일 한줄뉴스

<자본시장> ▲최근 한층 격화한 '트럼프발 관세전쟁'과 잿빛 경제 전망 등으로 기업 신용에 빨간불이 켜졌다. 고환율에 원자잿값·금융비용 상승 등으로 기업 실적까지 악화하면 2008년 금융위기 당시 발생한 무더기 등급 강등 사태가 재현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최악의 경우 유동성 위기에 몰린 기업들은 '좀비기업'으로 전락하고, 이들이 금융시스템을 흔들 수 있다. ▲ 한국 증시에서는 외국 돈줄의 '한국 엑소더스'가 대세다. 올해 들어서만 외국인은 코스피 시장에서 15조원어치를 팔아치웠다. 더 이상 황금알을 낳을 경쟁력 있는 산업이나 기업을 찾기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시장에는 '추락천사'(투기등급 신용 강등)와 '좀비기업'들이 급증했다. 전문가들은 기업과 산업 구조조정을 서두르지 않는다면 일본의 '잃어버린 30년' 전철을 밟을 수 있다고 경고한다. ▲6.3 조기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1600만 명이 넘는 가상자산 투자자들의 표심을 잡기 위한 정치권의 경쟁이 치열하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는 가상자산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도입을 공약으로 내놨고, 국민의힘은 '1거래소-1은행 원칙'을 없애겠다고 약속했다. 시장에서는 제도권 편입으로 더 넓은 자산 증식의 기회를 제공할 것이란 의견과 투기판을 더 키울 수 있다는 우려가 교차한다. ▲정부가 지난해 '코리아 디스카운트(한국 증시 저평가)' 현상을 타파하겠다며 이른바 '밸류업(기업가치 제고) 프로그램'에 시동을 걸었지만, 밸류업은 고사하고 국내 상장사들의 평가 가치는 더욱 뒷걸음질하고 있다는 지적이 잇따른다. <금융·부동산> ▲금융위원회가 우리금융지주의 동양생명·ABL생명 자회사 편입을 조건부 승인하면서 외국계 보험사의 판도가 요동치고 있다. 총자산 50조원이 넘는 두 외국계 보험사가 우리금융 품에 안기면서 시장의 공백을 남은 외국계 보험사들이 어떻게 메울 지 관심이 쏠린다. ▲'가상자산 대장주' 비트코인이 3개월 만에 1BTC당 10만달러를 넘어 거래되고 있다. 영국과 미국의 무역 협상이 성사됐다는 소식에 트럼프발(發) '관세전쟁' 여파로 위축됐던 위험자산 선호 심리가 회복되고 있어서다. ▲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이달 기준금리를 2.75%에서 2.50%로 인하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유통·라이프> ▲소비 최전선이라 할 수 있는 편의점 업계가 지속되는 내수 부진으로 역성장 국면에 진입했다. ▲풀무원이 '선택과 집중' 전략을 본격화하며 글로벌 수익성 강화에 나섰다. ▲국내 주요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올해 1분기 실적 발표를 마무리하면서, 미국 시장에 진출한 'K신약'들이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오가노이드(장기모사체) 전문기업 오가노이드사이언스가 코스닥 시장에 성공적으로 데뷔했다. ▲카나나는 자연스러운 대화와 제안, 일정 알림 등을 제공하며 충실한 스케줄러의 역할을 수행했다. 그러나 방대한 양의 작업물을 업로드 할 경우 채팅 자체가 이루어지지 않고, 미묘하게 어긋나는 답변을 제시하는 등 앞으로 더 나아가야 할 길이 멀리 보였다. ▲과거 낮은 수익성과 복잡한 절차로 외면받던 B2G(정부와 기업 간 거래) 사업이 최근 국내 IT 서비스 업계에서 각광받고 있다. 디지털 전환 가속화에 따른 시장 확대와 기술 신뢰도 향상에 기반한 서비스 검증 효과, 해외 진출을 위한 공공사업 레퍼런스 확보 등이 주요 배경으로 꼽힌다. ▲국내 인공지능(AI) 기업들이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AI 기술은 '시각 지능'이고, 주력 사업 분야는 인공지능 응용 소프트웨어(SW)인 것으로 나타났다. ▲SK텔레콤이 유심(USIM) 정보 유출 사고 대응을 본격화하며, 오는 6월까지 총 1077만개의 유심을 확보하고 고객 보상과 신뢰 회복을 위한 위원회를 조속히 출범시킬 예정이다. ▲네이버가 2025년 1분기에도 건실한 성장세를 이어갔다. 