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창업/취업
월 519만원 벌고 싶지만 가구수입은 불과 336만원

구직자들의 희망 수입과 실제 월급간의 격차가 월 183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취업포털 파인드잡은 20대 이상 성인남녀 1349명을 대상으로 '월평균 가구수입 현황'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7일 밝혔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실제 가구수입은 평균 336만원이다. 소득 분포로는 '250만원 미만'이 42.9%로 1위를 차지했으며, 이어 △2위 '250만원 이상~300만원 미만'(15.1%), △3위 '300만원 이상~ 350만원 미만'(12.1%), △4위 '350만원 이상~400만원 미만'(9.2%), △5위 '450만원 이상~500만원 미만'(5.7%)순이었다. 그 외 △'400만원 이상~450만원 미만'(5.5%), △'500만원 이상~600만원 미만'(3.6%), △'600만원 이상~700만원 미만'(2.7%). △'700만원 이상~800만원 미만'(1.6%), △'800만원 이상'(1.6%)순서로 분포됐다. 결혼유무에 따라서는 '기혼자'는 345만원, '미혼자'는 316만원으로 기혼자가 약 29만원 더 높았다. 특히 '250만원 미만' 소득자가 '기혼자'는 33.8%, '미혼자'는 62.6%로 미혼자가 약 2배 가까이 더 높은 수치를 보였다. 또 기혼자 550명 중 '아이가 있는 가정'은 344만원, '없는 가정'은 348만원으로 아이가 없는 가정의 소득이 4만원 가량 더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반면 '월평균 희망 가구수입'은 평균 519만원이다. 이는 실제수입보다 183만원이나 많은 수치다. 희망 가구수입은 '400만원 이상~500만원 미만'이 24.9%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이어 △'500만원 이상~600만원 미만'(22.2%), △'300만원 이상~400만원 미만'(18.5%), △'300만원 미만'(10.8%), △'600만원 이상~700만원 미만'(8.2%) 순이었다. 결혼여부에 따라서는 '기혼자' 506만원, '미혼자' '529만원'으로 미혼자의 희망 금액이 기혼자보다 23만원 더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500만원 이상' 희망자는 '기혼자'(43.8%) 보다 '미혼자'(47.2%)가 약 3.3%P가량 더 높았으며, '1000만원 이상' 역시 '기혼자' (3.6%)보다 '미혼자'(6.9%)가 약 2배 가량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고액의 수입을 꿈꾸는 싱글족이 많은 것으로 추측됐다. 특히 '미혼여성'의 경우 '500만원이상~600만원 미만'(26.4%)에 가장 높은 분포도를 보였으며 희망수입도 538만원의 최고 기대치를 보여 넉넉한 살림의 가정을 꿈꾸는 싱글녀가 많은 것으로 추측됐다. 기혼자 중 '아이가 있는 가정'(503만원)이 '없는 가정'(527만원) 보다 희망소득이 약 24만원 낮았으며, '1000만원 이상' 희망자 역시 '아이 없는 가정'(7.1%)이 '육아가정'(3.2%)보다 약 2배 가까이 높았다. 한편 연령별로는 현실과 희망 수입의 괴리감이 20대는 가장 크게, 반면 50대는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나 눈길을 끌었다. 먼저 각 연령별 현재 가구수입은 '40대'가 350만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20대' 339만원, △'50대' 337만원, △'30대' 334만원 순이었다. 반면 월 평균 희망수입은 '20대'가 541만원으로 최고치를 나타내면서 현재 수입과 202만원의 가장 큰 격차를 나타냈다. 다음으로 △'40대' 537만원, △'30대' 511만원, △'50대' 476만원 순이었으며, '50대'가 139만원으로 차이가 가장 적었다.

2014-11-07 09:29:33 이국명 기자
"2020학년도 대학 입학 정원, 18만5천600명 미달"

학령인구가 감소 추세를 보이면서 현재 중학교 1학년이 대학에 진학하는 2020학년도 입시에서는 전반적으로 정원미달현상이 나타날 것이라는 예상이 나왔다. 6일 이투스청솔 교육평가연구소는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연구센터에서 최근 발표한 '교육통계서비스 이슈통계'를 분석한 자료를 공개했다. 자료를 보면 2015학년도 대학 및 전문대 모집인원 합계를 기준으로 볼 때 현재 중학교 1학년이 대학에 입학하는 2020학년도에는 18만5600여명이 정원에 미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4년제 대학 기준으로 봐도 4만8000여명 정도만 정원을 초과할 것으로 보여 전반적으로 대학 모집인원 미달 현상이 나타날 전망이다. 올해 4월 1일 기준으로 학생 수가 가장 적은 학년은 초등학교 3학년으로 42만 490명인데 이는 현재 고등학교 2학년 학생 수(61만7776명)의 68%에 불과하다. 고등학교 3학년 학생 수가 급격히 하락하는 것은 현재 중학교 2학년생이 고3이 되는 2019년으로, 전년 대비 6만8935명이 감소한 48만8856명이고 그다음 해에도 감소폭이 커서 다시 6만753명이 줄어든 42만8103명에 이를 전망이다. 오종운 이투스청솔 교육평가연구소 평가이사는 "고입 전형에서도 현재 중학교 1학년이 고등학교에 입학하는 2017학년도와 초등학교 6학년이 고등학교에 입학하는 2018학년도에는 특목고나 전국 단위 선발 자사고 등을 제외하면 지역별 자사고를 포함한 일부 학교는 정원 미달 현상이 가속화돼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2014-11-06 20:17:41 윤다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