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도 없는데 반도체인력 늘리면 뭐하나"…교육부 반도체포럼에 쓴소리 이어져
교육부가 15일 개최한 '반도체산업 생태계와 인재 수요' 공개토론회의가 진행되고 있다. 온라인 참석자들은 줌(zoom) 으로 참석했다. 사진은 토론회 줌 화면 캡처이다. /신하은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반도체 인력양성을 지시하고, 교육부 등이 유관 정부부처와 첨단 산업분야 인재양성에 나선다고 하지만 일선 교육현장에서는 정작 학생들을 가르칠 교수가 부족한 실정이고, 연구지원 등 예산도 더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교육부는 반도체 관련 학계 전문가, 기업 임원 및 반도체 전공 학생 등을 초청하여 '반도체산업 생태계와 인재 수요'를 주제로 15일 공개토론회(포럼)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실·국·과장 등 교육부 간부진이 직접 참여해 적극적으로 의견을 청취했으며, 교육부 전체 직원들이 온라인을 통해 토론에 참석했다. 토론 진행은 인사말, 강의 및 발제, 토론, 마무리 시간 순으로 이어졌다. 발제를 맡은 황철성 교수(서울대 재료공학부 석좌교수)는 삼성전자 반도체 연구소 선임연구원과 서울대 반도체공동연구소장을 역임하고 600여 편 이상의 반도체 관련 논문을 발표한 반도체 분야 석학이다. 황 교수는 "반도체 기술개발에 있어서 우리나라가 늘 1등이었던 전제를 의심하는 상황에 왔다"며 "마이크론의 맹추격이 이어지는데 가장 큰 원인은 고급 인력의 부족"이라고 설명했다. 교수와 교수들이 가르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하지 않고 학과를 만드는 것은 의미가 없다며 학과의 유무 전 전문 인력 양성 여부가 중요하다는 의견이다. 황 교수는 "대학은 기업이 연구하지 않는 크레이지 아이디어를 내고 기업은 양산 가능한 기술을 픽업한다"며 "교수들이 그런 인재를 키워야 하지만 교수가 부족한 실정"이라고 꼬집었다. 반도체 관련 인력 수급자 전망, 기업의 수요를 중심으로 조사했을 때, 학부생보다는 석·박사 등 고급 인력 수가 부족한 실정이다. 학부생 증원 이야기가 나오는 이유도 결국에는 석·박사급의 대학원생을 늘리기 위함이다. 현재 대학가는 반도체 대학원 정원만큼의 지원생이 들어오지 않는 경우가 허다하다. 학부생부터의 연계가 필요한 부분이지만 수도권대 정원 증대는 지방대 소멸을 야기할 수 있어 갈등을 빚고 있는 상황이다. 이어진 토론에서도 황 교수가 언급한 반도체 교수 인력 부족 문제에 동의하며 입을 모았다. 토론자로는 김지훈(이화여대 전자전기공학과 교수), 김형환(SK하이닉스 부사장), 박솔아(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박사과정), 오승준(경북대 전자공학부·4),한동석(경북대 IT대학장), 교육부 실·국·과장 등이 참석했으며 사회는 주효진(가톨릭관동대 의과대학 교수)가 맡았다. 이 가운데 박솔아 박사과정생은 "지도 학생 수가 상당히 많아 교수님들의 세밀한 지도에는 한계가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고, 오승준 학생 역시 "교수님들이 할당할 수 있는 강의 수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실습적 기회도 부족하다"고 토로했다. 교수 충원과 더불어 정부의 적극적인 경제 지원도 필수적이다. 특히 연구 역량을 키우기 위해서는 연구 지원이 뒷받침해 줘야 되는데 희망 학생 인원에 비해 연구·연수 기회는 턱없이 적은 편이다. 김형환 부사장은 "기업 입장에서는 인재 확보가 시급한 상황이기 때문에 발 벗고 나서서 계약학과 등을 추진하고 있다"며 "정부도 상황을 파악해 지원해 준다며 인재 확보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요청했다. 김지훈 교수는 "특히 반도체 설계 분야의 고급 인재가 적기 때문에 다 대기업에 들어가 밖으로 나올 인력이 없는 한계가 있다"며 "좋은 아이템과 좋은 예산 투입이 있다면 시장이 더욱 커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발언했다. 이번 토론회는 교육부가 인재양성 주관 부처로서 첨단산업 분야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변화하는 산업 및 과학기술 생태계를 이해하고 현장과 소통해야 한다는 인식에서 마련된 자리다. 최근 교육부는 윤석열 정부로부터 날카로운 반도체 인재 양성 주문 등 교육부 폐지가 언급될 정도의 고초를 겪고 있다. 오석환 교육부 기획조정실장은 "앞으로 교육부는 국가 인재양성의 주관 부처로서 첨단산업 인재양성을 위해 과학기술·산업분야 현장과의 소통을 강화하는 등 일하는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꾸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신하은기자 godhe@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