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철강/중공업
기사사진
[르포] 망원시장을 가다…"추석은 여전히 전통시장이 대세"

서울 마포구 망원시장, 추석 분위기 물씬 명절엔 여전히 전통시장 찾는 손님 많아 차례상 간소화로 예전만 못하단 목소리도 "나주 배가 한 개당 이천원 한 개당 이천원!" 추석을 한 주 앞둔 주말, 서울 마포구 망원시장은 장을 보는 인파로 가득했다. 시장 곳곳에 한가위를 맞아 수확한 농산물, 제사상에 올릴 조기, 깐 밤, 전 등이 보였다. 제수용품뿐만 아니라 선물용 한과나 과일 세트도 있었다. 장바구니를 끌고 이곳 저곳에서 물건을 들여다보는 사람들이 가게 앞을 잔뜩 메웠다. 이들은 꼼꼼히 사과와 배를 들여다보고 하나하나 골라 바구니에 담았다. 한가위 대목을 앞두고 전통시장은 활기를 띠었다. 한 정육점에서는 추석맞이 전 품목 세일을 하기도 했다. 망원시장만의 추석맞이 이벤트도 진행됐다. 5만원 이상 구매 고객 또는 5000원 이상 제로페이 결제 고객에게 쇼핑캐리어를 증정하고, 추첨을 통해 송편도 나눠주는 등 손님의 발걸음을 이끄는 다양한 행사가 가득했다. 추석을 맞아 떡집은 송편을 늘어놓았다. 집에서 송편 빚는 집을 위해 반죽을 판다는 문구도 걸려 있었다. 추석 전이라 그런지 송편에 손을 뻗는 손님이 많았다. 망원동에 위치한 솔나무떡집 사장님은 "명절은 계속 괜찮다. 평소보다는 훨씬 장사가 잘돼서 팔만하다"고 말했다. 명절마다 전통시장을 찾는 인파로 가득한 이유는 가격경쟁력 때문이었다. 특히 차례상에 오르는 채소류나 육류, 과일류 등 식품류는 마트에 비해 전통시장이 저렴하다. 망원시장에서 20년 넘게 방앗간을 운영하는 고종순(56) 씨는 "아무래도 일반 전통시장에 농산물이 많고, 매일매일 물건도 들어오고, 또 에누리도 있어서 저렴하게 살 수 있다"며 "마트는 공산품이 싸지만, 전통시장은 농수산물 가격에 이점이 있어 좀 번거로워도 지하철을 타고 핸드캐리어를 끌고서라도 전통시장을 찾는 단골들이 아직은 많다"고 설명했다. 고 씨는 "망원시장은 워낙 저렴해서 추석이나 설 같은 대목에는 밀려다닐 정도로 사람이 많이 온다"며 "이 동네 토박이로 초등학교부터 나왔고, 우리 집은 아버지 대부터 40년 넘게 이어지고 있는데 명절 손님은 아직 떨어진 적 없다"고 밝혔다.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에 따르면 4인 기준 제수용품 비용은 전통시장이 평균 22만6832원으로 대형마트의 30만3034원보다 7만6202원 더 저렴하다. 전통시장을 이용하면 대형마트보다 25% 더 싸게 차례상을 올릴 수 있다. 품목별로 보면 채소류는 51.6%, 육류는 30.3%, 수산물류는 25.9%, 과일류는 10.1% 더 싼 가격으로 전통시장에서 살 수 있다. 실제 시장 곳곳에는 '인근 대형마트와 비교해 보세요'라는 문구가 붙어 있었다. 온누리 상품권 때문에 일부러 전통시장을 찾는 사람들도 있었다. 전통시장에서만 유통되는 온누리 상품권을 할인된 가격에 살 수 있는 곳도 많고, 기업에서 보너스로 제공하는 곳도 있기 때문이다. 최근 정부는 내수 활성화를 위해 온누리 상품권 발행 규모를 2000억원 추가 확대하기도 했다. 망원시장 내에 있는 모든 가게가 온누리 상품권 가맹지점이어서 유통과 환전이 자유롭다. 반면, 차례상 간소화로 예전만큼 명절 매출이 나오지 않는다는 목소리도 있었다. 유동인구는 많지만 보따리 손님이 없다는 거다. 차례상에 올라가는 물건 갯수가 줄면서 제수용품 판매량도 덩달아 줄었다. 한과나 유과 등을 파는 강정선생의 김상범(56) 씨는 "예전만큼 재미는 없다"고 말했다. 김상범 씨는 "예전엔 안 먹어도 제사상에 올린다고 다 종류별로 하나씩 가져갔는데 이젠 안 먹으면 안 올려서 딱 한 두 가지만 가져간다"며 "매년 명절마다 사람들이 가져가는 물건 종류가 줄어드는 게 느껴져서 올해는 물건을 어떻게 가져다 둬야 할지도 모르겠다"며 한숨 쉬었다. 실제로 차례상에 올라가는 물품은 줄어들고 있다. 한국물가정보는 차례상 차림 간소화 추세에 맞춰 조사 품목을 줄였다. 과일류만 해도 5가지를 제수품목으로 잡았는데, 지난해부터는 3가지로 줄였다. 밀가루도 3㎏에서 2.5㎏으로 기준을 낮췄다. 장을 보러 온 강 모(40대 중반) 씨도 "몇 년 전부터 시어머니와 이야기해 차례상 규모를 줄였다. 예전처럼 며칠에 걸쳐 제사 음식을 만드는 게 아니라 반나절이면 다 할 수 있게 차례상을 만든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추석 명절을 맞아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힘쓰고 있다. 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은 지난 6일 추석 명절을 앞두고 망원시장을 방문해 과일과 건어물 등 시장 물품을 온누리 상품권으로 직접 구매했다. 소상공인진흥공단도 지난 5일 추석 명절을 맞아 대전 대덕구 중리전통시장에서 전통시장 활성화 캠페인을 벌였다.

