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 새학기 맞아 대중교통 지원 확대… K패스·기후동행카드 도입 및 GTX 연계 노선 강화
고양시(시장 이동환)는 새학기를 맞아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를 위해 K패스·기후동행카드 등을 통한 교통비 지원을 확대하고, GTX-A 연계 버스 노선 37개를 운영한다고 밝혔다. 또한 교통 취약지역을 위한 수요응답형 버스(똑버스) 운행을 지속하고, 효율적인 버스 노선 개편을 추진해 보다 편리한 교통환경을 구축할 방침이다. 이동환 시장은 "대중교통비 부담은 줄이고 혜택은 늘려 시민 모두가 편리한 교통 정책을 누릴 수 있도록 하겠다"며 "광역교통망과의 연계를 강화하고, 체계적인 버스 노선 개편을 추진해 더욱 효율적인 대중교통 시스템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고양시에서 시행 중인 대중교통 요금 지원 정책인 'K패스'의 가입자가 올 1월 10만 명을 돌파했다. 특히 청년층(19~34세)이 전체 이용자의 52%(5만2천 명)를 차지하며 가장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K패스는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하루 최대 2회, 월 최대 60회까지 사용한 교통비의 일정 금액을 환급하는 제도로, 일반인은 20%, 청년층은 30%, 저소득층은 53%까지 환급받을 수 있다. 또한, 다자녀 가구 지원을 확대해 2명 이상 자녀가 있는 경우 30%, 3명 이상이면 50%까지 추가 환급이 가능하도록 했다. 지난해 12월 기준 약 7만7천 명이 1인당 평균 1만9천 원을 환급받았으며, 올해 K패스 예산은 총 145억8천만 원으로 책정됐다. 한편, 어린이·청소년을 위한 교통비 지원도 강화됐다. 기존 만 13세 이상 대상이었던 교통비 지원이 지난해 만 6세 이상으로 확대됐으며, 연간 최대 24만 원(분기별 6만 원)이 지원된다. 또한 서울시에서 시행 중인 '기후동행카드'(월 6만5천 원)도 고양시에서 이용 가능해 교통비 절감 효과를 높였다. 기후동행카드는 수도권 전역(서울·경기도 8개 지자체·인천 부평구)에서 추가 요금 없이 무제한으로 이용 가능하며, 고양시에서는 3호선·경의중앙선·서해선 27개 역과 서울시 인가 시내버스 31개 노선에서 사용 가능하다. 지난 1일부터 GTX-A 운정중앙~서울역 구간의 운행 간격이 10분에서 6.25분으로 단축됐다. 이에 따라 고양시는 GTX-A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킨텍스역과 대곡역을 중심으로 37개 연계 버스 노선을 운행한다. 킨텍스역은 기존 9개 노선에서 18개 노선으로 확충됐으며, 대화·가좌·탄현·덕이·중산 지역을 오가는 062A, 062B, 066B, 074, 55, 091A 등 신규 노선을 신설·조정했다. 또한 장항공공주택지구와 킨텍스역을 순환하는 N003번 노선도 도로 정비 완료 후 운행을 개시할 계획이다. 대곡역 연계 버스 노선도 기존 15개에서 19개로 확대됐다. 능곡동-대곡역 간 072B번 신규 개설, 89번 노선의 행신역 연장, 84번 노선 신설, 탄현-숭례문 간 1200번 노선의 대곡역 추가 정차 등이 포함됐다. 시는 배차 간격(15~30분)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 필요 시 추가 조정할 방침이다. 고양시는 올해 '버스-전철 연계 체계 구축'을 위한 '버스 노선 체계 개편 연구 용역'을 실시해 고양시 및 인근 시·군을 경유하는 노선을 종합적으로 개편할 예정이다. 대규모 택지개발(창릉지구·대곡역세권)과 광역철도(GTX-A·서해선·교외선) 확장에 따른 버스 노선 조정이 주요 내용으로, 연구 용역을 거쳐 2026년까지 개편안을 수립하고 2030년까지 단계적으로 실행할 방침이다. 한편, 교통 취약지역을 위해 수요응답형 버스 '똑버스' 14대를 운영 중이다. 식사동·고봉동에서 각 4대, 3대 운행 중이며, 2023년 말부터 덕은동(3대), 향동동(4대)에도 운행을 개시해 서울 가양역 접근성이 개선돼 출퇴근 시간대 직장인들의 교통 편의를 증진했다. '똑버스'는 '똑타 앱'을 통해 이용할 수 있는 DRT(Demand Responsive Transit) 방식의 버스로, 호출형 시스템을 통해 효율적으로 배차가 이루어진다. 이동환 고양시장은 "교통비 부담을 줄이면서도 시민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대중교통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목표"라며 "광역교통망과 연계한 버스 노선 확충과 체계적인 환승 시스템 개편을 통해 시민 모두가 대중교통 혜택을 편안하게 누릴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고양시는 향후 대중교통 서비스 개선을 위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교통약자를 위한 맞춤형 지원 정책을 추가 도입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