서치플랫폼과 커머스를 중심으로 주요 사업 부문이 고르게 성장하며 매출과 수익성 모두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다. <정치> ▲6·3 대통령 선거 공식 선거운동이 12일부터 시작된다. 국민의힘이 우여곡절 끝에 김문수 후보를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로 확정하면서, 원내정당 중심으로 보면 이번 대선은 이재명(더불어민주당)·김문수(국민의힘)·이준석(개혁신당) 대선 후보의 '1강·1중·1약' 구도로 치러진다. ▲6·3 조기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대선 주자들이 장밋빛 공약을 쏟아내고 있지만, 자칫 국가 재정 운영에 리스크를 키울 수도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제21대 대선 후보가 11일을 마지막으로 전국 51개 시군을 방문하며 취약지 시민들과 만난 현장 행보를 마쳤다. 이 후보는 12일 광화문에서 출정식을 가진 후 판교·동탄·대전을 차례로 방문하며 반도체·과학기술 중점 행보를 예고했다. <산업> ▲중소기업계는 차기 21대 대통령이 갖춰야할 능력·조건에 '경제성장 견인능력'을 1순위로 꼽았다.차기 정부가 지향해야 할 국정 운영 방향도 '내수활성화와 민생 안정'을 가장 많이 꼽아 '경제'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입장이다.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지원정책을 펼때 고려해야 할 핵심 가치는 '성장'이 '분배'를 크게 앞질렀다. ▲국내 중소벤처기업들이 미국 MIT 등 글로벌 선도연구기관과 협업해 연구개발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한 달여만에 다시 일본 출장길에 오른다. 공식적으로 오사카 엑스포 '한국의 날' 행사에 재계를 대표해 참석한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무차별 고율관세 조치로 자유무역 기반 국제 질서가 흔들리는 상황에서 이 회장은 오랜 협력관계를 이어온 일본 재계측을 상대로 민간 외교관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인공지능(AI)관련 규제 강화 추세가 주춤해지고 있는 가운데 국내 대표 AI기업들이 관련 역량 정비에 속도를 내고 있다. 세계 최초의 포괄적 AI 규제인 유럽연합(EU)의 인공지능법(AI Act)의 핵심 조항 적용이 하반기로 미뤄지고, 국내 정치권에서도 '과잉 규제 경계' 기조가 뚜렷해지면서 기업들에겐 'AI 전략을 재점검할 골든타임'이 주어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SK그룹이 SK텔레콤 해킹 사고를 계기로 전사적인 보안 체계 강화를 위한 '정보보호 혁신위원회' 구성에 본격 착수할 예정이다. ▲경제5단체가 AI역량 강화, 메가샌드박스 추진 등 차기정부가 중점 추진해야 할 100대 과제를 공동 제안했다. '저성장이 뉴노멀'로 굳어지고 있는 대한민국 경제의 새로운 성장을 위한 기업과 국민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달라는 호소다. ▲가정의 달 5월을 맞아 교육업계가 학부모와 자녀, 교사와 학생 간 유대감을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감성 이벤트를 진행한다. 과거와 현재를 잇는 추억 소환형 공모부터 온 가족이 함께하는 사진 이벤트, 스승에게 전하는 감사 편지 쓰기 등 참여와 공감에 중점을 둔 프로그램들이 주를 이룬다.

2025-05-12 07:00:27 신하은 기자
기사사진
Major domestic IT service companies accelerate their efforts to target the B2G market.