2019-09-08 15:16:37 배한님 기자
기사사진
포스코1%나눔재단,'아동쉼터'제작해 광양시 기증

포스코 1%나눔재단이 6일 전남 광양시 최초의 아동쉼터인 '마음나누리쉼터' 개소식을 가졌다. '마음나누리쉼터'는 연면적 474.77㎡ 규모에 지상 2층으로, 1층은 상담실, 심리치료실, 음악실 등을 갖췄으며, 2층은 아동쉼터로 남자 어린이 5명, 여자 어린이 5명이 따뜻하고 안전하게 지낼 수 있다. 그동안 광양에는 아동쉼터가 없어 보호가 필요한 아동들은 인근 순천이나 목포로 보내져 보호 받아야 하는 어려움을 겪어 왔다. 이에 지난해말 포스코1%나눔재단은 포스코 고유기술과 제품을 활용해 튼튼하고 안전한 쉼터 건축을 시작해 올해 건립을 마치고, 이번 광양시에 기부 채납했다. 마음나누리쉼터는 국내 최초로 남녀가 분리된 출입구를 이용하면서도 한 건물에서 아동을 보호하는 혼성보호쉼터로 설계됐다. 가정폭력 피해아동 등을 일시 격리해 보호함으로써 아동의 신체적 안전을 확보하고 초기 상담부터 심리치료까지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포스코 기업시민실 양원준 실장은 "임직원들의 급여 1% 기부로 마련한 소중한 기금으로 지역 아동들의 건강한 성장을 지원하는 공간을 조성하게 되어 의미있게 생각한다"며 "더불어 함께 발전하는 기업시민으로서의 경영이념 실현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포스코는 그동안 업(業)을 활용한 사회공헌활동으로, 화재 피해를 입은 저소득 가정에 보금자리를 지원하는 스틸하우스 (누적 50채) 건립과 장애인복지센터, 청년쉐어하우스 등 지역사회 공공시설 또는 사회적 문제해결 지원을 위한 스틸 복지시설 (누적5개) 건립 등을 통해 지역주민들의 건강한 삶을 지원해 왔다.

