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韓정부-업계, 美트럼프 집무개시 전 반도체·자동차 등 통상해법 골몰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출범을 열흘여 앞두고, 정부와 민간이 합심해 미국의 관세정책 변화에 맞선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주요 통상 쟁점을 면밀히 점검하고, 수출실적 제고를 위해 관련 마케팅 및 각종 인증 등 지원 수단을 총동원한다는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9일 이승렬 산업정책실장 주재로 제1차 산업정책 민관협의회를 개최해, 반도체 등 11개 주요 업종의 산업전망·통상대응 등의 현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산업부는 "올해 우리 실물경제는 주력품목의 수출여건 악화 및 경쟁국의 시장잠식 및 기술추격에 더해, 국내 정치상황과 미국 신행정부 출범까지 겹치면서 대내외 불확실성이 그 어느 때보다 큰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이날 협의회에서는 올 한 해 정부와 민간이 원팀이 돼, 업종별로 중점 수행할 역할에 대해 점검했다"고 밝혔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 정책 등 주요 통상이슈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통상기능 역량을 강화해 예상되는 관세·비관세 정책 등에 전략적으로 대응한다"라는 방침을 정했다. 회의 참석자들은 민관이 힘을 모아 반도체, 자동차, 철강 등 주력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을 강구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또 수출활력 유지를 위해 마케팅·인증 등의 지원 수단 총동원에 나서가로 했다. 이승렬 산업정책실장은 "민관이 협업해야 대내외 불확실성을 슬기롭게 헤쳐나갈 수 있을 것"이라며 "이럴 때일수록 민관의 소통과 협력이 중요하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미국 신행정부 출범과 관련해, 우리 기업들의 대미 활동에 있어 우호적 환경이 조성될 수 있도록, 민간이 가용 네트워크를 총동원해 정부와 공동 대응해 줄 것을 당부했다. 산업부는 지난 8일 부처별 신년업무보고에서 ▲급변하는 통상환경에 대한 전략적 대응 ▲수출·외국인투자 상승모멘텀 유지 ▲주력산업의 위기극복 ▲안정적인 에너지 수출산업화 등을 주요 과제로 제시한 바 있다. 이날 협의회는 지난해 12월 산업부 장관 주재'민관합동 실물경제 비상 전략회의'의 후속으로, 민관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11개 주요 업종 협회 관계자가 참석했다. 첨단반도체를 비롯해 배터리, 바이오, 전자, 섬유, 제조자동차, 기계·조선 등이다. /세종=김연세기자 kys@metroseoul.co.kr

2025-01-09 15:38:09 김연세 기자
기사사진
밸류업 공시, 대형사에 집중…"실효성 높일 정책 필요"

지난해 시가총액 1조원 이상의 코스피 기업들이 밸류업 프로그램에 높은 참여율을 보였다. 다만 대형사와 일부 금융지주에 편중된 참여 구조와 형식적인 공시로 인해 실질적인 밸류업 효과는 제한적이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밸류업 공시가 시행된 이후 지난해 말까지 코스피는 85개사, 코스닥은 17개사가 밸류업 공시(본공시·예비공시 합계)를 해 코스피 대비 코스닥 기업의 밸류업 공시 참여가 미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 밸류업 공시기업(102사) 중 시총 1조원 이상 기업 비중이 63%(64개사)에 달할 정도로 대형사 중심으로 밸류업 공시에 나섰다. 코스피의 경우 시가총액 41%에 해당하는 상장사가 밸류업 공시에 나선 데 반해 코스닥에서 밸류업 공시 참여 기업의 시총 비중은 2%에 그쳤다. 지난해 밸류업 본공시 기업의 연초 대비 평균 수익률은 3.2%를 기록했다. 특히 코스피 본공시 기업의 주가는 연초 대비 평균 4.9% 상승, 코스피 지수 수익률(-9.6%)을 크게 웃돌았다. 코스닥 본공시 기업의 경우 주가수익률이 -9.4%로 코스닥지수 수익률(-21.7%)에 비해 상대적으로 나은 성과를 보였다. 지난해 주주환원 규모도 큰 폭으로 늘었다. 지난해 자사주 매입 규모는 18조8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10조6000억원 증가, 2009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자사주 소각도 13조9000억원으로 전년보다 9조1000억원 늘어났다. 상장기업의 현금배당 금액 역시 45조8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6.3% 증가했다. 거래소 관계자는 "밸류업 프로그램 시행 2년 차를 맞아 상장기업들의 참여를 확대하기 위해 중소 상장기업 대상 공시 컨설팅 강화와 세제 지원 등 다양한 노력을 지속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시장에서는 여전히 밸류업 프로그램의 실질적 효과에 대해 회의적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밸류업 공시에 참여한 102개사는 전체 상장사(2750개사)의 3.71%에 불과하고 자사주 매입 역시 삼성전자, 고려아연 등 소수 대형 기업에 집중된 데다 매입된 자사주가 소각으로 이어지지 않은 경우가 많아 주가 상승효과도 제한적이었다는 것이다. 증권업계 한 관계자는 "거래소는 나름 성과를 강조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시장에서 체감하는 효과는 미미했다"라면서 "고려아연, 두산밥캣, 이수페타시스 등과 같은 일부 사례는 밸류업 프로그램의 취지와 반대되는 행보를 보여 프로그램의 신뢰도를 떨어뜨렸다"라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밸류업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배당과 관련된 분리 과세와 주주의 비례적 이익을 보호하는 의무들이 이사들에게 부여하는 정책적인 지원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분석이다. 서지용 상명대 경영학과 교수는 "주주 환원을 적극적으로 하는 기업에 대해서 인센티브가 주어져야 하는데 구체적인 인센티브가 별로 없다는 것이 문제"라면서 "세제 혜택 등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올해 속도감 있게 추진돼야 밸류업 프로그램의 성과가 나올 수 있다"고 말했다. /원관희기자 wkh@metroseoul.co.kr

