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의회 청년학술논문 공모 사업, 진입 장벽 낮추고 홍보 강화해야
서울시의회가 추진하는 청년 학술 논문 공모 사업의 인지도와 관심도가 낮아 홍보 채널을 확대하고 공모 내용을 손질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서울시의회에 따르면, 지난 6월 16~22일 여론조사 기관 이노뷰에 의뢰해 만 19~39세 시민 810명을 대상으로 '서울특별시의회 청년 학술 논문 공모 및 발표회'에 대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응답자의 82.5%가 관련 정보를 접해보지 못한 것으로 파악됐다. 청년 학술논문 공모와 발표회에 참여해봤다고 답한 이들은 전체의 7.3%에 그쳤다. 청년 학술 논문 공모 및 발표회는 풀뿌리 민주주의를 구현하는 지방의회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청년들의 다양하고 창의적인 의견을 수렴하고자 시의회가 작년부터 실시해온 사업으로, 올해 2회차를 맞았다. 지난해엔 '지방분권, 재정분권 및 지방의회 발전 방향'을, 올해는 '지방의회의 현실과 문제점 및 발전 방향'을 주제로 공모가 열렸다. 본 공모와 발표회의 주제에 대한 평가 인식을 보면 '공모 주제가 청년의 지방의회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참여 기회를 제공하는 주제라고 생각한다'가 3.55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공모 주제가 최근 2년 이내 우리 사회의 요구에 부합하는 주제이다'(3.53점), '해당 공모 주제는 청년들의 다양하고 창의적인 의견을 수렴·반영할 수 있는 주제다'(3.49점)가 뒤를 이었다. 청년들은 학술 공모·발표회 주제의 참여도, 시의성, 다양성은 우수하다고 평가했지만 적절성, 효용성, 관심도에는 낮은 점수를 줬다. '해당 공모 주제는 청년들에게 관심이 가는 주제이다'(3.01점)가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다. '해당 주제는 청년들의 지방의회에 대한 인식과 인지도를 높이는데 효용성을 제공할 것이다'(3.36점), '기존 지방의회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청년들이 응답하기에 적절한 주제라고 생각한다'(3.39점)가 그다음이었다. 응답자들은 ▲상금과 당선 인원이 적다 ▲심사 기준이 조금 더 구체적이었으면 좋겠다 ▲공모 기간이 더 길었으면 한다 ▲응모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필요하다 ▲공모 주제와 내용을 구체적으로 써달라 ▲결과 발표는 당선되지 않더라도 알려줬으면 좋겠다 ▲심사위원회의 심사가 어떤 식으로 진행되며, 위원회에 소속된 심사관들이 누구인지 공개할 필요가 있다는 등의 목소리를 냈다. 또 지난 6월 30일 수도권에 거주하는 만 19~39세 청년 1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표적집단면접(FGI) 결과를 보면 응모 대상이 넓긴 하나 대학생, 석사, 박사, 직장인 등 본인이 속한 직업군에 따라 논문 제출에 대한 '기울어진 운동장'과 같은 제한된 인식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은 개인별 응모한 논문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고, 참가자가 제안한 문제점 개선 방안이 직접적으로 조례에 반영될 수 있도록 주최측의 액션 플랜을 설정하는 등 공모 운영 방식을 손봐야 한다는 의견을 제출했다. 아울러 논문을 정책 제안 보고서 형식으로 바꿔 진입 장벽을 낮추고, 수상자 수를 늘리는 동시에 응모 대상을 넓게 설정해 최대한 다양한 의견을 모아 많은 참여를 이끌어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와 함께 시의회가 진행하는 학술논문 공모 사업의 인지도와 참여율을 높이기 위해 청년층이 주로 이용하는 온라인 커뮤니티(에브리타임, 취업연계 사이트, 블라인드) 등으로 홍보 채널을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는 제언도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