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 킨텍스 제3전시장 10월 23일 착공...2028년 준공 목표
고양시(시장 이동환)가 대한민국 마이스(MICE) 산업의 새로운 도약을 선언했다. 시는 오는 10월 23일 킨텍스 제3전시장 착공식을 열고 12월부터 본격적인 본공사에 들어간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착공은 지난 3년간 추진해 온 시설·경쟁력·조직을 아우르는 '3대 축'의 완성을 의미하며, 고양시가 글로벌 마이스 허브도시로 도약하는 전환점이 될 것으로 평가된다. 착공식에는 정부와 국회, 지자체, 산업계 관계자 등 500여 명이 참석해 고양시의 도전을 함께 기념할 예정이다.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은 "킨텍스 제3전시장 착공은 고양 마이스 산업의 새로운 도약점이자 대한민국 마이스 지형을 바꾸는 시작점"이라며 "숙박·교통·산업 인프라를 유기적으로 연계해 완성도 높은 체류형 마이스 도시로 발전시키겠다"고 말했다. ◆킨텍스 제3전시장·앵커호텔·주차복합빌딩… '체류형 마이스 허브' 구축 고양시는 제3전시장 착공을 계기로 숙박과 교통, 편의시설을 아우르는 복합 인프라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총사업비 6,726억 원이 투입되는 제3전시장은 올해 3월 기초공사를 마치고, 2028년 준공을 목표로 추진 중이다. 3A전시장(4만7천㎡, 4개홀·6개 회의실)과 3B전시장(1만2천㎡, 2개홀)이 조성되며, 완공 시 킨텍스는 제1·2전시장을 포함해 총 17만㎡ 규모의 전시공간을 갖추게 된다. 이는 미국 CES, 독일 IFA, 스페인 MWC 등 세계적 전시회가 가능한 수준이다. 시는 이번 사업을 통해 약 6조4,565억 원의 생산유발 효과와 약 3만 명의 고용창출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또한 인근 일산테크노밸리, 방송영상밸리, 경제자유구역과의 연계를 통해 산업·문화·관광이 결합된 성장 동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착공식은 킨텍스 3B 부지에서 진행되며, 공사 경과보고와 내빈 축사, 발파식 등이 이어진다. ◆앵커호텔·주차복합빌딩 등 인프라도 속속 착공 숙박 인프라 확충도 본격화된다. 킨텍스 인근 부지에는 4성급 '노보텔 앰배서더 킨텍스'가 들어서며, 지하 1층~지상 19층 규모, 300실 규모로 2029년 완공 예정이다. 완공 시 소노캄(826실), 케이트리(422실)와 함께 약 1,500실의 숙박 인프라가 조성돼 국제회의 참가자와 해외 바이어 등 방문객의 체류 편의가 대폭 개선된다. 또한 연면적 41,844㎡, 주차면 약 1,000대 규모의 주차복합빌딩도 내년 1분기 착공한다. 이미 지난 1일 3B전시장 인근에 800대 규모의 임시 옥외주차장이 준공됐으며, 2028년 상반기 완공 시 킨텍스는 총 7,400대의 주차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GTX-A 킨텍스역과 직접 연결돼 접근성 역시 크게 향상될 전망이다. ◆최근 3년간 3,996건 행사 유치, 1,694만 명 방문 고양시는 인프라 구축에 앞서 이미 국제무대에서 마이스 경쟁력을 입증해왔다. 최근 3년간 서울모터쇼, 한-아프리카 정상회의 등 국제행사를 포함해 3,996건의 행사를 성공적으로 개최했으며, 누적 방문객은 1,694만 명을 넘어섰다. '콘텐츠 유니버스 코리아', '고양데스티네이션위크' 등 지역 산업과 연계한 융복합 국제행사도 개최하며 '고양형 마이스 모델'을 정착시켰다. 지난 9월 열린 'UCLG ASPAC 고양총회'에는 27개국 173개 지방정부와 단체에서 807명이 참가해 기초자치단체 최초의 대규모 국제회의 성공사례로 기록됐다. 또한 고양시는 2025 세계 마이스 목적지 지속가능성 지수(GDS-Index)에서 세계 15위, 아태지역 3위를 기록했다. 환경·사회·인프라·도시마케팅 등 4개 분야를 종합 평가한 결과로, 참여 도시가 151개로 늘어난 가운데 거둔 성과라 의미가 크다. 시는 2026~2030년 '지속가능성 5개년 계획'을 수립해 아태 1위 달성을 목표로 추진 중이다. ◆'고양국제박람회재단' 출범… 마이스·콘텐츠 통합 사령탑 구축 시는 지난 10월 1일 '고양국제박람회재단'을 공식 출범시키며 조직 통합을 통한 효율성을 높였다. 이번 재단은 마이스 전담조직인 고양컨벤션뷰로(CVB)와 고양국제꽃박람회재단을 통합한 기관으로, 행사 유치와 기획, 국제협력, 콘텐츠 개발을 총괄한다. 재단은 킨텍스 3전시장 완공 시점에 맞춰 바이오·IT·방송영상 등 고양 특화 산업을 주제로 한 국제행사를 기획하고, 글로벌 유치 전략을 추진할 예정이다. 재단 관계자는 "고양국제박람회재단 출범은 고양이 글로벌 마이스 도시로 성장하기 위한 조직적 토대를 마련한 것"이라며 "전시·산업·문화가 결합된 '고양형 마이스 생태계'를 완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