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혼란스런 고3… "지금은 수능에 집중할 때"
코로나19로 혼란스런 고3… "지금은 수능에 집중할 때" 개학 연기로, 고3 1학기 학생부 성적 '안갯 속' 수시 수능최저, 정시 100% 수능전형에 대비해야 서울 15개 대학 수시모집 35.1%, 수능최저 적용 지난 18일 서울 용산고등학교 3학년 교실에 책걸상이 시험일처럼 분단별로 일렬로 줄지어 배치돼 있다. /연합뉴스 2021학년도 15개 대학 수시모집 대학별 수능최저학력기준 적용 비율 /진학사 개학 연기로 당장 발등에 불이 떨어진 건 올해 대입을 치를 고3이다. 개학이 5주 이상 연기되면서,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대비 첫번째 모의평가부터 연기됐고, 추후 코로나19 확산 상황에 따라 수시모집 일정이나, 정시모집 일정, 심지어는 수능 일정까지 불확실한 상황이 이어지면서다. 하지만 교육계와 입시업계 전문가들에 따르면, 우선 수능 대비에 집중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안갯 속'인 고3 1학기 학생부 성적을 고민하기보다는, 수능 성적 100%가 반영되는 정시모집이나, 수능 성적이 최저학력기준으로 반영되는 수시모집 대비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30일 진학사가 2021학년도 서울 소재 대학 등 15개 대학의 올해 수시모집 입학전형계획안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이들 대학의 수시모집 총 인원 3만1262명(정원 내) 중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해 선발하는 인원은 1만961명으로 전체의 35.1%를 차지한다. 15개 대학은 건국대, 경희대, 고려대, 동국대, 서강대, 서울대, 서울시립대, 성균관대, 숙명여대, 연세대, 이화여대, 중앙대, 한국외대, 한양대, 홍익대다. 전형유형별로 보면, 논술전형의 수능최저학력기준 적용 비율은 82.8%로 가장 높다. 논술을 치르는 13개 대학 중 연세대, 한양대, 한국외대(글로벌캠퍼스), 서울시립대를 제외한 대학들이 모두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한다. 논술전형의 경우 졸업생이 강세를 띄는 경우가 많아 특히 수능 성적이 중요하다. 수능 성적은 대체로 재학생보다는 재수생 이상 응시자 성적이 좋다. 학생부종합전형(학종)의 경우 대부분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하지 않는다. 하지만 15개 대학 중 서울대 지역균형선발, 고려대 학생부종합-학업우수형, 이화여대 미래인재, 홍익대 학교생활우수자전형 등은 수능최저학력기준이 있다. 학종은 주로 학교 내신과 비교과활동 위주로 준비하는 경우가 많아 수능 대비가 부족한 경우가 많고, 그 때문에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제시한 대학의 학종은 상대적으로 경쟁률이 낮다. 또 지원자 중 기준에 미달하는 수험생이 있어 실질 경쟁률은 더욱 낮아진다. 때문에 다소 서류내용이 부족해도 수능 성적이 높다면 전략적으로 지원해 보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학생부교과전형은 고려대 학교추천, 서울시립대 학생부교과, 숙명여대 학생부교과, 중앙대 학생부교과, 한국외대 학생부교과, 홍익대 교과우수자전형이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요구한다. 한국외대의 경우 전년도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하지 않았다가 올해 재도입한다. 따라서 한국외대 전년도 입시결과와 비교해 올해 교과전형 합격선은 다소 낮아질 수 있다. 반대로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요구하지 않는 대학의 학생부교과전형은 합격선이 매우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들 대학의 수능최저학력기준은 보통 2개 영역 등급 합 4이내 또는 3개 영역 등급 합 6 이내 수준으로 수능 2~3개 영역에서 2등급 이상을 받으면 충족할 수 있다. 수능최저학력기준을 넘긴 수험생들은 대학이나 모집단위별 편차가 있으나, 상당히 낮아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충족하면 실제 입시 경쟁률을 낮출 수 있다. 실제로 2019학년도 경희대 논술전형의 경우 총 4만4652명이 지원했는데,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충족한 인원은 1만8803명으로 42.1%에 머물렀고, 한의예과(자연)는 20.8%, 프랑스어학과는 22.5% 등 수능최저학력기준을 넘어선 지원자가 20%대에 머무른 모집단위는 8개나 됐다.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 우연철 소장은 "수시모집에서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요구하는 전형이 계속 줄고 있지만, 여전히 주요 대학의 경우는 논술전형이나 학생부교과전형에서 그 기준을 설정하고 있다"면서 "수능 대비에 어려움을 겪는 수험생들이라고 해서 무조건 지원을 꺼릴 필요는 없다. 영어가 절대평가이고, 탐구영역을 1과목만 반영하는 대학들도 많기 때문에 수능에 대한 대비를 전략적으로 한다면 이를 충족할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한용수기자 hys@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