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민 체감경기 소폭 회복에도 '글쎄'
서울시민의 체감경기를 나타내는 소비자태도지수가 2분기 연속 상승했지만, 여전히 기준치를 밑돌아 경제 상황을 부정적으로 보는 시민이 다수인 것으로 파악됐다. 6일 서울연구원의 '2023년 3/4분기 서울시 소비자 체감경기' 정책 리포트에 따르면, 올 3분기 서울의 소비자태도지수는 전 분기 대비 4.9포인트 오른 95.9를 기록했다. 분기별로 살펴보면 지난 1분기 88, 2분기 91, 3분기 95.9로 두 개 분기 연속 오름세이나, 기준치(100)를 하회해 경기에 먹구름이 낀 것으로 드러났다. 소비자태도지수가 100을 넘으면 경제나 소비 지출 전망을 긍정적으로 본다는 의미이고, 100보다 낮으면 그 반대다. 가구소득별로는 2400만원 미만 가구가 직전 분기 대비 6.9포인트 올라 가장 크게 상승했다. 연령별로는 30대 이하와 60대가 전 분기보다 각각 5.3포인트, 5.1포인트 뛰어 가장 큰 상승폭을 보였다. 서울의 미래생활형편지수는 95.3으로 직전 분기 대비 1.8포인트 올라 상승으로 전환됐다. 시민들이 1년 후 가계 생활형편이 호전될 것으로 본 주된 이유는 '가계소득 증가'(46.4%)였다. '보유자산의 가치 상승'(13.2%), '가계부채 감소'(11.9%)가 뒤를 이었다. 현재생활형편지수는 전 분기보다 5.3포인트 오른 85.5로 2분기 연속 상승했다. 서울의 미래경기판단지수는 직전 분기 대비 3.8포인트 오른 77을 나타냈다. 1년 후 서울 지역 경기가 현재보다 호전될 것으로 보는 이유를 묻는 항목에선 '세계경기 회복'과 '물가 안정'이라는 응답이 각각 23.6%로 공동 1위를 차지했다. '기업경기 회복'(18.4%), '부동산 경기 회복'(14.4%), '막연한 기대감'(13.8%), '주식시장 활황'(6.3%)이 그다음이었다. 현재경기판단지수는 전 분기보다 5.3포인트 상승한 64.3이었다. 서울의 미래소비지출지수는 직전 분기 84.6에서 올 3분기 87.3으로 2.7포인트 상승했다. 품목별로는 '문화·오락비'가 68에서 74.1로 가장 큰 오름폭(6.1포인트)을 기록했다. 이어 '교통·통신비'(93.4→98.2) 4.8포인트, '주거비'(96.8→99.8) 3포인트 순이었다. '식료품비'는 0.7포인트(99.3→100)로 상승폭이 가장 낮았으나, 품목 중 유일하게 기준치(100)에 도달해 향후 1년 후 식료품을 구매하는 데 지출하는 비용이 늘어난다고 보는 시민이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현재소비지출지수는 전 분기 110.9에서 3.3포인트 오른 114.2를 나타냈다. 올 3분기 서울시민의 주택 구입태도지수는 2분기보다 3.2포인트 상승한 77.3으로, 최근 5년 기준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순자산지수는 96.6으로 전 분기 대비 0.3포인트 소폭 올랐다. 가구소득별로는 2400만~3600만원 미만 가구를 제외한 대부분의 소득 계층에서 상승했다. 가계의 순자산이 증가한 이유는 '금융자산 증가'가 37.9%로 가장 많았다. '소득 증가'(29.6%), '부채 감소'(23.6%)가 뒤를 이었다. 고용상황전망지수는 77.9로 지난 2분기보다 2.8포인트 올랐지만, 5분기 연속 70대 수준을 유지해 전망이 밝지 않았다. 물가예상지수는 139.5로 전 분기 대비 0.8포인트 하락해 2021년 4분기 이후 처음으로 130대로 떨어졌다. 체감 경기 변동에 영향을 주는 가계 부채의 주 사용 용도는 '주택 관련 자금'(46.7%)과 '생활 자금'(25.1%)이었다. 이외에 '재테크'(8.5%), '사업 자금'(7.2%), '자녀 교육비·학자금'(6.4%), '결혼 자금'(2%)이라는 응답도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