2019-09-06 16:10:17 양성운 기자
기사사진
김기문 중기중앙회 회장, 베트남 상공회의소 회장과 간담회

중소기업중앙회는 6일(현지시각) 베트남 하노이에서 김기문 중기중앙회 회장을 비롯한 서병문 수석부회장 등 중소기업대표단 20명과 베트남 하노이에 있는 베트남 상의(VCCI)를 방문해 브티엔록(Vu Tien Loc) 베트남 상공회의소 회장과 간담회를 했다. 이날 간담회는 지난 2013년 김기문 회장이 제24대 중기중앙회장 재임 시절 베트남 상의와 체결한 업무협약 이후 6년 만에 이루어진 자리다. 이번 간담회는 현지 비즈니스 파트너 발굴 등 중소기업중앙회와 베트남 상공회의소의 더 깊은 협력을 추진하고자 마련됐다. 김기문 중기중앙회 회장은 "베트남 진출 기업 대부분이 중소기업이며 앞으로도 더 많은 중소기업이 진출할 예정"이라며 "중앙회와 베트남 상의가 긴밀한 협력을 통해 한국기업과 베트남기업이 함께 성공할 수 있도록 같이 노력하자"고 말했다. 김기문 회장은 이어 "오는 11월 베트남 하노이에서 중소기업중앙회 포럼 개최를 검토하고 있는 만큼 베트남 상의의 적극적인 지원을 부탁한다"고 강조했다. 브티엔록 베트남상의 회장은 "박항서 감독 효과 등 그 어느 때보다 베트남의 한국 선호도가 높은 상황"이라며 "중소기업중앙회가 베트남에서 포럼을 개최한다면 당연히 베트남 상의 차원에서 할 수 있는 최선의 지원을 다 할 것이며, 단순한 베트남 시장 조사 차원을 넘어 베트남 정부 정책 기조와 부합할 수 있는 포럼이 진행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2019-09-06 14:43:31 배한님 기자
기사사진
기보, 기술평가시스템(KTRS) 태국 현지화 성공

기술보증기금은 지난 5일부터 6일까지 태국 방콕에서 개최된 'Thailand Tech Show 2019'에 참여해 기보의 기술평가시스템(KTRS)을 태국 현지화한 태국기술평가시스템(TTRS) 설명회를 열었다. 설명회에는 태국 주요 금융기관 임직원 200여 명이 참석했다. 기보는 이날 행사에서 'KTRS-TTRS Collaboration'을 주제로 ▲KTRS의 해외전수 및 협력사업 현황 ▲태국기술평가시스템인 TTRS 개발과정 ▲KTRS를 통한 향후 협력방안 등에 대해 강연하고 향후 공동사업 추진방안을 논의했다. 기보는 태국 중소기업진흥청(OSMEP) 청장 및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갖고 소셜벤처 육성 등 상호 관심사를 논의했다. 기보는 지난 2015년부터 3년간 기획재정부의 경제발전경험공유프로그램(KSP, Knowledge Sharing Program)을 통해 태국의 신용보증공사(TCG)와 국가과학기술개발원(NSTDA)에 기보의 기술평가시스템을 바탕으로 태국기술평가시스템을 개발했다. 기보는 태국기술평가시스템 태국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파일럿 테스트를 거쳤다. 기보는 최근 태국기술평가시스템인 TTRS(Thailand Technology Rating System)로 태국 우수기술기업 100여 개에 금융지원을 했다. 기보 양정주 홍보실장은 "기보는 태국에서 KTRS의 성공적인 안착을 바탕으로 향후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에 KTRS 수출을 가속화 하여 정부의 신남방정책에 적극 부응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2019-09-06 10:54:43 배한님 기자
기사사진
수소경제 확대, 정유업계 '여유'…정제마진은 회복세