2025-01-09 15:37:07 원관희 기자
기사사진
[M-커버스토리]AI디지털교과서, '교육자료'로 지위 격하…찬반 논란 여전

오는 3월 도입 예정이었던 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AIDT)가 초중등교육법 개정안이 통과되면서 단순한 '교육자료'로 격하됐다. AI 교과서의 지위가 흔들리면서 교육계와 학부모, 에듀테크 업계 등 이해관계자의 반응이 엇갈리고 있다. ◆AI 디지털교과서, 교육 혁신의 도구에서 '교육자료'로 AIDT는 학생 개인의 학습 수준에 맞춰 학습이 가능하도록 AI 기술을 이용해 학습자료와 지원 기능을 실은 디지털 기반 교과서다. AI는 학습자의 학습 데이터를 분석해 자주 틀린 문항의 주요 개념을 다시 설명하거나 비슷한 문제를 제시하는 등 맞춤형 학습 정보를 제공한다. 9일 <메트로경제> 취재를 종합한 결과, AIDT는 법 개정으로 인해 필수 교재가 아닌 선택적 학습 보조 자료로 그 지위를 잃게 되었다. 이에 따라 도입 3개월을 앞두고 교육부의 계획에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교육부는 2023년 2월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방안' 발표 이후 2년 넘게 AIDT 도입을 준비해 왔다. 애초 계획은 2025년부터 초등학교 3~4학년, 중학교 1학년,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영어·수학·정보 과목에 AIDT를 우선 도입하고, 2027년까지 단계적으로 확대한다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지난해 11월 검정 심사를 통과한 12개사 76종의 AIDT를 공개하기도 했다. 하지만 지난달 26일 국회 본회의에서 AIDT를 참고서와 같은 '교육 자료'로 규정하는 초·중등교육법 개정안이 통과되면서 상황은 급변했다. 학교에서 의무적으로 선정해야 하는 교과서와 달리, 교육자료는 의무 채택 대상이 아니며 학교 재량으로 운영위원회를 거쳐 채택 여부를 결정한다. 이에 따라 각 학교는 AIDT 활용 여부를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게 됐다. 교육부는 이에 즉각 반발했다. AIDT가 시행 직전에 무산될 경우 현장 혼란과 학습 격차가 발생할 것이라 우려했기 때문이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개정법안 통과 직후 "학교 현장과 사회적 혼란이 우려된다"며 재의 요구를 건의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정부서울청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교육자료는 교과서와 달리 무상·의무 교육 대상이 아니어서 학생과 학부모에게 부담이 전가될 수 있다"며 "학교별 재정 여건에 따라 사용 여부가 달라져 학습 격차가 심화할 우려가 크다"고 주장했다. ◆교육감 성향에 따라 엇갈리는 도입 전망 AIDT의 활용 여부는 시·도 교육감의 성향과 정책 방향에 따라 크게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서울, 인천, 세종 등은 AIDT를 학교 자율에 맡기겠다는 입장을 밝힌 반면, 대구, 경기, 제주 등은 예산을 확보해 전면 도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정근식 서울시 교육감은 지난 7일 신년 기자회견에서 "AIDT를 교육자료로 먼저 효과를 검증한 뒤 교과서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겠다"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반면, 강은희 대구시 교육감은 "법적 지위와 관계없이 AIDT를 교과서처럼 활용할 계획"이라며 전면 도입 의지를 밝혔다. 이 외에 울산과 전남 등 4개 지역은 선도학교 중심으로 시범 운영할 방침이다. 나머지 6개 지역은 오는 17일 열리는 AIDT 관련 청문회 이후 상황을 지켜보며 판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교육계 "디지털 과의존·문해력 저하 우려" AIDT 도입에 대한 반대 여론도 만만치 않다. 일부 교육 전문가와 학부모들은 AIDT가 학생들의 집중력과 문해력을 저하시켜고 이로 인해 학습 효과가 떨어질 것이라 우려하고 있다. 교원단체들은 꾸준히 AIDT 도입을 반대해 왔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교사들은 지난달 10일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AI 디지털교과서 거부' 기자회견을 열고 "검증되지 않은 AI 디지털교과서 도입을 즉각 중단하라"고 밝혔다. 초·중등교육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직후 전교조 등 126개 교육 시민단체가 참여하는 'AI 디지털교과서 중단 공동대책위원회'는 성명을 내고 "초중등교육법 개정안의 국회 본회의 통과를 환영한다"고 말했다. 학부모들 역시 국민동의청원까지 제기하며 우려의 목소리를 높였다. 지난해 5월 올라온 AIDT 도입을 유보해달라는 국회 국민동의청원은 약 한 달 만에 5만6505명의 동의를 얻어 국회 교육위원회에 넘겨졌다. 이에 교육부는 "AI디지털교과서는 수업의 보조 도구일 뿐"이라며 "종이 교과서를 폐지하지 않는다"고 해명한 바 있다. 서울 양천구에서 중학생 자녀를 둔 한 학부모는 "스마트폰을 많이 사용하는데, 교과서까지 디지털 기기로 해야 할 이유를 모르겠다"며 "디지털 기기에 더 의존할까 걱정된다"고 말했다. 그러나 일부 학부모들은 AI 교과서가 학생들의 학습 격차를 줄일 기회라고 보고 있다. 서울의 한 학부모는 "지역과 학교에 따라 디지털 교육 혜택을 누리지 못한 학생들이 많았다"며 "AI 교과서는 모든 학생에게 평등한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에듀테크 업계는 AIDT 도입이 학습 생태계를 확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에듀테크산업협회는 국내 에듀테크 시장은 연평균 8.5% 성장해 내년에는 약 9조9833억원, 2026년에는 10조8319억원 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측했다. 이에 네이버클라우드, LG CNS 등 주요 IT 기업들은 AI 교과서 개발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 한국교과서협회도 회원사들이 네이버클라우드를 활용한 AIDT 서비스를 이해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협력하고 있다. 그러나 초·중등교육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자 교과서 개발 업체들은 "교과서 지위를 잃으면 업체들은 다 죽는다"며 우려를 표명했다. 업계 관계자는 "지난 2년간 수십억원, 많게는 수백억원을 들여가며 교과서를 개발했다"면서 교육자료로 격하될 경우 소송도 마다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 해외는 아날로그로 회귀중 해외에서는 오히려 디지털에서 아날로그 교육 방식으로 회귀하는 추세다. 스웨덴은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했다가 지난해 이를 폐지했으며, 이탈리아와 핀란드 등에서도 교실 내 모바일 기기 사용을 제한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영국 일간지 가디언에 따르면, 스웨덴은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했으나 2023년 이를 폐지하고 6세 미만 아동에 대한 디지털 기기 활용 교육을 완전히 중단했다. 대신 종이 교과서를 사용하고 종이에 글을 쓰는 등 아날로그식 교육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지나치게 디지털화된 학습 방식으로 인해 학생들의 학습 능력이 저하됐다는 비판에 따른 조치다. 실제 초등학교 4학년생 읽기 능력을 평가하는 '국제읽기문해력연구'(PIRLS)에 따르면 스웨덴 학생들의 평균 점수가 2016년 555점에서 2021년 544점으로 11점 하락했다. 이탈리아와 핀란드 등 일부 나라에서도 교육의 질을 유지하기 위해 교실 내 태블릿 PC와 같은 모바일 기기 사용을 금지하는 정책을 추진 중이다. ◆디지털교과서, '미래 교육의 나침반' 되려면 AI 디지털교과서가 '미래 교육의 나침반'이 되려면, 기대와 우려 속에서 균형점을 찾아야 한다. 전문가들은 AIDT의 효과성 검증과 부작용 방지를 위한 더 많은 연구와 준비가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또 예산 부담과 인프라 문제 해결이 우선되지 않으면 교육 현장에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한 교육 전문가는 "기술만으로는 학생들의 학습 효과를 보장하기 어렵다"며 "예산 문제와 인프라 개선 방안을 명확히 마련해 우려를 해소하고, 기술과 교육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구체적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국회는 오는 17일 AI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청문회를 열 예정이다. AI 교과서를 교육자료로 규정하는 법안이 이미 처리됐지만 도입 찬반 논란이 여전히 큰 만큼 그 효과성을 다시 검증해 보자는 취지다. 증인으로는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을 비롯한 교육부 관계자와 대구, 광주 등 일부 시도 교육감, AI 교과서 개발 업체 대표 등 18명이 채택됐다.

