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신문 3월2일자 한줄뉴스
정치 ▲박근혜 대통령이 제97주년 3·1절 기념식에서 박 대통령은 "앞으로 확고한 안보태세와 국제공조로 북한이 반드시 핵을 포기할 수밖에 없도록 할 것"이라며 "선택은 북한의 몫"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박 대통령은 박 대통령은 "어떠한 정치적 고난이 있어도 경제혁신 3개년 계획과 4대 구조개혁을 반드시 성공적으로 완수해 경제의 튼튼한 기초를 확고히 다져나갈 것"이라고 언급했다. ▲8일간 이어온 '필리버스터'가 새로운 국면을 맞았다. 이종걸 더불어민주당(이하 더민주) 원내대표는 1일 중 '필리버스터'를 중단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당내 강경파와의 마찰이 예상되고 있다. 새누리당의 비난도 거세게 이어지고 있다. 국제 ▲중국이 한국의 금융감독원(금감원)과 같이 은행·증권·보험 분야 감독 업무를 한 데 모아 강력한 규제기구를 설립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의 지난해 1인당 국내총생산(GDP)는 2만7226 달러로, 일본을 5200여 달러 차이로 바짝 추격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 ▲삼성전자가 지난해 출시한 삼성 SUHD TV의 판매호조에 힘입어 10년 연속 세계 TV 시장 1위 기록했다. 다. 특히 지난 10년 사이 매출액과 판매량이 각각 2배 이상 성장했다. 지난 10년간 삼성전자가 전 세계에 판매한 TV는 4억2700여만 대에 달한다. ▲LG디스플레이가 올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사업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고, 액정표시장치(LCD) 차별화 전략을 추진해 확실한 글로벌 업계 1위를 굳힌다는 전략을 세웠다. 이를 위해 장비·재료부터 소비자에 이르는 OLED 생태계를 조성하고, 인력 강화 등을 진행함으로써 'OLED 시대'를 앞당긴다는 방침이다.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예년보다 한 달 가량 빨리 전략(플래그십) 스마트폰을 출시하면서 3월 스마트폰 대전이 막이 올랐다. 여기에 지난 2월에 열린 MWC에서 글로벌 시장 출사표를 던진 중국 샤오미가 1일 플래그십 스마트폰 '미5'를 출시하면서 업체간 신작 경쟁이 불붙을 전망이다. ▲기아자동차의 '쏘울 EV'가 국산 전기차 최초로 글로벌 시장 1만대 판매를 돌파했다. 국산 전기차 중에 1만대 고지를 넘어선 것은 쏘울이 처음이다. '쏘울 EV'는 첫해인 2014년 국내외에서 1431대가 판매되는데 그쳤지만, 지난해에는 8452대로 판매 대수가 크게 늘었다. ▲중소기업청이 중소기업 입찰 시장에 허위로 참여한 대기업 관계사들을 공공조달 시장에서 퇴출한다. 적발된 기업에 대해 중소기업청은 오는 2일부터 공공조달시장에서 퇴출하고 향후 1년간 참여를 제한할 방침이다. 납품까지 이어진 5개사 등 직접생산확인서를 발급받은 12개사는 검찰에 고발조치할 계획이다. 금융·부동산 ▲은행권의 핀테크 경쟁이 고도화되고 있다. 시중은행을 비롯해 지방은행은 모바일 뱅크를 출시하고 비대면 실명 방식을 도입하는 등 적극적인 핀테크 사업 추진에 나서는 분위기다. ▲지난해 벤처투자액이 2조858억원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그러나 신규투자의 40% 이상이 창업 7년 이상의 후기기업에 집중돼 창업 초기기업에 대한 투자 기피현상을 보였다. ▲고속도로와 지하철역에 접근하기 좋은 지식산업센터가 인기를 끌고 있다. 광양종합건설·포스코건설·대림산업·포스코엔지니어링 등이 지식산업센터 분양에 나섰다. 유통 라이프 ▲그간 이탈리안 레스토랑과 커피&디저트 전문점에 집중한 외식기업들이 주(酒)류로 사업을 확산하고 있다. 일부 기업들은 직영 중심의 운영을 벗어나 가맹사업까지 전개하며 주류 사업을 학대에 나섰다. ▲호텔신라가 태국 푸켓에서도 시내면세점을 개장한다. 현지 면세 사업자와 합작법인인 'GSM듀티프리'를 설립하고 연내 그랜드오픈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합작법인의 호텔신라 지분은 25%로 약 36억원 가량을 투자했다. ▲미국 프로야구 메이저리그의 시범경기가 한국시간 2일 개막한다. 국내시간으로 새벽에 열리는 시범경기에는 추신수, 류현진, 오승환, 이대호, 박병호, 김현수, 최지만 등 한국인 빅리거들이 대거 출전할 예정이다. 플로리다에서는 박병호, 김현수, 오승환, 강정호가 만나며 애리조나에서는 류현진, 이대호, 추신수, 최지만이 대결을 펼친다. ▲서울시가 30M 이내에 위치한 버스정류소를 통합·운영한다. 정류소 간 거리가 30m 이내인 215개 정류소 중 통합 시 버스 노선수가 4개 이하인 156개소를 우선적으로 합하며 나머지 59개 정류솓 단계적으로 통합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