B2G (Business-to-Government) Market Gaining Momentum in Korea's IT Service Industry The once-overlooked B2G (Business-to-Government) market, due to low profitability and complicated procedures, is now gaining traction in South Korea's IT service industry. This shift is attributed to the accelerated digital transformation, the effectiveness of service validation based on improved technology reliability, and the need for public sector references for global expansion. According to a report by Metro Economic News on the 11th, major IT service companies such as Samsung SDS, LG CNS, SK C&C, and CJ OliveNetworks are ramping up their efforts to target the B2G market. Samsung SDS is increasing its involvement in B2G projects in line with the government's "Digital Platform Government" policy. The digital platform government aims to address social issues and create new value by connecting all data in a digital platform, where citizens, businesses, and the government collaborate.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and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are pushing forward the adoption of generative AI and the transition to cloud-native systems as part of the digital platform government initiative. As cloud and AI technologies become crucial for nationwide services, Samsung SDS, the leading IT service company in Korea, is expanding its influence in the public sector market. Samsung SDS, a private cloud service provider at the National Information Resources Management Agency’s Daegu center, has secured a foundation for hosting key public institution information systems securely. Additionally, by preparing for business in areas requiring new technologies like generative AI, co-pilot systems, and data platforms, Samsung SDS successfully won contracts in the first quarter for the National Assembly's AI big data platform construction and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s next-generation local administrative common system (ISMP). Lee Se-geon, Samsung SDS's Executive, stated, "Through participation in public sector projects, we aim to secure successful examples of generative AI and position ourselves as a key player in the government's push for intelligent digital platforms." He added, "The government has created a framework for large corporations to participate in public projects, and the environment is shifting to favor businesses with technological capabilities. Samsung SDS will expand its business with differentiated competitiveness." LG CNS is accelerating its entry into overseas B2G markets, leveraging its experience in domestic public sector projects. Recently, LG CNS signed a contract with the New York City Economic Development Corporation for a pilot project involving the installation of electric vehicle (EV) charging stations and a control system. As part of the project, LG CNS will set up EV chargers, related facilities, a maintenance control system, and an app for charging station usage at the Brooklyn Army Terminal, an industrial complex in New York. Additionally, LG CNS has partnered with the city government of Hogansville, Georgia, to implement a smart streetlight and control system. The project aims to install smart streetlights, integrated with smart city and IoT technologies, in the downtown and park areas of Hogansville. Kim Min-seop, Team Leader at LG CNS, stated, "Building on our business references with the Korean government and public institutions, we are now working on various projects with the U.S. government and public institutions. These projects will help us strengthen our position in the U.S. public sector market." CJ OliveNetworks is expanding its B2G operations as part of its business diversification strategy. The company is pursuing smart city projects (Sejong National Pilot City, Cheonan-based smart city) and smart education projects (EdTech), while also expanding its portfolio into smart finance and smart transportation. SK C&C is also showing interest in government contracts. An SK C&C representative commented, "For public sector projects, we first check if large corporations are eligible to participate, and if the project meets our criteria, we actively engage." ChatGPT를 사용하여 번역한 기사입니다.