2025-01-09 15:36:04 이혜민 기자
기사사진
"축산 데이터를 한눈에" 미트박스글로벌, 대시보드 플랫폼 M.I.T 정식서비스 출시

축산물 직거래 온라인 플랫폼 기업 미트박스글로벌이 국내외 축산 현황 데이터를 제공하는 대시보드 플랫폼 M.I.T(Meatbox Insight Tech-Service, 이하 MIT)를 정식 출시했다. 미트박스글로벌은 지난해 상반기, 10여 년간 축적한 내부데이터와 노하우를 기반으로 MIT 베타서비스를 출시한 바 있다. 여기에 새로운 기능 추가 및 고도화, 신뢰할 수 있는 국내외 데이터 수집을 통한 국내외 생산, 수급, 기초 유통 및 소비 데이터를 확보하여 MIT 정식 서비스를 선보였다. MIT에서는 미트박스 플랫폼에서 활동하는 고객 데이터와 축산 시장 관련 데이터, 국내외 축산 현황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예측 데이터를 제공하는 플랫폼이다. 유통사들이 데이터 관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하고, 생산, 판매, 마케팅 등 축산 유통 프로세스 전반에서 전략 수립과 실행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MIT 정식 서비스는 전반적인 기능 고도화를 거쳐 사용자들이 보다 실질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 베타 서비스 대비 주요 업그레이드 요소로는 플랫폼의 모바일화, AI보이스 도입, AI 머신러닝을 기반으로 한 예측 모델, 국내외 공공기관 데이터 확보 등이 있다. 모바일화를 통해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데이터를 확인하고, 빠르게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했다. 또한 ChatGPT를 활용한 음성 AI 기능(AI Voice)을 도입해 데이터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상황에서도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즉각적으로 확인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더불어 미트박스 데이터 외에도 국내외 공공기관 데이터의 추가 확장, AI 머신러닝을 위한 엔진 고도화 통해 향상된 예측데이터를 제공한다. 특히 예측 데이터의 경우, 시세와 원가의 30일부터 추후 90일 후 데이터를 예측해 시장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분석하여 급격하게 변하는 축산 시장 상황에 유연한 대처가 가능하다. 미트박스를 이용하는 판매자의 경우 취급 상품의 거래 및 재고 현황을 파악하고 거래량 대비 상품·재고 관리, 시장 및 거래 트렌드, 지역별·고객별 분석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사업 운영 및 전략을 수립하는데 활용 가능하다. 대형 유통사의 경우 시세 현황 및 예측 등 다양한 데이터 확인 및 분석을 통해 사업 전략을 고도화할 수도 있다. MIT는 구독형 요금제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1번의 구독으로 1년간 유지되며, 필요 시 월단위로 구독 on·off 기능도 제공한다.·신원선기자 tree6834@metroseoul.co.kr

2025-01-09 15:35:32 신원선 기자
기사사진
[주말은 책과 함께] 자본을 읽자 外

◆자본을 읽자 에티엔 발리바르 외 4명 지음/진태원·배세진·김은주·안준범 옮김/그린비 오늘날 노동의 문제가 더욱더 심각하고 중요한 문제라는 진단에 동의한다면, 이를 가지고 마르크스가 씨름해 써낸 저작 '자본'을 읽지 않을 수 없다. 하지만 알튀세르가 지적하듯 '자본'을 그 자체로 읽는 것은 부족하다. 마르크스주의 철학 없이 '자본'을 본다면, 과거의 독자들처럼 교조화라는 잘못된 길로 빠져들 수 있다. 저자들은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자들이 철학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인해 '자본' 또한 올바른 방식으로 독해하지 못했다고 비판한다. 자연 과학이 과학 철학의 도움을 통해 이해되듯, 마르크스의 '자본' 또한 마르크스주의 철학을 통해 더욱 적합한 방식으로 받아들일 수 있고 그래야만 한다고 책은 강조한다. 1152쪽. 7만2000원. ◆쓰기의 미래 나오미 배런 지음/배동근 옮김/북트리거 2022년 12월, 오픈 AI가 챗GPT를 공개한 이후 생성형 인공지능은 우리 삶의 일부가 됐다. 첨단 IT 기술은 검색어 자동 완성 기능, 맞춤법 검사기 등 우리에게 익숙한 도구가 돼 편리함을 제공한다. 명실상부 인류의 진보라고 할 만한 효과적이고 실용적인 기능들이다. 우리는 이런 도구를 통해 생산성과 효율성 면에서 이득을 취하고, 금전적·시간적 재화를 더욱 필요한 곳에 사용할 수 있다. 빛은 그림자를 동반한다. '기만적일 정도로 편리한' 이 도구들을 계속 사용한다면, 인간 고유의 언어 능력은 어떻게 될까. 책은 기술 발전에 따른 언어와 글쓰기의 진화, 그리고 AI가 제시하는 복잡한 과제와 기회를 조명한다. 628쪽. 2만7800원. ◆새로고침 서양 미술사 세트 이진숙 지음/돌베개 저자는 예술가의 삶과 이야기를 통해 르네상스부터 현대 미술까지 이어지는 방대한 흐름을 '시대와 인간의 변화'라는 관점에서 새롭게 조망한다. '새로고침'이라는 제목은 기존 서양미술사를 나름의 관점에서 새롭게 써본다는 뜻과, 미술사를 뒤흔든 예술가들의 이야기를 담았다는 중의적 의미를 지닌다. 예술가들이 인간의 다양한 모습을 자기만의 방식으로 포착하고, 새로운 미학 속에서 드러낸 풍부한 인간의 모습이 곧 미술의 역사다. 미술사의 혁신을 이끌며 새로운 예술의 역사를 써 내려간 101인의 창조적인 예술가를 중심으로 그들의 작품, 시대적 과제, 창의적인 대응, 개인적인 삶의 궤적, 독창적인 예술 세계를 탐구한다. 1534쪽. 9만9000원.

