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청소년층만 스마트폰 의존도 높아졌다...디지털정보격차 전년 대비 개선
스마트폰 과의존위험군 조사에서 다른 연령대는 의존도가 떨어진 반면, 만 10세~19세인 청소년은 40.1%로, 전년 대비 3.1%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디지털정보격차와 웹 접근성 수준은 전년보다 개선됐고,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 비율도 전년도에 비해 소폭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디지털과 관련된 사회 현황 진단을 위해 이 같은 내용의 디지털정보격차, 접근성, 스마트폰과의존 분야 2022년도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는 저소득층·장애인·농어민·고령층 등 일반국민 대비 취약계층의 디지털 접근·이용 수준을 측정하는 국가승인통계로서, 전국 17개 시·도 1만 5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했다. 지난해 취약계층의 디지털정보화수준은 76.2%로 전년 75.4% 대비 0.8%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최근 5개년 동안 연속 상승 추세를 보였다. 부문별 종합 결과를 살펴보면 디지털정보화 접근 수준은 96.0%(1.6%p↑), 디지털정보화 역량 수준은 64.5%(0.7%p↑), 디지털정보화 활용 수준은 78.0%(0.4%p↑)으로 모두 전년 대비 상승한 결과를 보였다. 계층별 디지털 정보화 수준의 경우에도 고령층이 69.9%(0.8%p↑), 농어민 78.9%(0.8%p↑), 장애인이 82.2%(0.5%p↑), 저소득층이 95.6%(0.2%p↑) 순으로 나타나 모든 계층에서 정보화 수준이 향상됐다. 또 '웹 접근성 실태조사'는 웹사이트 이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8개 업종의 웹사이트 1000개를 임의 추출해 접근성 가이드라인 준수율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다. 웹 접근성 전체 평균 점수는 60.9점으로 전년 대비 0.1점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9년부터 꾸준히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금융 및 보험업'이 70.2점으로 상대적으로 양호했고, '부동산업' 분야는 55.7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는 영세업체의 접근성 낮은 웹사이트 제작 플랫폼 이용에 따른 것으로 추정된다. 규모별로 볼 때는 종사자 수가 많은 사업체일수록 웹 접근성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는 스마트폰 사용 조절 능력, 건강·일상생활 문제 발생 여부 등 스마트폰 이용 행태를 조사하여 과의존위험군 현황을 파악하는 국가승인통계로서, 전국 17개 시·도 1만 가구를 대상으로 1대1 면접조사 방식으로 진행했다. 지난해 우리나라 스마트폰 이용자 중 과의존위험군(고위험군+잠재적위험군)의 비율은 23.6%로 전년(24.2%) 대비 0.6%p 감소했다. 연령대별 과의존위험군 비율을 살펴보면, 유아동(만3~9세) 26.7%(-1.7%p)), 성인(만20세~59세) 22.8%(-0.5%p), 60대 15.3%(-2.2%p)로 청소년을 제외하고 모두 전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 과의존위험군과 일반사용자군을 대상으로 전년 대비 이용량이 증가한 콘텐츠를 조사했을 때, 과의존위험군은 게임 및 영화·TV·동영상 이용량이 증가했다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