정부의 수소경제 확대 정책이 정유업계에 위기가 아닌 기회가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내연기관 연료 수요 축소로 입지가 좁아질 것이라는 우려와 달리 정유사들은 이미 수소 생산과 공급 역량을 갖추고 있어 오히려 시장선점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게 업계 관측이다. 정제마진도 회복세에 있으며 향후 IMO(국제해사기구) 관련 수요 증가도 기대된다. 5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내수 및 수출물량을 포함해 지난해 약 1800대였던 수소전기차 시장규모를 2022년 8만1000대, 2040년에는 620만대 이상으로 확대시킬 계획이다. 지난해 14개소에 불과했던 수소충전소도 2022년 310개소, 2040년에는 1200개소까지 늘린다. 이와 함께 수소 연료전지의 시장창출을 위해 발전용 연료전지 설치규모를 현재 307.6㎿에서 2022년 1.5GW 수준으로 확대하고 2040년 수출 및 내수물량을 합산해 15GW 이상으로 확대한다. 현재 수소차와 연료전지 등 수소 활용산업에서 창출되는 수소 수요는 연간 13만톤 정도지만 로드맵대로 수소 활용 산업이 성장할 경우 2022년에는 연간 47만톤, 2030년에는 194만톤에서 2040년에는 526만톤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수소 수요 확대는 국내 정유사들에 득이 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의 역량을 활용해도 수소 공급과 판매 사업에 뛰어들 수 있기 때문이다. 2017년 국내 기준으로 가능한 연간 192만톤 규모의 수소 생산력 중 대부분은 정유공장에 있는 것으로 파악됐으며 추산에 포함되지 않은 유휴 잠재 생산능력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정유업계는 시장에서 가장 경쟁력 있는 제품으로 통하는 부생수소를 생산하고 있다. 수소에너지는 다양한 원료로부터 생산될 수 있는데 부생수소는 석유정제나 화학비료가 생산될 때 잉여의 부생가스로부터 정제된다. 가격도 다른 수소 생산수단에 비해 저렴한 편이라 경쟁력이 있다는 평을 받고 있다. 정유업계는 부생수소 일부를 외부에 판매하고 있다. SK이노베이션은 생산한 부생수소를 탈황설비 또는 다른 석유화학공정에 투입하고 남은 물량을 같은 산업단지 내 타 업체들에 파이프라인을 통해 판매 중이다. 휘발유 정제마진이 회복세를 띄고 있는 것도 고무적이다. 정제마진은 올해 초 2달러 수준까지 떨어졌지만 7월부터 10달러를 넘어서며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IMO 관련 수요가 반영되면 향후 실적이 안정적으로 성장세를 유지할 것이란 예측도 나온다. 내년부터 IMO 환경규제 강화로 고유황유를 친환경 선박유인 저유황유로 교체해야 하는 만큼, 국내 정유산업의 향후 실적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정유사들이 저유황유 공급을 늘리는 시점은 10월 이후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4분기 경유 공급이 1~2% 증가하는데 비해 수요는 3% 이상 커질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마진은 현재보다 배럴당 16달러 이상 상승할 전망이다. 저유황유는 경유에 등유를 섞어 만든다. 한편 에쓰오일과 현대오일뱅크은 고도화율을 끌어올리면서 앞으로 늘어날 경유 수요에 대비하고 있다. SK이노베이션은 약 1조원을 투자해 감압 잔사유 탈황설비(VRDS)를 짓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019-09-05 17:06:12 정연우 기자
기사사진
현대오일뱅크, 보육원 천사들에게 맑은 공기 선물