2025-01-09 15:33:59 김현정 기자
기사사진
[주말은 책과 함께] 너무 시끄러운 고독

보후밀 흐라발 지음/이창실 옮김/문학동네 인간은 시간의 힘에 짓눌려 소멸하지만, 고전은 세월 앞에 무릎 꿇지 않고 시간의 압력을 견뎌내며 끊임없이 재생산된다. 설령 책이 불에 탄다 하더라도 고전은 불사조처럼 재 속에서 부활한다. 검은 잿더미는 거름이 돼 나무에 흡수되고, 이는 다시 고전의 뼈와 살이 될 재료로 쓰인다. 체코의 국민작가로 불리는 보후밀 흐라발이 쓴 '너무 시끄러운 고독'은 고전의 저력을 보여주는 명작이다. 폐지 압축공인 주인공 한탸는 소설의 제목처럼 '너무 시끄러운 고독' 속을 살아가는 인물이다. 그의 동료는 말 없는 기계 한 대. 한탸는 압축기와 함께 매일 머리 위로 쏟아지는 폐지와 씨름한다. 한탸가 압축기로 사형 선고를 내리는 종이 중에는 그가 사랑해 마지 않는 책들이 껴 있다. 겉으론 잔잔한 삶을 살아가는 것처럼 보이지만 속은 그 누구보다도 시끄럽기에 그의 인생은 하루도 조용한 날이 없다. 폐지 압축공으로 일하며 '뜻하지 않게' 교양을 쌓게 된 한탸는 자신의 업에 대한 죄의식을 갖게 된다. 그가 숭배하는 대상인 책('파우스트', '돈 카를로스', '히페리온',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등)을 파괴하는 일로 돈을 벌기 때문이다. 한탸는 고기 싼 종이에 말라붙은 피를 빠는 파리처럼, 책에 얼굴을 파묻고 괴테, 실러, 횔덜린, 니체의 사상을 게걸스럽게 빨아들인다. 그는 자신의 직업이 썩 맘에 들진 않지만, 책에 푹 빠져 다른 차원의 세계를 여행하는 황홀한 경험을 낙으로 근근이 살아간다. 손에 책만 쥐여주면 행복해하는 단순한 인간, 한탸에게도 존재의 위기가 찾아온다. 그의 압축기 20대 분량의 일을 해내는 거대 기계가 등장한 것. 수압 압축기가 있는 작업장을 찾은 한탸는 기계를 보고 금세 겁에 질린다. 그는 저 거대한 압축기가 자신과 같은 늙은 압축공들을 몰아낼 것이라는 사실을 직감한다. 작업장을 둘러보던 한탸는 노동자들이 손에 낀 장갑을 보고 모욕감을 느낀다. 그는 종이의 감촉을 더 잘 느끼고 두 손 가득 음미하기 위해 절대로 장갑을 끼지 않았는데, 이곳에선 그런 기쁨에, 폐지가 지닌 비길 데 없이 감각적인 매력에 아무도 마음을 두지 않았다. 책 속에서 근본적인 변화의 가능성을 찾겠다는 열망으로 그가 종이 더미에서 구해낸 장서들과 함께 한탸는 자신의 생이 끝장났음을 깨닫는다. 결국 그는 폐지가 가득한 압축통에 자신의 몸을 넣고 녹색 버튼을 누른다. 압축통 벽에 눌려 다리와 턱이 들러붙고, 책의 단면이 한탸의 늑골을 뚫고 들어온 마지막 순간, 그는 자신이 감탄했던 탈무드의 구절을 떠올렸을지도 모른다. "우리는 올리브 열매와 흡사해서, 짓눌리고 쥐어짜인 뒤에야 최상의 자신을 내놓는다." 144쪽. 1만2000원.

2025-01-09 15:33:27 김현정 기자
기사사진
[CES 2025] Choi Tae-won, After Meeting with Jensen Huang, "Development Speed Now Faster Than NVIDIA's Demands"

Choi Tae-won, Chairman of SK Group, met with Jensen Huang, CEO of NVIDIA, at the world's largest IT and technology exhibition, CES 2025. Chairman Choi revealed that through this meeting, he confirmed that SK hynix's development speed is surpassing NVIDIA's required level. On January 8 (local time), Chairman Choi Tae-won, attending CES 2025, held a press conference with domestic reporters and answered question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K hynix and NVIDIA. This marks Chairman Choi's third consecutive year attending CES in person. In response to a question about additional discussions on HBM during his meeting with Jensen Huang, Chairman Choi stated, "I confirmed that SK hynix's development speed is now slightly ahead of NVIDIA's. In the past, we were asked to speed up development, but now the tables have turned." He also added that the supply quantity for this year has been fully decided by the working-level teams. He continued, "We exchanged views on physical AI, such as Cosmos™, and mentioned that it would be great to collaborate in the future. I also shared Korea's manufacturing know-how." Cosmos™ is the physical AI development platform announced by NVIDIA at CES this year. It is composed of cutting-edge generative World Foundation Models (WFM), advanced tokenizers, guardrails, and an accelerated video processing pipeline. On that day, Chairman Choi spent a significant amount of time explaining the direction of SK Group's AI business, including AI data centers. Chairman Choi stated, "At this year's CES, it was clear that AI has been integrated into everything," and added, "We plan to focus on AI data center-related businesses as a key initiative." Regarding SK's plans to expand into the U.S., he explained, "The AI data center-related industry is connected not only to the power plant business but also to energy issues across all stages, including semiconductors and cooling (thermal management)." He further stated, "I believe that there are many points of intersection between SK's portfolio and the U.S. market." At this year's CES, SK Group set up a booth under the theme "Creating a Sustainable Future with Innovative AI Technology," showcasing AI data center solutions, AI semiconductors including HBM3E 16-layer chips, and SKC glass substrate technology. Chairman Choi visited the booth and, holding a model of the SKC glass substrate, smiled and said, "I just sold this." ChatGPT를 사용하여 번역한 기사입니다.

