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민, 지하철 선반 설치·행선지 표기 방식 변경·신분당선 대안 노선 요구
지하철 이용에 불편을 겪는 시민들이 열차 내 선반 설치, 행선지 표기 방식 변경, 신분당선 서북부 대안 노선을 서울시에 요구하고 있다. 5일 시에 따르면, 시정 참여 플랫폼 '상상대로 서울'에는 지하철 2호선 안에 선반을 설치해달라는 건의가 접수됐다. 서울 소재 학교에 등하교하면서 2호선을 자주 이용한다고 밝힌 대학생 이모 씨는 "항상 느꼈지만 2호선에는 선반이 달려 있지 않아 짐이 많을 때 지하철을 타기 불편하다"면서 "선반이 없는 열차가 많아 짐을 편히 올려놓지 못하고 지하철을 이용하는 사람을 많이 봤다"고 밝혔다. 이어 "저 역시 학교 준비물 때문에 들고가야 할 짐이 많은 경우 앉으나 서나 짐을 주체하지 못하는 상황이 많았다"며 "저뿐만 아니라 다른 승객들의 편의를 위해 2호선 열차에 선반을 설치해줄 것을 강력히 청원한다"고 했다. 시 도시철도과는 2017~2019년 선반 이용 현황 조사에서 ▲실제 이용 실적 저조 ▲폭발물 유치 장소 이용 차단(테러 방지) ▲청결 유지 ▲유실물 방지 ▲선반 제거를 원하는 민원 등의 이유로 신조 전동차에 선반을 설치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시는 "선반 미설치 전동차 운영 과정에서 재설치를 요청하는 승객들의 민원이 발생해 현재 교체 중인 신조 전동차에는 1칸당 2개소 기준으로 선반이 설치되고 있으며, 향후 도입될 차량들도 같은 기준으로 선반이 설치돼 운영될 예정"이라고 답변했다. 다만, 시는 이미 운행 중인 차량의 개조·개량은 작업 대상 전동차를 열차 시간표에서 제외해 생기는 열차 운전 시격 및 이용객 밀집도 증가 등 불편 발생과 선반 설치 비용 추가 소요 등의 사유로 중장기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선을 그었다. 서울교통공사에 재직 중인 서모 씨는 5호선에서 근무하며 보는 가장 흔한 승객 실수는 열차 방향을 혼동해 타는 것이라며, 분기역인 강동역부터는 하남검단산행과 마천행을 구분하기 쉽게 5-A, 5-B를 병기할 것을 제안했다. 서 씨는 "다른 지하철 노선은 승차해 가다가 종착역인 경우 내렸다가 그 역에서 다시 타면 되는 시스템이지만 5호선은 단일 호선으로 강동역에서 마천행과 하남검단산행으로 두 갈래로 나뉘는데 2개의 노선 모두 5호선이고, 보라색으로 동일하게 표시돼 타지 사람들이 혼동하는 경우가 많다"고 강조했다. 서 씨는 "이러한 방식은 특히 외국인들에게 많은 혼란을 주게 된다"며 "마천행을 타야 갈 수 있는 올림픽공원역에서 K팝 콘서트가 있는 날엔 정말 많은 분들이 하남검단산행을 타고 가다가 처음 승차했던 곳으로 돌아왔다가 또다시 하남검단산행을 탑승해 콘서트에 늦는 경우도 있다"고 설명했다. 서 씨는 외국인들도 알아보기 쉽게 5호선을 두 개로 분류해 5-A호선(하남검단산행), 5-B호선(마천행)으로 표시하면 시가 목표로 세운 관광객 3000만명 달성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시는 도시철도 운영 기관에 확인한 결과 현재 종착역 역명을 열차에 표기하고 있으며, 초행자 등 노선이 익숙하지 않은 이용객은 호선명을 변경하더라도 결국 열차가 가는 방향의 역명 또는 지명에 대한 별도 안내와 확인이 필요해 편의성 개선 효과가 높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을 받았다고 전했다. 시민들은 신분당선 서북부 연장 사업이 예비타당성 조사를 넘지 못하자 '상상대로 서울'에 다양한 대안 노선을 제안했다. 청원자들은 3호선, GTX-A 라인과 중복되지 않게 변경하면서 대규모 인구 밀집 지역을 관통하도록 해 경제성을 높이는 노선, 서울시 1호 뉴타운을 지나는 은평뉴타운선 등을 제시했다. 신분당선 서북부 연장은 용산에서 은평구를 거쳐 고양 삼송까지를 연결하는 19.38km의 광역철도를 건설하는 사업이다. 서울시가 지난 2013년부터 추진했지만, 낮은 경제성으로 올해 기획재정부의 예타 조사를 통과하지 못해 사업이 좌초됐다. 시 교통정책과는 "신분당선 서북부 연장(용산~삼송) 사업은 금번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에 따라 기존 노선으로 재추진은 사실상 불가한 상황"이라면서 "전문기관 용역을 통해 대안을 검토·발굴해 새로운 노선으로 사업을 다시 추진하겠다"고 약속했다. 시는 당초 도입 취지(통일로와 3호선의 혼잡 해소 등)와 지역 주민, 사업성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노선을 검토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