2025-05-11 16:13:07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대학가 오늘] 박성현 숭실대, 과기부‘신진연구자 인프라 지원사업’ 선정 外

숭실대학교(총장 이윤재)는 박성현 기계공학부 교수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국가연구시설장비진흥센터(NFEC)가 주관하는 '2025년도 신진연구자 인프라 지원사업' 창의인프라 부문에 선정됐다고 11일 밝혔다. '신진연구자 인프라 지원사업'은 연구 초기 단계에 있는 젊은 연구자들이 도전적인 연구에 전념할 수 있도록 연구 기반을 조성 및 지원하는 사업으로, 장비 구축을 통한 연구 생산성 향상을 목표로 한다. 박 교수는 '극초단레이저 시스템 구축: 텅스텐합금 적층제조, 후처리, 비파괴검사 원천기술 개발'을 주제로 사업에 선정돼, 국내 최초로 극초단레이저 기반의 새로운 금속 적층제조 시스템 및 초음파 비파괴검사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기존 극초단레이저 기반 초음파 비파괴검사 기술은 나노미터(nm)급의 초고분해 성능이라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느린 계측속도로 인해 상용화에 한계가 있었다. 박 교수가 추진하는 이번 과제에서는 비동기성광샘플링(ASOPS) 방식을 적용한 극초단레이저시스템을 통해 기존 기술 대비 수백 배 빠른 검사 속도를 구현함으로써 이러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박 교수는 "이 시스템은 비약적으로 향상된 검사 속도를 바탕으로 원천기술 수준에 머물던 기술의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을 것"이라며 "반도체, 이차전지, 우주항공 등 다양한 소재·부품·장비 산업에 큰 파급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한국외국어대학교(총장 박정운) 지역특화 청년무역전문가 양성사업단(GTEP, 단장 백재승)은 최근 중동과 아시아 주요 지역에서 열린 대형 전시회에 연이어 참가하며 글로벌 시장 진출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11일 한국외대에 따르면, 지난달 14일부터 16일까지 사업단은 중동·북아프리카 지역 최대 규모의 피부미용 전시회인 '두바이 더마 2025(Dubai Derma 2025)'에 협력업체 ㈜아윤메디와 함께 참가했다. 김민준(국제금융학 21), 손승민(태국어통번역학 20) 학생은 현장에서 유통업자 및 바이어 대상 제품 전시·상담, 판매 지원과 통역 업무를 맡아 실전 경험을 쌓았다. 그에 앞서 지난달 8일부터 11일까지 이재헌(독일어 19) 학생은 싱가포르에서 열린 '식품·음료 전시회(FHA-Food & Beverage)'에 협력업체 ㈜갓바위김과 함께 참가해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지의 바이어를 대상으로 신제품 설명과 수출 상담을 진행했다. 이어 지난달 28일부터 30일까지는 김송은(일본어통번역 20) 학생이 일본 도쿄에서 개최된 '뷰티월드 재팬 2025'에 협력업체 ㈜이코스맥과 함께 참가해 제품 홍보 및 일본어 통역을 담당했다. 사업단은 국내에서도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2025 서울커피엑스포'를 비롯해 코엑스 마곡의 '대한민국 라면박람회', 수원메쎄의 '2025 코리아 커피&디저트 페어' 등 다수의 전시회에 참여해 국내 무역 현장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 한편, 한국외대 GTEP사업단은 5월 상하이에서 열리는 '미용 박람회'에도 학생들을 파견해 현장 중심 교육을 이어갈 예정이다. 고려대학교는 오는 13일 오전 10시 서울캠퍼스 민주광장에서 '2025학년도 1학기 외국인 학생·교원 축제(ISFF, International Students Faculty Festival)'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22주년을 맞이한 외국인 학생 축제(ISF)가 확대된 형태로, 고려대 교환학생교류회(KUBA)가 주관한다. 이번 축제는 총 20개의 부스로 운영되며, 16개의 지역별 부스는 ▲아시아(한국, 인도네시아, 일본, 중국, 베트남, 몽골) ▲미주(미국, 멕시코, 캐나다, 브라질, 콜롬비아) ▲오세아니아(호주) ▲유럽(프랑스, 독일, 스페인, 이탈리아)으로 구성된다. 각 부스에서는 외국인 학생들이 자국의 문화, 음식, 의상등을 소개하며 서로 다른 문화 간의 이해와 소통을 도모할 예정이다. 