2025-01-09 15:32:50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CES 2025] 車업계, 미래 모빌리티 핵심은 '교감'…다양한 기술의 확장

글로벌 모빌리티 기업들의 올해 관심사는 인간을 향한 기술을 담은 '휴먼 테크'다. 8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막한 세계 최대 전자·기술 전시회 'CES 2025'에서 글로벌 모빌리티 기업들은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기술을 비롯해 첨단 모빌리티 기술을 공개했다. 자동차가 기계중심에서 소프트웨어중심(SDV)으로 진화하면서 다양한 첨단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노력이 담겨있다. 현대차그룹 계열사 가운데 유일하게 참가하는 현대모비스는 기존 차량용 디스플레이 개념과 틀을 깨는, 이른바 '디스플레이 없는 디스플레이' 기술을 선보였다. 차량 윈드실드(앞 유리창)를 활용한 헤드업 디스플레이(HUD)인 '홀로그래픽 윈드실드 투명 디스플레이' 기술은 물리적인 디스플레이 장치 없이 차량 유리창이 그대로 스크린이 된다. 기존 운전석과 조수석에 장착됐던 디스플레이 장치는 모두 사라지고 대신 앞 유리창 하단에 계기·주행 정보, 내비게이션, 음악 플레이리스트 등 각종 콘텐츠가 구현된다. 광학 소자(HOE)를 활용한 특수 필름이 프로젝터가 투사한 이미지와 영상을 빛의 회절 원리를 이용해 차량 운전자나 조수석 탑승객의 눈에 효율적으로 전달해 준다. 이를 통해 밝은 환경에서도 선명한 화면을 제공하며 운전석에서는 조수석 화면이 보이지 않는 프라이버시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다. 현대모비스는 이 기술 이외에도 휴먼 센트릭 인테리어 라이팅 시스템, 뇌파 기반 운전자 부주의 케어 시스템 등을 선보였다. 특히 운전자의 뇌파 정보를 분석해 졸음 운전 등 다양한 상황에서의 운전자 상태를 실시간 체크하고 여러 방식으로 경고해주는 엠브레인 기술은 사고를 방지하는데 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BMW 역시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기술 '파노라믹 아이드라이브'를 선보였다. 대시보드 앞부분에 긴 디스플레이 패널을 배치하는 기술로, 기존 헤드업디스플레이(HUD) 등을 대체할 수 있다. 일반 HUD보다 다양한 정보를 보다 넓은 영역에서 전달해 운전자 주행을 돕는다. 삼성전자 자회사 하만은 자동차를 지능적·공감적 동반자로 변화시키는 혁신 '레디(Ready)' 기술을 공개했다. 하만은 운전자들이 자동차에 대한 기대치를 성능·안전에 국한하지 않고 매일 사용하는 스마트 기기와 유사한 통합적이고 개인화된 경험을 요하고 있다는 데 착안했다. 하만은 운전자의 요구를 이해하고 교감해 차량 내 환경을 조성하는 ▲레디 업그레이드 ▲레디 케어 ▲레디 디스플레이 등 기술을 선보였다. 지난해 CES에서 하만이 삼성전자와 합작해 선보인 레디 케어는 운전자 눈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심박·호흡 등 생체 신호를 비접촉식으로 측정해 전방 도로에 대한 집중도와 주의 수준을 판단한 후 운전에 개입하는 기술이다. 올해 공개된 하만의 레디 기술은 몰입형 오디오를 위한 시트소닉, 증강 현실 디스플레이를 위한 레디 비전, 외부 세계와의 유비쿼터스 연결을 위한 레디 커넥트와 결합해 한층 인간 중심적으로 진화했다. 제품에 생각·느낌·음성을 불어넣었다는 게 하만의 설명이다. 보쉬는 소프트웨어와 AI를 통해 사람들의 삶을 더 안전하고, 더 효율적이고, 더 편리하게 만들어 주는 제품과 솔루션을 선보였다. 대표적으로 최근 자동차의 부드러운 제동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자동차에 프로그래밍했다. 이는 교통 체증 상황에서 운전자 또는 멀미하는 승객에게 유용하다는 게 회사의 설명이다. 생성형 AI를 사용해 자율 주행 기능을 개선하는 방법도 조사하고 있다. 도로에 눈과 같은 악천후 조건에서 생성형 AI는 카메라 또는 라이더 센서를 통해 기록된 주행 경험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2025-01-09 15:20:49 양성운 기자
기사사진
지난해 ETF 수익률·점유율 모두 '쑥' 끌어올린 한국투자신탁운용

