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승기] 5세대 토요타 프리우스, 슈퍼레이스 해볼만한 디자인·성능 더했다…연비·편의도 '선구자'로
"프리우스가 원메이크 레이스로 서킷을 달릴 것" 토요타 관계자가 프리우스를 소개하면서 던진 발표에 여러 사람들이 의아함을 감추지 못했다. 아무리 프리우스가 출력을 높였다고 해도 연비에 최적화한 모델인데 제대로 달릴 수는 있을까. 시승 후 사람들은 고성능 브랜드인 'GR' 출시를 기대하기 시작했다. 프리우스 성능이 충분했다는 얘기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토요타는 5세대 프리우스를 국내에 출시했다. 하이브리드(HV)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2종, 이 중 PHEV를 사용해 내년부터 슈퍼레이스 원메이크 레이스를 출범한다. 이번 프리우스는 디자인부터 예사롭지 않다. 작고 귀엽거나 지나쳤던 구세대와는 완전히 다르다. 훨씬 낮고 수평 라인에 초점을 맞춰 스포츠카와 같은 모양새를 띈다. 운전석에 앉으면 확실하게 체감된다. 시트 포지션이 바닥에 앉는 듯하고, 천장도 머리가 닿을 것만 같은 수준이다. 각도가 30도나 될법한 누워있는 A필러가 확실히 다른 분위기를 낸다. 스티어링휠도 낮고 작아서 다른 차들과는 다른 자세로 운전을 해야한다. 그러면서도 2열 레그룸이 생각보다 넓고 승차감도 크게 떨어지지 않았다. 주행 성능은 HV와 PHEV가 완전히 다르다. 같은 플랫폼에 2L 엣킨슨 엔진을 활용한 직병렬식 구동 방식이나 배터리 위치까지도 거의 비슷하지만, 실제 주행 질감은 누가봐도 상이한 모습을 느낄 수 있을 정도다. 토요타 관계자도 개발 과정에서 서로 다른 지향성을 추구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HV 모델은 프리우스 정통성을 그대로 지키고 있었다. 조용한 시동과 출발, 부드러운 주행 성능으로 편안하게 달렸다. 전작보다 큰 2L 엔진을 수시로 폭발시키며 200마력에 가까운 최고 출력을 낼 수 있다는 게 전작과는 다른 점이다. 엔진에서만 148마력, 모터로 50마력을 추가하는 방식인데, 더이상 급가속을 두려워하지 않아도 괜찮을 정도로 강력하다. PHEV는 전기 모터 활용을 극대화해 가속력을 훨씬 더 높였다. 최고출력이 무려 223마력으로, 전기 모터 힘이 훨씬 강력하다. 실제로 EV 모드로 달려보니 웬만한 전기차와 차이를 느끼기 어려울 정도였고, 에코모드에 오토 HV/EV 로 달리면 EV 모드 비중을 80% 이상으로 사용하는데도 이질감이 없었다. 스포츠모드로 달려도 엔진을 개입시키기가 쉽지 않을 정도다. 제대로 밟기 시작하면 본격적으로 그릉거리는 소리와 함께 출력을 내기 시작하는데, 바닥에 깔려 뻗어나가는 성능이 여느 스포츠 주행 차량들에 비견할 정도다. 프리우스에서는 상상하기 어려웠던 모습이다. HV와 PHEV 공통점은 조향 능력이다. 작은 차체에 더해 엔진룸과 주변 차대 강성을 높여 조향시 원하는대로 빠져들어가는 듯한 성능을 보여준다. 굽이진 길에서도 빠른 속도로 빠져나가는데도 크게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움직였다. 높은 연비도 마찬가지다. 실제 달려본 결과 HV 연비는 30km/L대, PHEV는 40~50km/L대 까지도 나왔다. 물론 2개 모델 모두 배터리 충전을 감안해야하지만, 차지모드에서 배터리 충전 속도가 전작보다 매우 빨라 크게 떨어지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회생 제동 이질감이 없다는 것도 HV 원조, 선구자 프리우스에 걸맞는 장점이다. 브레이크를 떼면 잡아당기는 듯한 회생 제동을 느낄 수는 있지만 불편하지 않을 정도다. 무엇보다 회생제동이 제동력을 떨어뜨리는 현상도 보이지 않았다. 효율과 안전 모두 잡았다. 아쉬운 부분이 있다면 엔진 소리. 2L로 커진 엔진은 움직일 때마다 그르릉거리며 친환경 '분위기'를 깼다. 가격도 묘하다. PHEV를 기준으로는 최근 국내에 출시한 라브4와 700만원 차이밖에 안난다. 그렇다고 프리우스 매력이 떨어지는 것은 아니다. 엔진소리 대신 외부 풍절음이나 노면 소음은 그야말로 빈틈없이 잡아냈다. 엔진소리도 전체적인 정숙성을 고려하면 크게 거슬리지 않을 정도다. 가격도 PHEV 불모지인 국내 시장에서는 존재 자체만으로도 의미가 크다. 프리우스 PHEV 원메이크 레이스도 기다려졌다. 배터리를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하는지에 따라 승부가 갈리는 친환경 레이싱이 될 전망이다. 친환경 자동차 시장을 활짝 열어젖힌 환경 선구자 프리우스, 한국 모터스포츠에서도 새로운 저변을 확대하길 기대해본다. /김재웅기자 juk@metroseoul.co.kr