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주주총회 '안정', 카카오 '변화' 초점 맞춰 진행...네이버 "글로벌 경쟁력 입증할 것"
네이버와 카카오가 이번 주부터 개최되는 주주총회에서 네이버는 '안정'을 선택한 반면 카카오는 '변화'에 초점을 맞췄다. 네이버는 기존 이사진을 그대로 유지하는 반면, 카카오는 이사회 인원을 대거 교체해 해외 시장 진출에 본격 나선다는 전략이다. 양사는 또 이사 보수한도를 줄이는 안건을 공통으로 올렸다. 네이버는 22일 경기도 분당구 네이버 그린팩토리에서 개최된 주총에서 재무제표 승인 등 3개의 안건을 모두 통과시켰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주총에서 올해의 목표에 대해 "올해도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 금융 긴축 지속 등으로 시장 성장이 제한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하지만 기존 사업의 꾸준한 성장과 혁신 기회 모색을 통해 네이버의 글로벌 경쟁력을 입증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최 대표는 "네이버는 올해 커머스, 핀테크, 금융, 콘텐츠 등 다양한 부문에서 수익화 개선에 집중할 것"이라며 "올해 네이버클라우드를 중심으로 네이버웍스, 네이버클로바, 파파고, 네이버 웨일 등 조직을 통합해 효율을 높이고 조직·기술 솔루션간 시너지를 높여 국내 B2B(기업간거래) 시장 공략을 가속화하겠다"고 말했다. 네이버의 지난해 매출은 전년과 비교해 20.6% 성장한 8조2201억원을 기록했지만 이 기간 중 영업잉익은 오히려 소폭 감소한 1조 3047억원을 기록한 바 있다. 올해 수익성 개선에 집중함으로써 기업가치 제고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또 이날 주총에서는 주주들이 주주와 소통 강화, 주주 가치 제고 등을 주문했으며, 적은 배당금에 대한 불만을 나타냈다. 주주들은 "주주에 대해 존중이 필요하다"고 밝혔으며 "네이버 고객센터와 전화 연결이 잘 되지 않는다"고 지적하고 나섰다. 최 대표는 "동영상 플랫폼에서 유튜브에 밀리고 메신저 사업에서 카카오톡에 뒤지고 있다"는 주주의 지적에 대해 "동영상 숏폼에 대한 대응 방안이 필요해 신규 서비스, 정책을 검토하고 있다"며 "메신저 사업은 라인이 일본, 동남아시아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오픈톡이나 소상공인 대상 메신저 서비스로 확대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김남선 네이버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적은 배당금에 대해 "네이버는 지난 3년간 순이익의 5%를 배당하고 2개년 평균 연결 잉여현금흐름의 30%를 주주환원 재원으로 활용하는 원칙을 유지하고 있다"며 "성장하는 인터넷 혁신 회사는 대체로 배당을 안 하는 게 시장의 통상적인 모습으로, 주주들이 만족스러운 배당 정책을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같은 답변이 "배당을 하지 않겠다"고 해석이 되면서 주주들이 불만을 표출하기도 했다. 또 이날 네이버 주총에는 제24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변대규 기타비상무이사 재선임의 건, 이사 보수한도 조정 승인의 건 등이 상정돼 모두 가결됐다. 특히 이사 보수한도를 150억원에서 80억원으로 하향하는 안이 통과된 것이 눈길을 끈다. 최 대표는 이사 보수한도 하향에 대해 "지난 10년간 이사 보수한도가 실지급률 대비 다소 높게 설정됐다는 판단해 보수한도를 줄이기로 했다"며 "이는 올해 비용 통제 기조에 맞춰 경영진을 비롯한 임원들의 계약금을 삭감한 것과도 발을 맞췄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28일 제주 스페이스닷원에서 정기 주총을 여는 카카오는 이사진 7명 중 3명을 이번에 새로 뽑는다. 사내 인수합병(M&A)을 진두지휘해온 배재현 공동체 투자총괄 대표가 사내이사로 선정됐으며, 정신아 카카오벤처스 대표가 기타 비상무이사로 뽑혔다. 배 대표를 이사진으로 선임함으로써 SM과 시너지를 창출하는 등 글로벌 기업으로 발돋움하겠다는 방침이다. 또 신규 사업으로 음반·음악영상물제작업을 추가했다. 새 사외이사엔 신선경 법무법인 리우 자문파트 파트너 변호사가 올랐으며, 윤석 윤앤코 대표와 최세정 고려대학교 미디어학부 교수, 박새롬 성신여대 융합보안공학과 조교수를 사외이사로 다시 선임하기로 했다. 반면, 김성수 이사회 의장은 사내이사와 의장직에서 물러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