상장지수펀드(ETF) 상품에 대한 투자 규모가 꾸준히 늘어나는 가운데, 국내 상장 ETF 중 한국투자신탁운용(한투운용)의 ETF 수익률과 점유율 상승세가 국내 자산운용사들 중에서도 가장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국내 상장 ETF 중 지난해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한 ETF는 'ACE 미국빅테크TOP7 Plus레버리지(합성) ETF'로 집계됐다. 해당 ETF는 최근 6개월간 42.91%의 수익률을 기록한 것에 이어 2024년 1년간 197.07%에 달하는 수익률을 달성했다. ACE 미국빅테크TOP7 Plus레버리지(합성) ETF 외에도 ▲ACE 미국주식베스트셀러 ETF ▲ACE 미국빅테크TOP7 Plus ETF가 각각 84.02%, 82.06%로 2024년 연간 수익률 10위권 내 안착했다. 수익률 상위 10개 종목에 3개 이상의 상품을 올린 것은 한투운용이 유일했다. 아울러 ETF 시장에서 ACE ETF의 점유율 상승세도 국내에서 ETF 사업을 영위 중인 26개 운용사 중 가장 큰 성장세를 기록했다. ACE ETF의 시장 내 점유율은 지난 2023년 말 4.92%에서 2024년 말 7.56%로 2.64%포인트 증가했다. 순자산액 또한 2023년 말 5조7014억원에서 2024년 말 13조1256억원으로 130.22% 증가했다. 한투운용 측은 "ACE ETF의 성장세는 적극적인 신규 상품 출시 덕분으로 풀이된다"며 "한투운용은 지난 2024년 한 해 동안 21개의 신규 상품을 선보였다"고 언급했다. 이는 한투운용이 ETF 상품으로 처음 출시한 2008년 이후 가장 많은 연간 상장 건수다. 21개 상품 중에는 국내 최초 데일리옵션을 활용한 커버드콜 ETF 3종을 비롯해 빅테크 기업의 밸류체인에 투자하는 ETF 4종, 아시아 최초로 선보인 인도 액티브 ETF 2종 등이 포함돼 있다. 기존 상품이 보인 우수한 성과에 신규 상품 공급이 더해지며 개인투자자 순매수 또한 지속 유입됐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ACE ETF로 지난 한 해 동안 유입된 개인투자자 순매수액은 2조7645억원으로, 이는 2024년 국내 상장 ETF 전체 개인순매수액 중 14%에 달한다. 남용수 한투운용 ETF운용본부장은 "ACE ETF는 지난 2024년 한 해 동안 적극적인 신규 상품 공급과 함께 투자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담은 콘텐츠 제공을 지속해왔다"며 "올해도 투자자에게 필요한 신규 ETF와 투자 콘텐츠를 선보이는 동시에 기존 상품의 안정적인 운용에도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허정윤기자 zelkova@metroseoul.co.kr

2025-01-09 15:18:47 허정윤 기자
기사사진
금감원,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금융교육 적극 지원"

금융감독원이 금융교육을 통해 금융서비스 이용에 불편을 겪는 북한이탈주민의 한국 사회 정착을 활성화할 계획이다. 금융감독원은 북한이탈주민정착지원사무소(하나원), 한겨레중고등학교, 여명학교와 통일문화연구원은 북한이탈주민의 금융역량 강화를 위한 다자간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북한이탈주민이 대한민국 공동체의 일원으로 당당히 자리매김하는 데 있어 금융교육은 매우 중요하다"며 "특히 학교 교과과정을 통해 탈북 청소년 대상 정례화된 금융교육 기회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기쁘게 생각한다. 앞으로 금융교육을 통한 북한이탈주민 한국사회 정착 지원 등에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금감원은 협력기관과 함께 모든 북한 이탈주민이 입국 후 받아야 하는 금융 교육 시행 횟수를 기존 대비 확대할 계획이다. 탈북 청소년 금융교육 강화를 위해 북한이탈 청소년 중점 학교인 한겨레중고등학교와 여명학교 교과과정을 통해 정례화된 금융교육을 제공한다. 이번 협약에는 북한이탈주민의 눈높이에 맞는 금융교육 자료를 제작·배포해 안정적인 사회 정착을 유도한다는 내용도 담겼다. 탈북과정에서의 학력 결손 등으로 기존 교재를 이해하기 어려운 북한이탈주민을 위해 쉽고 간단한 내용의 리플렛을 제작해 배포할 방침이다. 이승신 하나원장은 "앞으로도 탈북민의 안정적인 사회정착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기관들과 상호 협력할 것"이라면서 "탈북민들이 우리 국민으로, 우리 이웃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보다 나은 탈북민의 정착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2025-01-09 15:18:45 허정윤 기자
기사사진
조주완 LG전자 사장, "불확실성, 대응 전략 있다…구독 사업 3배 확대”

"불확실성의 지속으로 이제는 다른 차원의 정교한 실행 전략이 필요한 상황이다. LG전자는 어떤 시나리오든 다 준비해놨다." 조주완 LG전자 최고경영자(CEO)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현지시간 8일(현지시간) 기자간담회를 열고 2025년도 사업 전략을 소개하며 이같이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는 조 CEO를 비롯해 류재철 HS사업본부장(사장), 박형세 MS사업본부장(사장), 은석현 VS사업본부장 등이 참석했다. 조주완 사장은 트럼프 2기 출범에 따른 경영 불확실성과 관련해 "어느 해보다 앞이 잘 보이지 않는, 어렵다는 말로도 표현하기 힘든 고단한 한 해가 될 것"이라면서도 "여우 '지혜 주머니'처럼 LG전자만의 플레이북을 갖고 시나리오에 따른 대응 방법을 준비해놨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외 불확실성에 전략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준비를 치밀하게 짜놓았다고 밝혔다. 글로벌 시장과 경쟁환경을 경영활동의 상수(常數)로 두고 실행 전략을 정교화하는 데 주력하며 사업의 '구조적 경쟁력'을 확보하고 '질적 성장'을 가속화하겠다는 목표다. 구체적으로 LG전자는 웹(web)OS 광고 등을 포함한 플랫폼 기반 서비스사업 매출을 2030년까지 현재의 5배 이상으로 늘린다는 목표다. 전사 영업이익의 20%를 담당하는 핵심 사업모델로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구독사업 매출을 2030년까지 3배이상 늘리겠다는 목표다. 최근 LG전자의 구독 사업은 계속해서 고속 성장 중이다. 지난해 구독 사업 매출액은 직전년도 대비 75% 이상 성장해 2조 원을 육박했다. 당초 목표였던 1조8000억원을 훌쩍 넘겼다. 아울러 B2B 매출 비중을 오는 2030년까지 45%까지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2021년 27% 수준이던 B2B 매출 비중은 지난해 말 기준 35%까지 올라갔다. LG전자는 B2B 사업 가속화 차원으로 전장 사업에 이어 AI 시대 고속 성장이 전망되는 냉난방공조(HVAC) 사업에 본격 드라이브를 건다. 조 사장은 인도 시장에서 대해서는 자신감을 내비쳤다. 그는 "인도에서 LG전자는 냉장고와 세탁기 등 생활가전을 비롯해 TV 시장에서도 1위를 달리고 있다"며 "앞으로 인도의 국민브랜드가 되고 싶다"고 했다. 올 상반기 예정된 LG전자 인도법인 IPO(기업공개)와 관련해서는 "인도법인의 IPO는 인도 시장의 잠재력을 보고 하는 것이고 자금 유입은 부가적인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인도는 잠재력이 큰 시장"이라며 "에어컨 보급률이 10%가 안 돼 더운 날씨에 많은 사 람들이 죽어가고, 인구 70~80%가 냉장고·세탁기 없이 살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많은 공장을 지어 현지 완결형 사업을 확대하겠다는 생각도 있다"고 밝혔다. 조 사장은 중국 기업의 공세에 대해 사업 잠재력 극대화와 플랫폼 기반 서비스사업 확대, B2B 사업 가속화 등을 통해 돌파구를 마련하겠다는 방침이다. 조 사장은 중국 가전 업체들의 성장과 관련해 "그동안 위협에 대한 인식 단계였다면, 이제부터는 대응을 위한 실행 단계로 옮겨야 한다"는 견해를 밝혔다. LG전자는 이날 중국 가전과의 경쟁 방향도 구체적으로 언급했다. 특히 중국 위협이 거센 초대형 TV 사업과 관련해 박형세 LG전자 MS사업본부장 사장은 "중국 업체들의 TV가 110형, 116형으로 커졌는데 제품을 보고 많이 놀랐다"며 "(LG전자도 어떻게) 쫓아갈 것인지 스터디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100형 이상으로 만들경우, TV를 실내로 가져올 때 문을 뜯지 않고 수용 가능한 가옥 구조가 전 세계적으로 몇 가구나 될 지 고민하고 있다"며 LG전자도 올해 100형 제품을 출시하는데, 고객 관점에서 의사 결정을 할 생각"이라고 소개했다. 마지막으로 로봇을 기반으로 한 신사업 개발에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조 사장은 "로봇은 확실한 미래"라며 "가사 노동해방을 위해 휴머노이드 로봇을 개발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기존 물류, 배송, 서빙용 로봇에 더해 '로봇의 끝판왕'으로 불리는 휴머노이드까지 내놓겠다는 것이다. LG전자는 휴머노이드 로봇의 초기 버전인 인공지능(AI) 에이전트 'Q9'을 2~3월 '베타 테스트'를 거쳐 연말께 출시할 계획이다.