이외에도 ▲국제하계대학(ISC) ▲교환학생교류회(KUBA) ▲포토부스 ▲외국인 교원 부스가 운영되며, 다양한 정보제공과 교류의 기회를 제공한다. 특히 올해는 고려대 개교 120주년을 기념해 외국인 교수진이 별도의 부스를 운영하며 행사에 참여한다. 이에 따라 행사 명칭도 기존 'ISF(International Students Festival)'에서 'ISFF(International Students Faculty Festival)'로 확대됐다 외국인 교원 부스는 IFA(International Faculty Affairs)가 주관하며, 교수진과 학생들이 강의실 밖에서 자유롭게 만나 소통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행사 현장에서는 각국의 전통의상을 입은 외국인 학생들의 패션쇼가 오후 12시 30분부터 1시 30분까지 열려 축제의 열기를 더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전통 의상 착용 체험, 전통 무용 관람, 고유 게임 참여 등 다양한 문화 체험 프로그램도 진행된다. 고려대는 이번 축제를 통해 외국인 학생 및 교원들과 한국 학생들 간의 글로벌 교류가 더욱 활발히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국민대학교(총장 정승렬)가 한국스카우트 서울북부연맹(연맹장 김경호)과 지난 7일 본부관 203호에서 창의적 인재 양성 및 청소년 교육 활성화를 위한 상호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계기로 양 기관은 ▲청소년 교육 프로그램 공동 개발 및 운영 ▲인적·물적 자원의 상호 교류 및 지원 ▲효과적인 사업 수행을 위한 홍보 및 교육 등 다방면에서 상호 유기적인 협력 체제를 구축할 전망이다. 정승렬 총장은 "본교의 교육철학인 공동체정신과 협력과 단결을 중시하는 스카우트 정신을 바탕으로 양 기관이 협업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마련됐다"라며 "이를 계기로 양 기관이 차세대 리더 양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김경호 한국스카우트 서울북부연맹 연맹장은 "청소년 교육 노하우를 갖춘 한국스카우트 연맹과 우수한 교육 인프라를 갖춘 국민대와의 협업을 통하여 미래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인재 양성에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업무협약 체결식에는 국민대 정승렬 총장, 김현진 학생처장을 비롯해 한국스카우트 서울북부연맹 김경호 연맹장, 허준호 치프커미셔너와 실무자들이 참석해 향후 본격적인 협력 추진을 위한 단계별 전략과 구체적 상호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삼육대학교는 지난달 28일 교내 요한관 홍명기홀에서 '2025-1학기 외국인 유학생 환영식'을 개최했다. 이번 학기에는 경영학과, 물리치료학과, 아트앤디자인학과, 간호학과 등 15개 학과에 총 135명의 외국인 학부생이 입학했다. 이들은 미국, 중국, 인도네시아, 우즈베키스탄, 네팔 등 14개 국가 출신으로, 다양한 문화적 배경 속에서 함께 성장해나갈 글로벌 공동체의 일원이 됐다. 행사는 교내 밴드 동아리 클래시아의 축하 공연으로 문을 열었다. 이어 제해종 총장의 환영사와 신지연 대외국제처장의 격려사가 이어졌고, 네팔 유학생들이 자국 전통의상을 입고 선보인 민속춤 공연은 참석자들의 뜨거운 호응을 얻었다. 기념품 추첨과 웰컴키트 증정 순서에 이어, 환영 만찬으로 모든 일정이 마무리됐다. 제해종 총장은 환영사에서 "낯선 나라에서 새로운 학업 여정을 시작한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며 "국경과 문화를 넘어 도전을 선택한 여러분의 용기에 깊은 존경을 표한다"고 말했다. 이어 "삼육대는 여러분의 새로운 집이며, 교수진과 직원, 그리고 동료 학생들이 함께 걸어갈 것"이라며 "이 여정이 배움과 우정, 그리고 축복으로 가득하길 바란다"고 따뜻한 메시지를 전했다. 중국에서 온 물리치료학과 1학년 왕쯔루이 학생은 "아직은 모든 것이 낯설고 익숙하지 않지만, 환영식 덕분에 마음이 많이 편해졌다"며 "앞으로 삼육대에서 새로운 친구들을 사귀고,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며 의미 있는 시간을 보내고 싶다"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한편 삼육대에는 현재 학부생 187명, 대학원생 181명, 한국어학당 수강생 159명 등 33개국 출신 527명의 외국인 유학생이 재학 중이다.

