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초·중·고 대상 'SW·AI 교육 캠프' 진행...겨울방학 오픈
교육부가 모든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겨울방학 '디지털 새(New) 싹(Software·AI Camp)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교육부는 17개 시도교육청, 한국과학창의재단과 함께 12일 '디지털 새싹 캠프' 운영기관 선정결과를 발표하고, 한성대에서 비전 선포식을 개최했다. 디지털 새싹 캠프는 디지털 인재양성 종합방안의 후속 조치 중 하나다. 전국 초·중·고 학생들에게 소프트웨어와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고, 체험과 교육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전국단위로 처음 실시되는 방학 중 교육 사업이다. 교육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은 총 172개 기관(대학, 기업 등)으로부터 캠프 운영 계획서를 접수받았으며, 서면 및 발표평가 등을 거쳐 대학 59개, 기업 16개, 총 75개 기관을 운영기관으로 선정했다. 선정된 운영기관들은 각 기관이 자율적으로 계획한 캠프운영 내용과 규모에 따라 5~40억 원 이내의 예산을 지원받는다. 캠프는 교원 및 교사연구회, 대학, 민간 등의 역량을 모아 ▲학교로 찾아가는 캠프(방문형) ▲특정 장소에 모여 진행하는 캠프(집합형) ▲온오프라인 병행 캠프 등 다양한 방식으로 운영된다. 약 10만 명의 학생들에게 정규 교육과정과 연계한 소프트웨어·인공지능 기초·심화교육, 프로젝트 기반 공동학습, 코딩실습 등이 제공될 예정이다. 특히 캠프 운영 대학들은 정보교육을 필수로 받지 못한 현재의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예비 대학생 캠프와 연계해 대학에서 필요한 소프트웨어·인공지능 기초소양교육을 실시한다. 또한, 기업들은 참가학생 수 기준으로 전체 프로그램의 절반 이상을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외 지역에서 개설해 지역별로 균형 있게 캠프를 운영한다. 일부 대학과 기업들은 특수교육대상자, 다문화 배경 학생, 도서·벽지학교 학생 등 소프트웨어·인공지능 교육 소외계층에 대한 특별캠프도 실시할 계획이다. 캠프는 겨울방학 기간인 올해 12월 말부터 2023년 2월까지 진행된다. 각 운영기관은 19일부터 수시로 학생들을 모집하고, 학생들은 학년, 디지털 역량 수준과 흥미, 원하는 일정·시간·장소에 따라 다양한 캠프에 무료로 참가할 수 있다.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디지털 새싹 캠프의 성공을 위해서는 대학과 기업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며 "대학과 기업이 가진 전문인력과 장비, 교육 노하우를 학교 현장과 적극 공유해 달라"고 전했다. /신하은기자 godhe@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