2025-01-09 15:18:43 구남영 기자
기사사진
서울 집값 2주 연속 보합...매수심리 12주 연속 하락

서울 지역의 매매가격이 2주 연속 보합세를 나타냈다. 매매수급지수는 12주 연속 하락했다. 9일 한국부동산원의 '주간아파트동향'에 따르면 1월 첫째 주(6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보합(0.00%)을 기록했다. 지난해 3월 넷째 주(0.01%) 이후 지속된 상승세가 12월 마지막 주 꺾인 후 2주 연속 보합세다. 권역별로는 강북권에서 중랑구(0.02%→-0.02%)가 면목·신내동 구축, 동대문구(-0.02%→-0.02%)는 전농·답십리동 위주로 하락했다. 반면 용산구(0.02%→0.04%)는 도원·이촌동 주요단지, 성동구(0.02%→0.04%)는 금호·행당동, 광진구(0.02%→0.03%)는 광장·자양동 위주로 상승했다. 강남권에서 강동구(-0.02%→-0.02%)는 천호·성내동, 관악구(-0.02%→-0.02%)는 봉천·신림동 위주로 하락했다. 반면 서초구(0.03%→0.03%)는 서초·반포동, 송파구(0.06%→0.03%)는 송파·오금동 재건축 추진 단지, 영등포구(0.01%→0.02%)는 여의도·신길동 위주로 상승세가 지속됐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에 따르면 동대문구 전농동에 위치한 '래미안크레시티'는 지난달 전용면적 59㎡가 11억2000만원에 거래됐다. 전달 매매가격(11억8000만원) 대비 6000만원 하락했다. 서초구 서초동에 위치한 '삼풍아파트' 역시 12월 전용면적 79㎡가 22억9000만원에 거래되면서 지난 7월(24억8000만원) 대비 1억9000만원 떨어진 가격에 거래됐다. 1월 첫째 주(6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97.0으로 전주(97.3)보다 0.3포인트 내렸다. 등락을 반복하다 지난해 10월 셋째 주부터 12주 연속 지수가 하락세다. 매매수급지수는 한국부동산원이 중개업소를 대상으로 설문해 수요와 공급 비중(0~200)을 지수화한 수치다. 100을 기준으로 0에 가까울수록 집을 팔려는 사람이, 200에 가까울수록 사려는 사람이 많은 것을 의미한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재건축 추진 단지 등 일부 선호단지에서는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으나 그 외 단지에서는 매수 관망세가 지속됐다"며 "대출규제 등 영향으로 지난주와 동일하게 보합을 유지했다"고 설명했다. /전지원기자 jjw13@metroseoul.co.kr

2025-01-09 15:12:38 전지원 기자
기사사진
환경 국가표준(KS) 166종, 국제표준과도 맞춰 국가경쟁력 제고

환경분야 국가표준(KS) 166종을 국제표준과 일치화하는 작업이 완료됐다. 정부가 국내 원천기술의 국제표준 선점을 지원하고 국가경쟁력 강화를 도모한다는 계획이다.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지난 한 해 동안 환경분야 국가표준(KS) 166종의 국제표준(ISO) 일치화 및 국내 원천기술의 고유표준 제정을 완료했다고 9일 밝혔다. 이를 통해 국내 환경기술이 국제사회에 진출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조성했다고 설명했다. 국가표준(KS)은 정확성, 합리성 및 국제성을 높이기 위해 국가적으로 공인된 과학기술 분야의 공공기준을 일컬는다. 국제표준(ISO)은 국가 간 물질이나 서비스의 교환을 위하여 국제적으로 공인된 표준을 뜻한다. 지난해 국제표준에 부합한 국가표준 166종에는 ▲생분해성 수지의 재질 확인 시험방법 ▲페트병 플레이크 품질 시험방법 ▲제품에 사용된 재활용 소재의 추적성 관리 방법 ▲제품시스템에서 제품 내 함유 우려 화학물질 관리 ▲수질 중 냄새물질 시험분석 방법 ▲배출가스의 오염물질 측정방법 등 다양한 환경분야의 국가표준이 포함된다. 물환경 분야 54종과 토양 분야 18종, 대기환경 분야 8종, 대기배출원 분야 7종, 실내공기질 분야 14종, 지하수 분야 4종, 상하수도 서비스 분야 5종 등이다. 이들 중 '생분해성 수지의 재질 확인 시험방법'은 시험에 소요되는 기간과 비용을 대폭 절감시켜 기업의 경제적 부담을 낮췄다. '페트병 플레이크 품질 시험방법'도 국내 재활용 체계에서 점검 및 관리해야 할 품질항목과 시장에서 요구하는 재활용품 품질수준을 맞춤으로써 폐플라스틱 고부가가치 자원화 촉진에 도움을 줬다. 또 '제품에 사용된 재활용 소재의 추적성 관리 방법'과 '제품시스템에서 제품 내 함유 우려 화학물질 관리'는 재활용 소재 및 제품에 함유된 화학물질에 대해 원료 취득부터 제품 판매 시까지 철저히 관리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지속가능한 순환경제사회를 위한 자원재활용 정책 지원에 기여할 것이란 전망이다. 환경과학원은 올해 국가표준 66종에 대해서도 수요자 활용도 조사 및 국제표준 변경사항 등을 산업표준심의회의 검토를 거쳐 국제표준과 일치화할 계획이다. /세종=김연세기자 kys@metroseoul.co.kr