2025-05-11 16:01:45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美中, 첫날 10시간 마라톤 협상…제네바서 협상 재개

미국과 중국이 10시간이 넘는 마라톤 고위급 무역 협상을 벌였다. 첫날 협상에서 뚜렷한 결과가 도출되지 않은 가운데, 양국은 11일 제네바에서 협상을 재개할 방침이다. 중국 언론 CGTN은 11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미국과 중국 간 고위급 무역 협상이 재개되리라고 보도했다. AP도 소식통을 인용, 11일 고위급 무역 협상이 계속되리라고 전했다고 뉴시스가 인용했다.대중국 145% 관세와 125%의 보복 관세 국면에서 이뤄진 이번 협상에는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부(USTR) 대표, 허리펑 중국 국무원 부총리가 참석했다. 민감한 국면에서 이뤄진 협상인 만큼 이번 협상 결과를 두고는 양국은 물론 세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아직 첫날 협상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논의와 합의가 오갔는지는 불분명하다.다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첫날 협상 종료 이후 트루스소셜을 통해 "매우 좋은 회담"이었다며 "많은 것이 논의됐고, 많은 동의가 이뤄졌다"라고 밝혀 기대감을 자극했다. 협상 담당자들은 아직 직접적으로 입을 열지 않고 있다. 회담에 앞서 양측 대표단은 모두발언 등도 외부에 공개하지 않았다.AP는 첫날 회담 종료 이후에도 양측 대표단이 비밀을 엄수했고, 협상장 인근 기자들에게 어떤 발언도 남기지 않았다고 전했다.다만 신화통신은 이날 "자국의 발전 이익을 수호한다는 중국의 결심에는 흔들림이 없고, 세계 경제·무역 질서를 유지한다는 중국의 입장에도 변함이 없다"라고 밝혔다. 일각에서는 이번 협상으로 양국이 서로 매긴 관세를 일부 완화할 수 있다고 본다. 이와 관련,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회담 전 대중국 관세를 80%로 낮추는 방안을 언급한 바 있다.아울러 뉴욕포스트 등 미국 언론은 소식통을 인용, 미국이 중국에 관세율을 145%에서 최저 50%까지 낮추는 방안을 제시하리라고 보도하기도 했다.싱크탱크 스팀슨센터 소속 윤 선 중국프로그램 국장은 AP에 "최선의 시나리오는 양측이 동시에 관세 긴장을 낮추는 것"이라며 작은 조치도 긍정적인 신호가 되리라고 내다봤다. 한편 이날 회담은 18세기 호화 저택 '빌라 살라딘'에서 열렸다. 이전에 사유지였던 이 지역은 1973년 스위스 국가에 귀속됐다고 한다. 제네바강이 내려다보이는 전망을 갖춘 곳이다.

2025-05-11 15:55:42 최규춘 기자
기사사진
푸틴, 우크라에 직접 대화 제안…"15일 이스탄불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에 종전을 위한 직접 협상을 제안했다. AP와 타스통신, BBC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10일(현지 시간) 심야 방송 연설에서 "오는 15일 이스탄불에서 지체 없이, 전제조건 없이 (직접 협상을) 시작하기를 제안한다"라고 뉴시스가 인용했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는 2022년 개전 이후 벨라루스와 이스탄불에서 휴전을 위한 직접 협상을 실시했다. 그러나 양국 이해가 일치하지 않는 상황에서 협상은 곧 중단됐다.푸틴 대통령은 이스탄불이 개전 직후 직접 협상이 시작되고 중단된 곳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의 제의는 테이블에 있고, 결정은 우크라이나 당국의 몫"이라고 말했다.그는 우크라이나 지도부가 "국민의 이익이 아니라 개인적인 야망에 이끌리는 것으로 보인다"라며 "민족주의자를 통해 러시아와 전쟁을 계속하기를 원한다"라고 비난했다. 그러면서도 "우리는 우크라이나와의 진지한 협상에 전념한다"라며 "분쟁의 근본 원인을 제거하고 역사적 관점에서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평화를 구축하는 것이 목표"라고 했다.직접 협상 재개를 통해 신규 휴전을 실시하는 방안도 배제하지 않겠다는 게 푸틴 대통령의 설명이다. 