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대 합격 문 넓어지고, 지방대학 생존길은 좁아지고...수능최저 완화된다
학령인구 감소에 따라 입학 가능 인원이 축소되면서 고려대 등 서울권 주요 대학들이 수시 입학 기준 완화 등 합격 문을 넓혔다. 통합수능으로 인해 고충을 겪고 있는 문과생들을 고려한 선택으로 풀이되지만, 지방대학들의 경쟁력이 낮아질 우려도 제기되면서 대학 소재지별 양극화가 더욱 두드러질 전망이다. 10일 입시 전문 업체인 진학사가 서울 소재 대학들의 2024학년도 학생부교과전형 전형 기준을 비교한 결과에 따르면 ▲고려대 ▲서강대 ▲성균관대 ▲중앙대 ▲홍익대 등이 수능 최저학력 기준을 완화했다. 대표적으로 고려대는 '인문계열' 수능 최저기준을 '3개 영역 등급 합 6 이내'에서 '3개 영역 등급 합 7 이내'로 낮췄다. 대학들이 최저학력 기준 완화에 나선 이유는 '통합수능' 체제로 인한 문과생들의 어려움을 상쇄하기 위함이라는 평가가 대부분이다. 우연철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장은 "통합수능에서 확률과 통계(선택과목)를 보는 인문계 학생들이 등급을 따기 어려워진 부분을 고려해 상위권 대학에서도 기준을 완화시키는 분위기"라며 "올해 주요대학들의 교과전형은 수능최저를 완화하고 지원자격을 재학생 중심으로 변경하는 등 고3 학생들에게 보다 유리한 방향으로 변화했다"고 설명했다. 2022학년도부터 도입된 통합수능 체제로 인해 선택과목 간 표준점수 격차가 벌어지면서 수학에서 상대적으로 난이도가 낮은 확률과 통계를 선택하는 문과생들이 점수 합산의 불리함이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홍익대도 지난해 인문계열은 '국, 수, 영, 탐(1과목) 중 3개 영역 등급 합 7 이내'로 자연계열보다 까다로웠지만 올해부터는 '3개 영역 등급 합 8 이내'를 동일하게 적용하면서 인문계열의 기준만 완화했다. 다만 서울권 주요 대학들의 최저학력 완화 움직임은 충원 위기를 겪고 있는 지방대학들의 경쟁률이 더 낮아질 여지가 발생해 위기감이 고조된다. 실제로 손선열 경북대 수석입학팀장은 "학생들이 상위권 대학으로 쏠릴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하위권에 속하는 타 대학들의 경우 힘들 수 있다"고 분석했다. 입시 전문가인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이사도 "지방 소재 대학들은 지난해보다 충원에 더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서울권 주요 대학들이 수시에서 수능 최저학력 기준을 완화하는 기류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서울권 대학 집중화 현상은 더 세게 나타날 것"으로 전망했다. 이미 지난해 수시 전형에서도 서울권 대학이 지방권 대학에 비해 평균 3배 수준의 경쟁률을 보였기 때문이다. 대입에서 수도권 쏠림이 극심한 만큼 지방대학 운영에서는 타격이 깊어질 수 있는 상황이다. 한편, 성균관대도 전년도 인문계열 '국, 수, 영, 탐(1과목) 중 3개 등급 합 6 이내(글로벌리더, 글로벌경제, 글로벌경영 제외)', 자연계열 '국, 수, 영, 과탐, 과탐 5개 과목 중 3개 등급 합 6 이내(소프트웨어 제외)'였던 기준을 2024학년도에는 '국, 수, 영, 탐구, 탐구 5개 과목 중 3개 등급 합 7 이내'로 낮췄다. 등급 합이 아닌 과목별로 합산하는 방식으로 변경된 대학도 있다. 서강대는 전년도 '국, 수, 영, 탐(1과목) 중 3개 영역 등급 합 6 이내'에서 올해 '국, 수, 영, 탐(1과목) 중 3개 과목 각 3등급 이내'로 완화했다. 중앙대는 최저학력 기준 자체는 그대로 유지하되 영어영역 1등급과 2등급을 통합해 1등급으로 간주한다. 영어에서 2등급을 취해도 동일한 점수를 획득할 수 있어 부담이 줄어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