2025-01-09 15:12:36 김연세 기자
기사사진
토스, '토스인증서' 누적 발급 2600만건 돌파

모바일 금융 서비스 '토스'를 운영하는 비바리퍼블리카는 토스인증서 누적 발급이 2600만건을 돌파했다고 9일 밝혔다. 이는 지난 2021년 11월 토스가 전자서명인증사업자 지위를 획득한 이후부터 지난해 말까지 발급된 수치다. 토스는 핀테크 업계에서 유일하게 전자서명인증사업자와 본인확인기관 지위를 보유 중이다. 토스인증서를 통해 ▲전자서명(금융 거래 및 전자 계약 등에 서명) ▲본인확인(온라인 회원가입, 결제 전 인증 등) ▲간편인증(공공서비스 이용 등) 등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토스인증서는 현재 정부24, 대한민국법원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 한국장학재단 등 공공서비스를 비롯해 토스뱅크, 지마켓, LGU+ 등 금융 및 생활 영역까지 3000여 제휴처에서 사용 가능하다. 오는 15일부터 실시되는 연말정산에도 활용할 수 있다. 아울러 토스는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인증으로 PCI-DSS 최고 등급, ISO 27001, ISO 27701, ISMS-P 등을 획득했고, 토스인증서 활용 내역도 고객이 직접 토스 앱에서 조회할 수 있도록 해 정보보호 수준 및 투명성을 높였다. 토스 관계자는 "토스인증서는 발급 한 번으로 간편인증부터 전자서명, 본인확인까지 가능한 편의성을 기반으로 공공, 금융, 생활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이 가능하다"며 "업계 최고 수준 보안으로 신뢰도 높은 인증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안승진기자 asj1231@metroseoul.co.kr

2025-01-09 15:11:04 안승진 기자
기사사진
케이뱅크, '용돈받기' 서비스 오픈

케이뱅크는 인공지능(AI) 풀퍼널 마케팅 플랫폼 버즈빌과 제휴해 일상 속 간단한 활동이 즐거운 보상이 되는 '용돈받기' 서비스를 선보인다고 9일 밝혔다. 케이뱅크의 '용돈받기'는 SNS 구독, 페이지 방문, 보험 조회 등 제휴사가 제공하는 다양한 미션에 참여해 리워드를 받는 서비스다. 유튜브 구독, 인스타그램 팔로우 등과 같은 간단한 미션을 비롯해 회원가입, 보험금 조회, 상담 신청 등을 수행하면 보상을 받을 수 있다. 버즈빌에 따르면 버즈빌 기존 제휴사에서 미션을 수행하고 리워드를 받은 유저 중 매월 30만명 이상이 월 평균 5700원의 수익을 얻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션을 수행하지 않아도 리워드를 지급하는 '매일 용돈 받기' 기능도 제공한다. 미션 수행과 별개로 매일 1회 '용돈 받기' 버튼을 클릭하면 랜덤으로 리워드를 받을 수 있다. 리워드는 미션 수행 이후 케이뱅크 계좌로 실시간 입금되며, 유효기간이나 사용처 제한 없이 즉시 사용 가능한 현금으로 제공된다. 케이뱅크 입출금통장 또는 'Hi teen'을 보유한 만 14세 이상 고객이라면 누구나 참여 가능하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버즈빌과 협업해 케이뱅크 앱에서 매일 간단한 미션을 수행하고 쏠쏠한 보상을 얻는 서비스를 선보였다"며 "고객이 앱을 이용하는 것만으로도 혜택을 얻는 앱테크 기능을 지속 강화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안승진기자 asj1231@metroseoul.co.kr

2025-01-09 15:09:02 안승진 기자
기사사진
BNK경남은행, '경남BC카드 차량구매 캐시백·무이자할부'

BNK경남은행은 '경남BC카드 차량구매 캐시백 및 무이자할부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9일 밝혔다. 이벤트에 따라 BNK경남은행은 오는 31일까지 경남BC카드 회원(개인·기업)이 신차 또는 중고차를 구매하면서 가상계좌 입금 서비스를 이용하면 금액 및 대상에 따라 최대 1.4%의 캐시백 혜택을 제공한다. 개인카드 고객은 구매 금액 2000만원 이상 시 최대 1.4%, 기업카드는 ▲개인사업자 ▲법인(소기업) 등 대상에 따라 결제금액의 최대 1.2%를 캐시백 받을 수 있다. 또한 업종별 가맹점에서 개인카드를 이용하면 오는 3월 31일까지 무이자할부 혜택도 제공된다. 2~3개월 무이자할부 혜택이 제공되는 업종은 국세, 지방세, 4대보험, 차량정비·유지, 가구, 가전, 건강식품, 대형마트·슈퍼, 숙박, 약국, 학원·교육 등이다. 병의원ㆍ기타의료, 손해보험, 백화점, 여행, 인터넷 등 업종에서는 2~4개월 무이자할부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이번 차량구매 캐시백 및 무이자할부 혜택은 카드 전월 실적과 상관없이 할인 혜택이 적용된다. 이동원 BNK경남은행 결제사업부 부장은 "차량 구매를 계획하고 있는 고객들을 비롯한 경남BC카드 회원들이 이번 이벤트로 많은 혜택을 받으실 수 있길 바란다"며 "2025년에도 고객들의 건전하고 즐거운 소비생활을 지원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혜택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안승진기자 asj1231@metroseoul.co.kr

2025-01-09 15:07:59 안승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