그는 이와 관련해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과 대화하겠다고 했다.아울러 "진정한 휴전은 무장 분쟁의 추가 지속이 아니라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평화로 나아가는 첫걸음이 될 것"이라며 "이런 평화를 원하는 이는 누구인가"라고 물었다. 또 "우리는 반복해서 휴전을 위한 조치를 제안했고, 우크라이나 측의 대화 요청도 거부한 적이 없다"라며 우크라이나가 오로지 정치적인 이유로 전쟁을 계속하고 있다고 비난했다.그는 이로 인해 우크라이나가 막중한 손실을 입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아울러 이 사태의 평화적 해결과 중재를 위해 노력 중인 외국에 감사를 표한다며 미국과 중국 등을 거론했다.이날 제안은 영국·프랑스·독일·폴란드 등 유럽 4개국 정상이 우크라이나를 방문, 러시아를 향해 무조건적인 30일 휴전을 촉구한 뒤 나왔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는 2022년 개전 이후 얼마간 직접 협상에 나섰으나 오래 이어지지는 않았다. 올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휴전을 중재해 왔지만 전개는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2025-05-11 15:55:11 최규춘 기자
기사사진
의대생 42% 유급, 내년 결국 ‘트리플링’ …의료계 “제적되면 전면전” 예고

내년 전국 의과대학이 세 개 학번 학생들을 동시에 교육해야 하는 유례없는 학사 대혼란에 직면할 전망이다. 의대생 1만9000여명 중 8300여명이 이번 학기 수업 거부로 유급이 확정되면서다. 이 가운데 의대생 단체는 교육부 고위 관계자들을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혐의로 고발했고, 의사 단체는 "단 1명이라도 제적되면 좌시하지 않겠다"며 강경 대응에 나서는 등 갈등이 전면전으로 번지는 양상이다. 11일 교육부에 따르면, 의대 재학생 1만9475명 중 42.6%에 해당하는 8305명이 유급 예정이다. 제적 예정 인원은 0.2%인 46명이다. 예과 과정 학생의 경우 학칙상 유급 제도가 없어 1학기 성적 경고를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인원은 3027명(15.5%)으로 집계됐다. 1학기 1개 과목만 수강 신청한 인원은 전체 7.1%인 1389명이다. 정부가 지난 3월 내년 의대 정원을 3058명으로 동결하며 의대생들의 복귀를 유도했지만, 실질적인 효과는 없었던 셈이다. 특히, 오는 2학기에도 의대생들의 수업 거부가 이어지면, 연말 제적 대상자는 더 늘어날 수 있다. 대규모 유급이 현실화하면서 오는 2학기 수업을 위한 강의실은 물론 실습 병상까지 대혼잡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유급이 확정된 예과 1학년은 1626명으로, 내년 신입생 3058명과 성적 경고 대상 등을 포함하면, 내년 1학년 수업을 듣게 되는 인원은 7000여명에 달한다. 교육부는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신입생이 우선적으로 교육받을 수 있도록 대학과 협의할 계획이다. 자발적으로 수업을 거부한 선배들에 의해 내년 신입생의 학습권이 침해받지 않도록 하기 위한 조치다. 실제로 동아대와 전북대 등 일부 대학은 내년 신입생인 26학번이 우선 수강신청권을 갖도록 학칙 개정을 마친 것으로 전해졌다. 문제는 본과생 임상 실습이다. 교육부에 따르면 올해 1학기 본과 3·4학년 유급 대상은 2898명으로, 내년 본과 3·4학년으로 올라가는 인원 1700여명을 합하면 4500명이 넘는다. 반면 40개 의대의 임상 실습 정원은 약 2500명 수준에 그친다. 아주대 의대 교수회는 최근 성명을 내고 "예과생 강의는 대형 강의실을 확보해 어느 정도 대응할 수 있겠지만, 임상실습 교육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라며 "실질적이고 책임 있는 대책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우려했다. '수업 대란'이 현실화한 상황에서도 '강경파' 의대생들과 의료계의 반발은 거세지고 있다.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의대협) 소속 이선우 의대협 비상대책위원장 외 16인의 학생들은 지난 9일 오석환 교육부 차관과 김홍순 교육부 의대교육지원관(국장)에 대한 고발장을 고위공직자범죄수사서에 접수했다. 