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 서울소비경기지수 4.3% ↑··· 백화점·인터넷쇼핑 주도
서울소비경기지수가 3달째 상승세를 이어가며 호조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12월에는 백화점, 면세점, 인터넷쇼핑의 소비가 큰 폭으로 증가했다. 서울연구원은 29일 '2018년 12월 카드매출 빅데이터를 통해 본 서울소비경기지수'를 발표하고 이같이 밝혔다. 업종별로 보면 종합소매업의 큰 오름폭(4.3%)이 지속됐다. 대형마트, 기업형슈퍼마켓, 독립슈퍼 및 잡화점이 감소세를 보였지만, 백화점과 편의점, 면세점 소비 증가가 두드러졌다. 무점포 소매(35.2%)는 인터넷 쇼핑의 주도로 높은 오름폭을 지속했다. 숙박·음식점업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0.2% 상승하는데 그쳤다. 숙박업은 12.9%의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반면, 주점·커피점업(-7.1%)과 음식점업(-0.7%)은 감소했다. 권역별로는 서북권을 제외한 서울 전역에서 소비가 증가했다. 도심권 소비경기지수는 권역 중 가장 큰 폭의 증가(15.1%)를 나타냈다. 소매업은 종합소매, 음식료품·담배, 문화·오락·여가, 무점포소매업의 소비 호황이 지속되며 24.8% 증가했다. 숙박·음식점업은 숙박업의 오픔폭이 둔화되고, 음식점업과 주점·커피전문점업의 부진이 심화되면서 2.1% 증가에 그쳤다. 동남권은 전년 동월 대비 3.4% 올랐다. 종합소매업, 문화·오락·여가, 무점포소매업, 기타가정용품 등의 오픔폭이 감소하며 소매업(5.4%) 증가세가 둔화됐다. 숙박·음식점업(0.9%)은 숙박업의 증가폭이 확대됐지만, 주점·커피전문점업의 부진으로 강보합 상태를 보였다. 동북권은 답보상태를 지속했다. 소매업(1.1%)은 음식료품·담배의 소비 부진이 심화됐지만 종합소매, 가전제품·정보통신, 무점포소매가 증가세를 보여 호조를 유지했다. 숙박·음식점업(-1.5%)은 숙박업의 호황에도 주점·커피전문점업의 감소폭이 심화돼 소비가 줄었다. 서남권은 지난달에 이어 양호한 증가(5%)를 유지했다. 소매업(8.6%)은 가전제품·정보통신, 의복·섬유·신발 등의 소비 증가로 큰 오름폭을 보였다. 반면, 숙박·음식점업(-0.6%)은 줄었다. 서북권(-4.8%)은 권역 중 유일하게 소비감소를 보였다. 소매업(-8.3%)은 가전제품·정보통신, 종합소매를 제외한 전반에서 소비가 부진했다. 숙박·음식점업(-1%)은 음식점업과 주점·커피전문점업의 부진이 심화되면서 내림세로 전환됐다. 서울연구원 조달호 박사는 "판매액지수로 살펴본 2018년 서울소비경기지수는 계절요인이 있었던 달을 제외하면 백화점, 편의점, 인터넷쇼핑, 호텔업의 소비가 호황을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12월에도 백화점, 면세점, 인터넷 쇼핑, 호텔에서의 소비가 증가한 것이 특징적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