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동수 사장 "2020년까지 매출 20조원 달성, 고수익엔진 숙제"
"2020년까지 매출 20조원 달성, 글로벌 IT 서비스 기업 톱10 진입을 통해 인류 IT 서비스 기업으로 성장해 나가겠다." 전동수 삼성SDS 사장은 15일 서울 잠실 웨스트캠퍼스 사옥에서 '창립 30주년 기념식 및 비전 선포식'에서 이 같이 밝혔다. 창립 30주년을 맞은 삼성SDS가 인사이트 투 인스퍼레이션(Insight to Inspiration)이란 주제 아래 SMAC(Social Network, Mobility, Analytics, Cloud)을 기반한 솔루션 사업으로 산업의 변혁기 시점에 새로운 기회를 잡겠다는 청사진도 내놓았다. 전 사장은 "앞으로 장기적으로 어떻게 성장할 지 논의해보고자 이 자리를 마련했다"며 "앞으로 삼성SDS의 도전과제는 어떻게 새로운 고수익 엔진 과제를 확보하고 어떻게 글로벌화를 이룰것이냐가 과제고 숙제다"라며 시작했다. 1985년 5월 초기 자본금 2억원으로 설립된 삼성데이타시스템을 전신으로 하고 있는 삼성SDS는 1997년 현재 사명으로 바꾼 뒤 삼성그룹 계열사 물량을 발판으로 업계 1위의 시스템통합(SI) 업체로 성장했다. 2010년 초 삼성네트웍스와 2013년 말 삼성SNS(옛 서울통신기술)를 차례로 합병하면서 현재의 규모를 갖췄고 작년 11월에는 유가증권 시장에 상장되며 단숨에 시가총액 기준으로 코스피 10위권으로 발돋움했다. 삼성SDS가 '비전 2020'을 현실화하려면 현재의 매출 규모를 3배 가까이 끌어올려야 한다. 작년 매출은 7조8977억원, 영업이익은 5934억원이었다. 매출의 약 70%는 IT 서비스 분야에서, 30%는 물류 BPO(업무처리 아웃소싱) 분야에서 발생했다. 삼성SDS는 목표 달성을 위해 우선 기존 주력사업인 ITO(IT 아웃소싱) 분야 효율성을 극대화함으로써 ITO 사업 부문 매출을 7조원대로 확대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또 소셜네트워크, 모바일, 애널리틱스(분석기술), 클라우드를 아우르는 '스맥'(SMAC)을 기반으로 혁신한 ITO와 물류 BPO 사업 분야 매출을 최대 8조원으로 대폭 늘리고, 여기에 솔루션 기반의 미래사업에서 5조원의 매출을 거둘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세부적으로는 제조업을 상대로 한 IT서비스 분야에서는 애널리틱스를 접목해 품질, 수율, 생산성 등에서 혁신을 이끌어내고 물류 BPO 분야에서는 사물인터넷(IoT)과 분석기술을 활용해 배송 정확도와 고객 만족도를 높인다는 전략을 세웠다. 또 삼성전자의 모바일 보안 솔루션인 녹스(KNOX)와 모바일관리솔루션(EMM) 기술을 이용해 기업의 모바일 전략에 가장 큰 걸림돌로 꼽히는 보안 문제를 해결하고, 나아가 생체인증(FIDO) 솔루션 같은 인증서비스까지 접목한다는 구상이다. 전 사장은 "삼성의 글로벌 1위 사업을 패러다임 전환기에 성곡적 대응의 역사이다"며 "IT서비스 분야에서도 SMAC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기에는 우리에겐 새로운 역사를 위한 전략적 변곡점이자 도약의 기회이며 이를 지렛대3 삼아 글로벌 일류기업으로 힘차게 나아가자"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