혐의는 강요,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등이다. 의대생 비대위는 "교육부가 대학 총장과 학장 등에게 수업 미참여 학생들을 제적하지 않으면 정부 지원을 중단하겠다는 협박성 압력을 행사했다"라며 "교육부가 학사 자율성을 침해하며 사실상 학생 '징계'를 유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의료계도 의대생 제적 조치가 현실화될 경우 추가 단체행동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을 내비치고 있다. 김택우 대한의사협회(의협) 회장은 "정부가 절차적 정당성도 없이 무리하게 의대생들을 압박하고 있다"라며 "단 1명이라도 제적되는 일이 발생하면 전체 회원의 총의를 모아 결코 좌시하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왜 전공의와 의대생들이 떠날 수밖에 없었는 지 근본적인 질문을 던져야 한다"며 "(의대생과 전공의가) 신뢰할 수 있는 교육환경과 미래 비전을 제시하지 못한다면, 대한민국 의료의 백년대계는 무너질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 이현진 메트로신문 기자 lhj@metroseoul.co.kr

2025-05-11 15:21:19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5월엔 온 가족 도서관·평생학습관으로”…서울교육청 문화 프로그램 ‘풍성’

서울시교육청(교육감 정근식) 산하 도서관과 평생학습관이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시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체험, 전시, 강연 등 다채로운 독서문화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11일 시교육청에 따르면, 관내 4개 도서관 및 평생학습관은 이달 창의적 체험과 예술적 탐구를 결합해 소통하고 교감할 수 있는 독서문화 프로그램을 선보인다. 프로그램을 살펴보면, 양천도서관은 오는 17일부터 내달 7일까지'보는 책 노는 책 만드는 책'을 운영한다. 송파도서관에서는 오는 24일 '5월 그림책 숲소풍', 영등포평생학습관에서는 24일 '옛 그림이 들려주는 조선 이야기'등이 진행된다. 이 외에도 동작도서관은 어린이 대상 '전자책 한 권 깊게 읽기' 프로그램을 오는 31일까지 연다. 또한 ▲고척도서관(시즌 쿠킹 클래스 - 수리취떡 만들기, 5.17.) ▲마포평생학습관(친구랑 같이 세계문화여행, 5.17.~6.28.) ▲노원평생학습관(우리, 같이 문화 다양성 생각 여행. 5.17.~5.24.) 등이 마련된다. 청소년을 위한 프로그램으로는 ▲강동도서관(강동 공방 - 도자기 피규어 만들기, 5.17.) ▲정독도서관(박물관으로 보는 영국사의 쟁점들, 5.22.~6.26.) ▲남산도서관(남산 문화살롱 - 바다유리 모빌 만들기, 5.28.) 등이 있다. 학부모 및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도 마련된다. 구로도서관에서는 12일부터 내달 2일까지 'AI 리터러시 시대, 필수 역량 기르기'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종로도서관(인간보다 더 똑똑한 기계들, 괜찮을까, 5.22.) ▲도봉도서관(손으로 그리는 한글, 캘리그라피, 5.24.~6.21.) ▲마포평생학습관 아현분관(애오개에오게 마을여행: 서강산책, 5.28.) 등이 운영된다. 프로그램 신청은 서울시교육청 평생학습포털 에버러닝(https://everlearning.sen.go.kr)에서 가능하며, 해당 기관별 홈페이지에서도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정근식 서울시교육감은 "도서관과 평생학습관이 책을 넘어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문화공간으로 자리매김하도록, 세대와 계층을 아우르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이현진기자 lhj@metroseoul.co.kr

2025-05-11 13:18:28 이현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