현대오일뱅크 1%나눔재단은 사회에 첫 발을 내딛는 신입사원 등 직원 30여 명과 함께 서울 용산구에 위치한 아동복지시설 영락보린원 실내 벽면에 수직 정원을 조성하는 자원봉사 활동을 펼쳤다고 5일 밝혔다. 이날 자원봉사에 참여한 현대오일뱅크 신입직원들과 보육원 아이들은 조를 나누어 수직 정원 모양을 스케치해 보고 선정된 도안에 따라 직접 식물을 심었다. 식재하는 식물은 스킨답서스, 스파트필름, 테이블야자 등 공기 정화 효과가 탁월한 식물 위주로 선별했다. 이번 행사는 벽면 녹화 기업인 '브라더스키퍼'와 협업했다. 브라더스키퍼는 보육원을 퇴소한 보호 종결아동들의 자립을 돕기 위해 설립한 사회적 기업으로 대표 사업인 벽면 녹화 분야에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현대오일뱅크 1%나눔재단은 정원 조성뿐 아니라 유지 및 관리 비용까지 지속적으로 지원하기로 했다. 브라더스키퍼는 일정 기간 보육원생들에게 유지관리 노하우를 전수해 이후에는 아이들이 스스로 정원을 가꾸어나가도록 할 계획이다. 1%나눔재단 고인수 사무국장은 "보육원에 맑은 공기를 선물한 것에 보태어 보육원 출신 아동들의 고용과 자립을 지원하는 사회적 기업과 함께 했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도 브라더스키퍼와 나눔의 의미를 확대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고민하겠다"고 말했다.

2019-09-05 16:59:58 정연우 기자
기사사진
중기중앙회, 베트남 진출기업 지원 간담회 열어

중소기업중앙회는 5일 베트남 하노이 박닌(Bac Ninh) 삼성전자 공장에서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장과 서병문 수석부회장 등 중소기업대표단 20명이 현지 진출 협력업체와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는 현지의 애로사항을 파악하고 쩐 반 뚜이 (Tran Van Tuy) 베·한의원 친선협회장과 부엉 딘 후에(Vuong Dinh Hue) 경제부총리를 통해 베트남 국회와 정부 차원의 제도개선 방안을 요청하기 위해 마련됐다. 하노이에 위치한 삼성전자 박닌 공장은 34만평 부지로 삼성의 베트남 현지 주요 생산거점이다. 주요 생산품은 ▲삼성전자 휴대폰 ▲삼성SDI 배터리 ▲삼성디스플레이 액정 등이다. 중소기업대표단은 삼성전자 박닌 공장 방문 이후 베트남 부엉 딘 후에(Vuong Dinh Hue) 경제부총리, 쩐 반 뚜이(Tran Van Tuy) 베·한의원 친선협회장, 따오 응옥 쭝(Dao Ngoc Dung) 노동보훈사회부 장관과의 간담회를 가졌다. 김기문 중기중앙회장은 "신남방정책의 교두보인 베트남은 한국 중소기업이 가장 선호하는 시장인 만큼 원활한 현지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우호적인 법·제도 마련에 힘써 달라"고 요청했다. 김 회장은 이어 "K-POP 열풍에 힘입어 한국상품에 대한 선호도가 크게 높아진 만큼, 한국기업들이 베트남에 진출하기 좋은 환경"이라며 "한국형 경제협력 산업단지 조성 등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신남방정책이 선언적 의미에 그치지 않도록 상생번영에 기반한 경제협력에 중기중앙회가 적극 동참하겠다"고 덧붙였다. 베트남 부엉 딘 후에 경제부총리와 쩐 반 뚜이(Tran Van Tuy) 베·한의원 친선협회장도 "한국 중소기업들이 베트남에 관심을 많이 가져주셔서 감사하다"며 "한국 기업들이 사업하기 좋은 환경 조성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화답했다. 한편 중소기업대표단은 오는 6일 베트남 상공회의소(VCCI)를 방문해 지난 2013년 체결한 업무협약에 대한 후속 논의를 할 예정이다.

2019-09-05 16:59:22 배한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